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퓨처 셀프
저자 및 출판사 : 벤저민 하디
저자 - 벤저민 하디
조직심리학자로 자기계발 분야 파워블로거이자 베스트셀러 작가다. 그는 미래의 나를 적용하는 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전문가다. 클램슨 대학교에서 산업 및 조직심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The Daily Upgrade〉라는 팟캐스트를 통해 미래의 자신을 명확하게 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 정기적으로 삶의 방식을 도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전략을 공유하고 있다. 그의 블로그는 2015~2018년 동안 글쓰기 플랫폼인 ‘미디엄’에서 1위에 오르고,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읽었으며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뉴욕타임스〉, CNBC 등에 실렸다. 또한 〈포브스〉, 〈허핑턴 포스트〉, 〈옵저버〉 등에도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는 《최고의 변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최고의 변화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등이 있으며 미국에서 총 8권을 발간해 70만 부 이상 판매됐다.
소개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미래의 내’가 현재로 시간 여행을 왔다고 상상해보자. ‘현재의 나’는 해야 할 일은 미뤄둔 채 소파에 누워 핸드폰을 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당장 사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에 생각 없이 돈을 쓰고, ‘다음 달의 나’에게 결제를 미룬다. 자극적이고 간편한 정크 푸드를 즐겨 먹으며 건강은 생각하지 않는다. 어린 자녀와 눈을 맞추고 시간을 보내기보다 잔소리와 고성이 오가는 전쟁 같은 하루하루를 보낸다. 이 모습을 본 ‘미래의 나’는 과연 어떤 말을 하고 싶을까? 혹시 지금의 내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는가? 미래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다면, 현재의 내가 좀 더 나은 모습이기를 원한다면 이 책이 해답을 제시해줄 것이다.
‘미래의 나는 어떤 모습일까?’라는 질문은 우리가 인생에서 쉽게 놓치는 중요한 진실에 이르게 한다. 즉, 미래의 나와 연결될수록 현재 더 나은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미래의 내가 어떤 모습일지 깊이 생각해보고, 지금 그 사람이 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인생 지침서이다. 상상한 미래 자아는 현실에서 원동력이 되어 목표와 우선순위가 달라지고, 이에 맞게 행동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우리가 다시 예전 모습으로 돌아가려 하거나 의지가 약해질 때마다, 혹은 작은 성취를 맛본 후 다음 목표를 정해야 할 때 이 책을 옆에 두고 수시로 꺼내 보기를 권한다.
이 책은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파트1은 ‘미래의 나’를 위협하는 요인 7가지를, 파트2는 ‘미래의 나’에 대한 진실 7가지를, 파트3은 ‘미래의 내’가 되는 7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각 단계마다 자신을 점검해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미래의 나와 연결하는 활동들이 포함된 워크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각 장의 핵심 내용은 일러스트를 통해 기억에 선명하게 남도록 도와주고, 파트가 끝날 때마다 KEY POINT로 요약해서 정리해준다. 특히 ‘미래의 나’와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유명인들의 일화를 통해 소개해 재미를 더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이 책은 단순히 ‘미래의 나’를 생각에서 그치지 않고 행동하게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당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데 최고의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다.
모든 경험을 개인적 성장의 계기로 전환할 때 비로소 유익이 생긴다. 무슨 일이 일어나든 그 경험을 유익한 경험이라는 프레임으로 설정하라. 경험에서 적극적이고 의식적으로 교훈을 얻어라. 그러면 더 나빠지는 게 아니라 더 나아진다. 끔찍한 시련을 겪을 때 그 경험을 유익한 경험이라는 프레임으로 설정하면, 인생의 사건들은 당신에게 유리하게 펼쳐진다.
_'Part1, 미래의 나를 위협하는 요인 7가지’ 위협2 중에서, p.69
변혁적 관계를 맺으라는 건 서로에 대해 계산기를 두드리지 말라는 말이다. 변혁적 관계에는 서로 돕고 지원하려는 진정한 열망만 있다. 변혁적 관계의 목적이자 방식은 변화다. 베풂과 감사, 성장에 초점을 맞춘 변화가 변혁적 관계의 핵심이다.
‘나에게 무슨 유익이 있지?’라는 생각에 사로잡히지 말고 ‘그들에게 무슨 유익이 있지?’라는 질문을 해야 한다. 먼저 다른 사람이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도와라. 거기서 출발해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_'Part1, 미래의 나를 위협하는 요인 7가지’ 위협5 중에서, p.80
미래의 나는 고정불변의 모습이 아니다. 삶이 나아갈 방향은 무궁무진하다. 현재의 나는 미래의 나를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2년 후, 5년 후, 10년 후 당신이 죽지만 않는다면 누군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스로 이런 질문을 해봐야 한다. ‘미래의 나는 어떤 모습일까?’ 이 질문은 아마도 인간이 스스로에게 묻는 가장 중요한 질문일 것이다.
_'Part1, 미래의 나를 위협하는 요인 7가지’ KEY POINT 중에서, p.113
현재의 나는 일시적이다. 이 진실을 알면 용기를 얻어 성장 마인드셋을 기를 수 있다.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사람은 자신을 증명하려고 노력하기보다 배우고 성장하는 일에 더 관심을 둔다. 성장 마인드셋은 정체성을 유연하게 만든다. 그래서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사람은 적극적으로 통찰력을 키우고 관점을 바꾼다. 그들은 사고방식과 판단, 가치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
_'Part2, 미래의 나에 대한 진실 7가지’ 진실3 중에서, p.140
습관대로 살아가면 현재의 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의도적인 연습을 하면 자신이 바라는 미래의 나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데 집중하게 된다. 습관이나 안전지대로 되돌아가는 것은 발전하는 방법이 아니다.
_'Part2, 미래의 나에 대한 진실 7가지’ 진실5 중에서, p.168
미래의 나를 실현하려면 자신의 목적에 100퍼센트 전념해야 한다. 목적과 정체성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장 전념하고 있는 것에 정체성이 있다.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진다.
미래의 내가 되는 2단계는 덜 중요한 목표에 전념하지 않는 것이다. 이 덜 중요한 목표들은 현재의 삶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순간순간 내리는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_'Part3, 미래의 내가 되는 7단계’ 2단계 중에서, p.215
: 이책을 읽고나서 미래의 나와 마주하는 모습을 상상하게 됐다. 내 얼굴이 선명하게 상상은 않되지만 슬픈표정은 아니길 후회하는 표정은 아니길 하루하루에 성공해서 웃고있는 모습을 상상해봤다. 그리고 현재의 나에게 웃으면서 응원해주는 나를 상상해 해본다. 나의 미래의 모습이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된 모습으로 서있을지 궁금해서 오늘하루도 계획하고 목표를 향해 매일아침 확언과 목실감등 습관을 기르고 있다. 미래의 내자신에게 미안하지 않게 당당하게 환하게 웃게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미래의 당신이 지금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 -p194
: 미래의 나를 만드는건 현재 의 나라는 걸 알게됐습니다. 미래의 나를 어떻게 만들지도 결정하는것도 현재의 저라는 것도요. 이책을 읽으면서 항상 불안해 하는 미래의 내모습을 생각하면서 왜 난 불안해 했을까? 생각 해봤습니다. 답은 현재의 내가 목표도 불확실하고 현재만 바라보며 미래를 제대로 계획 하지 않았기 때문에 항상 불안했던 것 같습니다. 이책을 통해 전 10뒤의 미래의 나에 모습이 어떤 모습이 었으면 좋겠는지 상상하고 생각을 많이 해봤습니다. 그리고 불안한 미래의 내가 아니라 즐겁게 웃고 성공한 미래의 나를 맞이 하고 싶다. 미래의 나를 단순하게 명확하게 그리고 집중하고 목표를 세워 지속적으로 노력해서 당당한 미래의 나를 만나고 싶다고 싶습니다.
P 83
누군가에게 진정한 관심이 있으면, 망설이지 않고 그 사람을 위해 시간과, 에너지, 자원을 기꺼이 희생한다.~
미래의 나를 좋아하다가 그 감정이 커져 사랑하게 되면 현재의 보상을 희생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미래의 나를 위해 투자하게 된다. 무언가를 혹은 누군가를 진심으로 좋아할 때. 나는 그 일 혹은 그 사람을 위해 기꺼이 투자한다,
미래의 나는 어떻게 하면 좋아하게 될가요? 그리고 좋아하는 미래의 나에게 투자를 한다면 어떤 투자를 하고 싶으신가요? 투자의 결과로 내가 좋아하는 미래의 나에 모습은 어떤 모습인지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조셉 머피 잠재의식의 힘
댓글
입큰개구리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