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미래, 도시기본계획 제대로 알고 투자에 적용하기 [아리팍]



안녕하세요 아리팍입니다.


우리는 지난 과거를 회상하며

투자를 하지 못한 물건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내곤 하는데요


놓쳐버린 기회,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은 부동산 투자를 진행함에 있어서

향후 이 도시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를

미리 알려주는 도시 개발 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별시, 광역시, 도, 시 등 자치단체에서는

관할 구역에 대해


국토종합계획(전국단위) 또는

광역도시계획(광역단위) 등


상위계획의 내용을 수용하여

도시가 지향해야할 바람직한 미래상과 기본적인 공간구조,

장기적인 발전을 제시하는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데요.



이것을


"도시기본계획"


이라고 합니다.






지자체별로

(현황) 지역의 특색을 분석하고

(문제점)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하며

(대책)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무엇인지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된 도시를 계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황하게 말씀드렸지만

쉽게 이야기 해서

이 지역이 향후 어떻게 발전할지

어떤모습으로 변해있을지를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0년단위로 계획하며

5년 단위로 수정하는 형태입니다.






국토종합계획이라는 최상위 개념을 기반으로

도, 광역도시, 도시기본계획으로

이어지는 세분화된 지역 계획입니다.



국토종합계획은

제1차 (1972~1981)를 시작으로


제2차 (1982~1991)

제3차 (1992~2001)

제4차 (2000~2020)

제4차 수정 (2011~2020)


현재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이

공고되었습니다.





흔히 우리가 지역에서


교통 개선, 환경정비,

공항 건설, 산업단지 조성 등


발전하는 모습을 보면


이미 몇년 전에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에 어느정도 반영이 되어

계획했던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시로

수도권 7대 업무지구 중 하나로

급부상한


마곡지구는

갑자기 각광을 받고 입주한 지역이 아니라

2020 서울 도시기본계획(2006년)에

이미 포함되어있었습니다.





대규모 미개발지였던 마곡지역을

서울 서남권 전략 육성 중심지로 설정하고

기술 융합 R&D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었는데요



그에 따라 지금은 마곡은 훌륭한 일자리와

주거환경으로 변신한 곳이기도 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우리는 도시가 어떤방향으로 발전하고


지역내에서 어떤 곳을 핵심으로 개발하는지

(공간구조)


어떤 일자리가 늘어나며,

어떤 교통 개선 사항이 있는지

등등

그것을 알아두는 것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 싶습니다.






도시기본계획을 공부하기에 앞서서

도시기본계획 자료를 다운 받아야할텐데요



1. 각 지자체별로 홈페이지를 활용하거나

2. 구글에서 "ㅇㅇ시 기본계획" 등을 검색

했으나


이런수고를 덜어주는 사이트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https://www.aurum.re.kr/

건축관련 사이트 <아우름>에서는


[법정계획 - 도시 - 도시기본계획] 메뉴에서

주요 도시들의 도시 기본계획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국토종합계획 등 다양한 계획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서울시는 <도시기본계획> / <생활권 계획> 링크도 따로 첨부드립니다.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2020000000


https://planning.seoul.go.kr/plan/cop/bbs/selectBoardList.do?bbssetupSn=9


또한, 하나의 사이트가 더 있는데,

<토지이음>이라는 사이트입니다.


[정보마당 - 자료실] 메뉴에서

각종 도시기본계획이

지자체별로 다운받을 수 있게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https://www.eum.go.kr/web/in/pd/pdBoardList.jsp






그렇다면 이제 실제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서울시 2030 도시기본계획을 기반으로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도시기본계획을 통해

그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중심지는 어디일지 생각해봅니다.


한양도성/강남/여의도(영등포)의 큰 광역을 중심지로

성장하며


각 권역별 인접도시와

발전축은 어떤 곳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지

확인해보면 좋겠습니다.



- 본인의 생각을 임장보고서에 적용해보세요

그리고, 나중에 그것이 맞았는지 틀렸는지는

시간이 지나고 나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앞으로의 공간구조를 확인하고,

그 지역의 발전방향성을 예측해보고


그 곳에서 어떤 산업이나 기능을

충실하게 할 것인지


미래의 그 지역을 상상해보며

이 기능이 실현되었을 경우

그에 따른 효과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교통망 구축을 통해


앞으로 접근성이 좋아질 곳은 어디일지

교통개선 효과가 주는

실질적인 파급력은 어떨지

과연 언제쯤 개통이 될것인지 등으로


미래의 지역(서울)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간략히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공부방법을 알려드렸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계획들의 파급효과,

미치는 영향 등을 생각해보고


내 생각을 정리해보는 것을

꼭 추천드립니다.


맞고 틀리고는 현재 알 수 없습니다.

그것은 시간이 지나야만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들이 누적되고

진행상황들을 확인하면서

시간을 투여한다면

그것은 경험해보지 못한자는 모를

통찰력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이 긴글을 읽어주신 모든 분들이

통찰력과 인사이트 넘치는 분으로

성장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브롬톤user-level-chip
23. 09. 03. 21:51

리팍님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공부법 나눔 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공부해볼게요^^

명랑20user-level-chip
23. 09. 03. 21:51

도시기본계획이 이렇게 보는군요.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오렌지하늘user-level-chip
23. 09. 03. 21:52

도시기본계획을 투자와 어떻게 연결시킬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