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4기 39조 히어로]

23.09.06

서울 25개구를 그특징에 따라 1급~5급지로 나눌수 있다.


1급지 : 강남, 서초, 용산, 송파

2급지 : 성동, 양천, 광진, 강동

3급지 : 종로, 영등포, 동작, 중구

4급지 : 강서, 서대문, 동대문, 성북, 관악 (점점 외곽으로 간다)

5급지 : 은평, 구로, 노원,  중랑, 강북, 도봉, 금천


1급지에서 5급지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고 경기도와 가까워진다.

하지만 경기도라 무시하지 말자. 경기도도 강남접근성과 그 지역에 특징에 따라서 서울에 상응하는 지역이 있다.

서울은 물리적인 거리보다는 시간적인 거리가 더 의미가 있다.

따라서 경기도의 시간적인 거리가 가까운 곳들은 서울이라 할 수 있다.


서울의 상급지 일수록 전세가가 붙는 시기가 짧다.

이것은 당연한 것 같다.

왜냐면 그만큼 대기수요들이 기다리고 있으니까.

따라서 상급지에 기회가 포착되면(투자범위에 들어왔다고 생각되면)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놓쳤다고 상심하지 말자. 그럴경우 하급지에서 기회를 찾으면 되니까.


느낀점 :

1) 시간적인 거리가 중요하다.

2) 서울에서 한강이 갖는 의미는 크다. (한강이 곧 환경이다.)

3) 좋은 아파트가 꼭 좋은 투자가치를 갖는것은 아니다. 시기마다 다르다.


적용할점:

1) 급지별로 앞마당을 최소 3개이상 만들자

2) 그 지역의 평균을 대표하는 단지를 찾고 Follow up을 하자

3) 상급지와 하급지의 가격차이가 줄어드는 곳을 단지분석을 통해 찾아보자




댓글


히어로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