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안녕하세요.
이번에 내집마련 기초반 처음 수강하게된 41기 57조 너나집입니다.
1강 강의는 내집마련을 하기 위한 기초 상식과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만들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1강 강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는데 강의 주제별로 느낀점과 중요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복기
하여 다시 내것으로 만들어봅니다.
------------------------------------------------------------------------------------
01 부동산 기초상식
지금 집 사도 괜찮은가요?
인구가 줄면 집값도 떨어지지 않을까요?
02 내집마련 기본
내집마련 가이드라인
내집마련 방법 선정하는 법
예산 확인하는 법 (최근 정책변경 반영)
후보지역 선정하는 법
03 종잣돈을 위한 보험 정리법
보험을 알아야 할 이유
살릴 보험 vs 없앨 보험
------------------------------------------------------------------------------------
01 부동산 기초상식
지금 집 사도 괜찮은가요?
-> 부동산은 필수재이자 투자재로서 동시적인 성격을 띄고있다.
-> 부동산 매수의 최저점과 매매의 최고점은 신이 아닌이상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적정지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있다. (아래 지표)
부동산 매수 판단 지표
PIR(소득대비 집값 비율): 12 이하
전세가율 : 60% 이상
+ 최고점 대비 -20 에서 -30프로 하락하면 저렴한 가격
인구가 줄면 집값도 떨어지지 않을까요?
-> 인구감의 속도가 중요하며 향후 주택 양극화에서 필수 키워드를 잊지 말아야 한다.
(수도권 아파트 & 광역시 신축 아파트 -> 입지의 중요성!!)
02 내집마련 기본
내집마련 가이드라인
Step 1. 방법 선정
일반매매 / 청약 / 경매&공매
-> 청약이 60점이 넘지 않으면 일반매매 고려할 것 (시간 및 에너지 낭비 금지!)
-> 경매&공매, 일반직장인이 하기엔 공부할것이 많고 명도의 어려움, 시간이 많이 들기때문에 첫집은
일반매매로 할 것을 추천
-> 첫 내집마련 똑똑한 한채를 잘 마련할 것
Step 2. 예산 확인
-> 취등록세 등 세금 + 중개수수료 + 등기 비용 : 매매대금의 2~5% 산정
-> 인테리어 비용 : 대략 평당 100만원
대출
주택담보 vs 신용(마이너스 통장, 신용대출)
일시상환(만기 일시 상환) vs 분할상환 (원금 균등상환, 원리금 균등 상환)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대출기본지식
LTV(담보인정비율) : 대출액 / 주택가격
DTI(총부채 상환비율) : 담보대출 상환액 합계 / 총소득
DSR(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 담보대출 상환액 합계 + 기타 부채 상환액 합계) / 총소득
예산 = 종잣돈 + 대출가능액
Step 3. 후보지역 선정
------------------------------------------------------------------------------------
03 종잣돈을 위한 보험 정리법
보험을 알아야 할 이유
살릴 보험 vs 없앨 보험
30,40 대
살릴 보험
없앨 보험
이런 보험 가입하지 마세요
보험 가입 잘하는 법
보험 정리 잘하는 법
------------------------------------------------------------------------------------
2024년 내집마련반을 들으며 너나위님이 지금 고점대비 -20%에서 많게는 -30%까지 부동산 가격이 빠지고 PIR 지수가 10점 초반인 지금시점은 내집마련하기 좋은 시점이라 조언해주셨습니다.
2024년 신생아 특례 대출로 매수를 바라보는 저로서 이 강의를 통해 용기가 생기고 저만의 최적의 입지 및 매물을 찾아서 실패하지 않는 첫집을 마련하는 등대같은 역할을 해줄것이라 생각합니다.
2주차도 기대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