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0기 투자근6만들어 5십억벌조 정춘이형]

  • 23.09.08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3.09.08

4. 총점 (10점 만점): 9점/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1만시간의법칙 #조급함은나의적

지난 세이노의 법칙에 이어, 이번 원씽에서도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고, 성공에 이르는 것은 그 사람이 오랜 시간에 걸쳐 그 목표를 향해 집중하고, 한 걸음씩 계속해서 목표를 향한 노력을 쌓아 나간다는 것이다. 원대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조급함을 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성공에대관한잘못된여섯가지믿음 #멀티태스킹의위험성 #일과삶의균형의부작용

이 책에서는 내가 그동안 성공을 위해 필요한 태도와 통념을 깨부시는 성공에 관한 잘못된 여섯 가지 믿음에 대해 알려준다. 잘못된 믿음은 다음과 같다.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2) 멀티태스킹은 능력이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이 중, 모든 일을 다 잘 처리하려는 점,, 빠른 업무 처리를 위해 멀티태스킹을 하는 모습은 현재의 나의 모습과 가장 닮아 있다.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목적의식은 스스로 정한 길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는 강력한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그러면 일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콧노래를 부르고 휘파람을 불고 있을 것이다. 우선순위가 없는 목적의식은 무력하다. 목적의식이 바꿔놓은 우리 삶의 크기는 거기에 연결된 우선순위의 힘과 정비례한다. 중요하지 않은 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 결국 자신에게 중요한 일을 하고, 거기서 최대의 효과를 이끌어 내는 순간 탁월한 성과가 나온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중요하지 않은 일이 내 인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리 크지 않다. 그러니 성공에 이르는 단 하나, One thing을 꾸준히 계속해서 정진하라는 것이 이 책의 핵심 내용이다. 이 책을 세 번째 읽으면서 이 원씽을 실천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월부에 들어와 독강임투를 매일 3시간씩 꼭 하려는 것이다. 이 것이 부를 향한 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원씽이다. 이 책을 읽으며 다시 한 번 동기부여가 된다. 사실, 내가 회사에서 업무를 하면서 이 원씽을 하려고 노력 중이다. 저자가 To-do lists는 성공을 위해 발목 잡는 원흉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나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이 To-do lists에 의존하며 10년이 넘는 회사 생활을 했었고, 이 책을 처음 접하고 두 번째 읽는 순간부터, 우선순위 목록을 매일 아침마다 작성하여 업무에 임하고 있으며 그 덕에 업무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고, 내가 투자 공부를 시간을 가져다 주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매일 아침 하루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는 하루하루를 보내겠다. – 세이노의 법칙에서 느낀 적용할 점과 동일하다.

2. 목적의식을 수립하고, 그를 위한 우선순위를 정하며, 그 우선순위 위주로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생산성 높은 삶을 살아가겠다.

3. 모든 일을 다 하려기보다는, 목표를 위한 단 하나, 가장 중요한 일 하나를 제대로 하여 시간과 능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삶을 살아야겠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26)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P. 31)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신에게 최초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을 훈련시키고 혹은 관리해 준, 가장 중요한 단 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P. 46) 미국의 사상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렇게 말했다.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개미들도 늘 바쁘지 않은가.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 때문에 바삐 움직이는가이다.”

(P. 59) 나스의 말을 빌리면 “멀티태스커들은 그저 모든 일에 엉망”이었던 것이다.

(P. 103) 그러나 중도적인 삶을 살 때는 어떤 일에든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가 힘들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

(P. 116) 큰 일에는 위험이 따른다는 생각을 가지고 이를 두려워하면 사고의 범위가 점점 작아진다. 궤도를 낮게 잡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지금 이 자리에 그대로 머무는 게 신중한 선택 같기만 하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큰 일을 두려워하면 작은 사고가 당신의 하루를 지배할 것이고, 큰 일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는다.

(P. 117) 닿을 수 있는 궁극적인 천장의 높이가 얼마나 되는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니 그것에 대해 걱정하는 건 시간 낭비일 뿐이다.

(P. 254)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실패하는 사람도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라.


댓글


스피드채
23. 09. 09. 19:14

와우~~이건반칙이죠!!!세번째 읽는거라구요? 앞서가는 정춘이형님!!당신은 진정한 형님~!!입니다~~!!최고!!

행복한부자하이디
23. 09. 09. 21:58

정춘이형님. 너무 멋진데요..! 출장가서 바쁘실텐데 언제 이렇게 과제를 다하셨어요! 진짜 최고에요 ☆

늘찬서울
23. 09. 12. 09:19

후기 멋지게 작성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저는 이렇게 까지 생각해서 정리는 못하겠어요. 잘 못 알고 있었던 것만 하지 않아도 성공에 더 빠르게 도달하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한가지 할 때 제일 잘 한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었는데 요즘 무엇을 덜해야 하는지 무엇을 하지말아야 하는지 많이 생각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