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릿의 랜드마크가 되고싶은
아리팍입니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228개의
일자리 및 근로소득 수준 자료를
업데이트 해봤습니다.
벌써 4번째 업데이트라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2023년(2022년 자료가 최신임)
v4 버전에서 달라진 점은
1. 각종 자료 최신화 (2022년 데이터가 최신)
2. 중복되는 기초단체명
(동구, 중구, 북구 등) 명칭 정정
입니다.
지난글은 여기 참고하세요
https://cafe.naver.com/wecando7/2755875
https://cafe.naver.com/wecando7/4160595
https://cafe.naver.com/wecando7/7555721
국세청에서는 국민들에게 세금 부과를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징수하고 있으며
대부분 근로소득자인 직장인의 경우
소속된 회사에서 받은 급여로 원천징수를 하게 됩니다.
이후 연말에 적게 낸 세금은
조금 더 부과하거나,
많이 낸 세금은 환급해주는 방법으로
흔히 이야기하는 "연말 정산"을 하게 됩니다.
매년 국세청에서는 연말정산 결과에 대한 통계를
국세통계포털(TASIS)에 공개합니다.
우리는 그 자료를 기반으로
그 지역의 일자리 소득 수준과
거주민 소득 수준을 추정해보려고 합니다.
방법은 밑에 기재하겠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오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tasis.nts.go.kr/websquare/websquare.html?w2xPath=/cm/index.xml
위 링크를 눌러 TASIS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맨처음 화면에서 좌측상단에 있는 메뉴
<세목별> - <04 원천세> - <4-2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을 클릭하면
중간부분에 있는
4-2-14. 시군구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지)
4-2-15. 시군구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주소지)
를 각각 들어가봅니다.
이렇게 들어간 곳에 목록이 나올텐데요,
우리는 통계표 다운로드를 눌러서 원 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2022년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자료를 보면 급여 총계, 총급여 , 과세표준, 결정세액 등등
모르는 단어와 엄청나게 많은 숫자가 우리를 반겨주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가공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자료는
1.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시, 군, 구)와
17개 광역단체(특별시, 광역시, 도)를
전체로 나열
2.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3. 서울 지역만
4. 경기 지역만
5. 인천 지역만
6. 5대광역시만
7. 50만 중소도시만
비교해서 따로 시트로 만들었으며,
해당 지역의 순위와 비슷한 지역을 보며 어느정도 위상인지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4-2-14. 원천징수지와
4-2-15. 주소지는 어떤의미를 갖고 있냐면,
4-12-14 원천징수지인
(근로소득을 세금으로 징수하는 지역)
그 지역 일자리에서 벌어들인 총 급여를 의미하며
이는, 그 지역의 일자리의 질을 가늠해볼 수 있고
4-2-15 주소지는
그 지역에 주민등록 주소가
등록된 근로자들의 총급여를 의미하며
그 지역에 살고 있는
거주민들의 소득수준을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우측에는 이런 그래프로
임장지의 수준을 시각화하여 알아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천징수지와 주소지에 나온 근로자의 수를 비교하여
주소지 대비 직장인 근로자수가 높다면
(1보다 크다면)
이지역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근로자의 수보다
직장으로 삼고 오는 근로자의 수가 많음을 평가해 볼 수 있습니다.
주소지대비 직장 근로자수 0.6이상인 경우
빨갛게 표시했습니다.
또한, 원천징수지와 주소지를 비교하여
그 지역이 직장 연봉이 높은지
거주민 연봉이 높은지를
가늠해보면서
위 주소지대비 직장근로자수와 함께
현재 지역이 배드타운인지, 직장으로서 의미있는 지역인지
확인해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시 서울지역의 예를 들어보자면
주소지 기준으로 정렬해봤습니다
강남구는 1인당 평균 급여액이
8420만원정도로 1위를
거의 비슷한 금액8400만원으로
서초구가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서울 거주자의 평균 급여액은 4940만원인데 비해,
경기도는 4340만원 인천지역은 3780만원 정도네요^^
마지막에 나온 주소지대비 직장근로자수는
서울 중구의 수치가 10.72로
이 지역은 거주자 보다는 직장으로
일하러 오는 근로자수가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지역이 베드타운의 역할을 하는지
아니면 일자리로서의 역할이 큰지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 간혹 직장인 근로자도 많고, 거주자도 많은 경우도 있으니
다른 지표와 함께 평가해보며
그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 탭은
2020년 자료와 비교해보며
올해의 증감률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봤습니다.
직장 기준
서울지역의 모든 구에서 증가를 했으며
강서(마곡), 양천, 서부권과
종로, 영등포 등 주요 업무지역의
증가가 눈에 띕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고자 할때 필터기능을 사용해야하는데
주의점입니다
위의 비교평가로 서울, 경기, 인천 등의 자료를 같이 첨부해뒀으나,
내림차순 등으로 나열하려면
내가 필터링 하고 싶은 지역 위의 셀을 블록 설정해주면 편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25개 구를 분류하고 싶다면
서울의 가장 위인 강남구 셀의
바로 윗 칸인 인천부분을 블록설정하여 필터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설명이 어렵게 되었는데
한번 해보시면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여기까지 원천징수세액으로 알아보는
일자리 수준과 근로소득을 정리해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년] (아리팍) 원천징수-2022년 데이터.xlsx
댓글
팍님 좋은 자료 나눔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잘쓰겠습니다^^~
외 팍님 나눔 감사합니다. 지료취합 과정도 알려주셔서 넘 좋네여~
오아 꼭 필요했던 자료인데 나눔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