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 원씽 (One thing)
2. 저자 및 출판사 :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 2023.09.05
4. 총점 (10점 만점) : 10점 / 10점
# 0-1.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단 한 가지’일에 모든 것을 집중하는 것이 성공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임 –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함, 더 큰 효과를 얻으려면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함
# 0-2. 도미노 효과 (=순차적으로 쓰러지는 힘)
나보다 1.5배 큰 것을 쓰러뜨릴 수 있는 힘 → 가속도, 등비수열 → 달에 닿도록 목표를 세울 것, 성공과 부의 축적은 오랜 시간 하나씩 연속하여 쌓은 것임
# 0-3. 성공은 반드시 단서를 남긴다
‘단 하나’가 진화하거나 바뀌어야 할 때도 있지만 그 한 가지는 계속 자문됨
절대 혼자 성공할 수 없음 – 동료와 멘토가 있어야 함
Truthiness : 사실 기반 없이 느낌으로 믿는 진실, 진실이라고 느껴지면, 어느정도 진실처럼 들리면 곧 진실이라 믿는 현상
*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잘못된 믿음
-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 때문에 바삐 움직이는가’임 → 우선순위를 정할 것, 중요한 소수와 사소한 다수, 할 수 있는 것과 해야하는 것 중 해야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결정해야 함 – 그것이 성공 목록이 됨, 80/20 법칙 – 계속해서 20% 만 남길 것
-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망칠 수 있는 기회에 지나지 않음 (여러가지 모두 100% 집중할 수 없기 때문), 스스로 미친 듯이 몰아가는 거임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함X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걸 해야함O)
한 번에 많은 일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 없음 → 멀티태스킹의 현실(오히려 집중력 분산돼 효율이 저하됨)
-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 자기 통제력의 차이일뿐, 사실 성공은 단거리 경주임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전력질주임 (지속시키는 습관을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애쓰면 됨) 삶의 일부가 되도록 습관을 형성할 것 → 습관이 힘든 일을 쉽게 만듦 (66일 투자) 탁월한 성과는 한 번의 행동이 아닌 습관에서 나오기 마련임 – 습관을 들이면 성과는 알아서 찾아올 것
-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 마시멜로우 테스트 →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은 미래의 성공을 가리키는 매우 중요한 지표임
의지력이 늘 발휘될 수 있는 것은 아님, 피곤함을 느끼기도 함 → 잘 관리해야 함
피로해진 의지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 → 단백질 or 복합탄수화물 (내가 먹는 음식 = 나)
의지력도 있는 반면에 포기력도 있기 마련,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one thing)을 우선적으로 처리할 것
★ -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 균형의 욕구 → 당연하지만 어떤 것도 극단으로 추구하지 않는 것임 (기적은 극단에서 일어나기 마련) 균형이 무너지는 두려움을 극복해야 함, 극단을 택할 때는 그동안 잃을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을 자신이 있어야 함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멀리 가버리기 전에 한 번씩 균형을 잡아주면 됨 → (중심잡기 X, 길게 가냐 짧게 가냐의 여부 O) 우선순위가 생기면 균형에서 벗어나야 할 수밖에 없음
-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크다, 성과’ → 힘들고 복잡하고 두렵고 위험하고... 큰 것에 대한 일엔 위험이 따른다는 생각 – 사고의 범위가 점점 작아짐, 작은 사고에 지배당함 (한계를 긋지 말 것) 크게 하는 사고 = 도약 = 내 정체성의 크기
큰 성과를 향한 여정에서 겪는 시행착오가 나를 성장하게 함
#2-1.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 탐색 질문
달걀을 한 바구니에 넣고 그 바구니를 잘 지킬 것 – 어떤 바구니?(큰 초점) / 어떻게 얻지?(작은 초점)
인생은 질문임! 옳은질문 → 옳은답, 답의 퀄리티는 질문의 퀄리티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음
우선순위 – 그다음 우선순위 ... 자연스러운 진보의 과정을 겪게 됨 – 엄청나게 큰 파급력의 도미노가 됨
1)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2) 그 일을 함으로써 3) 다른 모든 일을 쉽게, 필요없게 만들... (지렛대)
#2-2. 도미노를 세워라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필요없게 만들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초점 탐색 질문)
단 하나의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동료와 단 한 가지 일을 공유하는 것을 습관화할 것
STOP EVERYTHING, DO ONE THING
#2-3. 삶의 해답으로 가는 길
큰 질문의 4사분면(크고 작은, 광범위하고 구체적인) → 큰 해답의 3가지(①당장 할 수 있는, ②최대한 힘써야 하는, ③가능성이 있는 것)
크게 성공하는 사람들은 가장 먼 성취의 범위까지 손을 뻗음 → 성장
#3-1. 목적의식을 갖고 살아라
목적의식이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우선순위와 나의 행동 / 목적의식 → 우선순위 → 행동의 생산성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나는 것, 큰 그림을 보지 못하면 반복적으로 성공만 찾게 됨 → 행복감에 익숙해지기 때문임, 정답을 고르기보다 방향을 정할 것!
#3-2. 우선순위에 따라 살아라
우선순위가 없는 목적의식은 무력함 (우선순위 : 현재에 근거한 목표 설정) → 현재 지금 무엇을 하느냐가 다음 순간에 무엇을 하느냐를 결정함
최종 목표 – 5년 목표 – 1년 목표 – 1개월 목표 – 1주 목표 – 1일 목표 – 지금 목표
지금 나의 목표를 눈이 닿는 곳에 적어두고, 당장 실천할 것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한 가지 일을 위한 시간을 확보할 것 → 그 시간 보호하기 (최소 4시간)
1) 휴식 시간 확보 2)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 3) 계획할 시간 확보
휴식도 일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함! 방해물을 정리할 것 – 일단 적어 놓고 당장 해야 할 시점이 오기 전까지 치워 둠
#3-4. 단 하나를 위한 3가지 약속
① 내 일을 마스터하여 최고 되기
②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기
③ 원씽을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하고 있다고 책임질 수 있어야 함
#3-5. 생산성을 훔쳐가는 네 종류의 도둑들
① 아니오(NO)라 말하지 못하는 것
② 혼란에 대한 두려움
③ 건강에 나쁜 습관들
④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3-6. 위대함으로 가는 변화의 시작
행동할 것 → 우선 행동하여 작은 것을 손에 넣고 그것을 키워야 함 (처음부터 큰 것을 손에 넣을 수는 없음)
두께가 그렇게 두껍진 않았지만 거를 타선 하나 없는 완벽한 책
다만 적게 자고 오래 일한다고 해서 잘하고 있는 것이 결코 아님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의 본질을 이해해야 함) → 하고자 하는 일을 계속해서 축소시키고 그 소수의 것에 집중해야 함
나를 성장시킬 수 있는 단 하나의 일을 찾아 지속시킬 것 꾸준히 실행하여 온전한 나의 습관으로 만들어 버려야 함 – 애쓰지 않아도 그것만 잘 지키고 지속한다면 성공은 따라옴
목적의식과 우선순위를 가지고 살아야 함 – 정답보다 방향을 고르며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가야 함 (최종 목표 - ... - 지금 목표)
1. 한 가지를 꾸준히 지속해 습관을 만들 것 – 7시 기상(오전 시간 활용) → 6시 기상(미라클 모닝)(★★★)
2. 조원들과 원씽 나누며 독려하기
19P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그것을 너무 넓게 펼치려 애쓰다 보면 노력은 종잇장처럼 얇아진다.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렇게 하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더 큰 효과를 얻고 싶다면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한다.
21P 줄지어 서 있는 도미노는 각각 일정한 양의 잠재적 에너지를 의미한다. 더 많이 세울수록 더 많은 잠재 에너지를 축적하게 돼 많은 수의 도미노를 세워 놓는다면 손가락을 한 번 간단히 튕기는 것만으로도 놀라운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31P 사람에게는 누구나 자신에게 최초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을 훈련시키고 관리해 준, 가장 중요한 단 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누구도 홀로 성공할 수 없다. 그 누구도.
80/20원칙, 몇 가지 소수의 아이디어가 성과의 대부분을 만들어 냈다. 몇몇 고객들이 다른 대다수의 고객들보다 훨씬 중요했고, 소수의 사람들이 사업의 대부분을 성공으로 이끌어 주었다. 또 소수의 투자가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왔다.
74P 사실 성공은 달리기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
77P 어떤 행동을 하나의 습관으로 바꿀 정도로 오래 유지하면 그때부터 여정이 다르게 느껴질 것이다. 삶의 일부가 되도록 하나의 습관을 확립하라. 그러면 힘을 훨씬 덜 들이고도 일상이 효과적으로 바뀔 것이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79P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습관을 기르는 데는 시간이 걸리니 너무 금방 포기하진 마라. 올바른 습관이 무엇인지 정한 다음, 그것을 습관으로 확립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할애하고, 그것을 발달시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통제력과 훈련을 동원하라.
89P 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다. 의지력은 빠르게 피로해지고 휴식을 필요로 하는 속근과 같다. 대단히 힘이 세지만 지구력은 꽝이다.
103P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한다는 것은 어떤 것도 극단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23P 때로는 일이 상상했던 것보다 쉬울 때도 있고, 때로는 생각보다 훨씬 힘들 때도 있다. 바로 그런 때, 큰 성과를 올리기 위한 여정에서 자기 자신도 더 커진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크게 되려면 성장이 필요하다. 큰 것을 경험할수록 당신도 커진다.
136P 인생은 질문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답인데 왜 질문에 집중해야 하는가?’ 이유는 간단하다. 답은 질문에서 나오고 답의 질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질문을 하면 잘못된 답을 얻고, 올바른 질문을 하면 올바른 답을 얻는다. 최대한 효과적인 질문을 던져라. 그것을 통해 얻은 답은 당신의 인생을 바꿔 놓을 것이다.
161P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 존(comfort zone, 스스로 편안하다고 느끼는 범위)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181P 돈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없다는 게 아니다. 어느 수준까지는 분명 그렇게 해줄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선가는 그 효과가 사라진다. 돈이 행복감을 계속해서 가져다주는 건 그 돈을 원하는 이유에 달려 있다. 흔히 목표가 수단을 정당화시켜선 안 된다고들 한다. 하지만 행복의 경우엔 다르다. 행복이 목표일 때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만 행복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저 돈을 목적으로 더 많은 돈을 원한다면 그 돈을 통해 얻고자 하는 행복을 얻지 못할 것이다. 행복은 더 많은 재산보다는 더 큰 목적의식을 가졌을 때 나타난다. 그래서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246P 빌어야 한다면 빌어라. 거래를 해야 한다면 거래해라. 창의력을 발휘해야 한다면 창의력을 발휘해라. 그저 상황의 희생자가 되지만 마라. “도저히 할 수 없어.” 라는 제단 위에 자신의 시간을 제물로 바치지 마라.
254P 나쁜 친구들과 어울리지 말라던 어머니의 말씀은 옳았다.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실패하는 사람도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라. 당신의 목표를 지지해 줄 사람들을 찾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멀리하라. 당신의 삶 속에 자리한 사람들은 당신에게 막대한 영향력을 끼칠 것이다.
독후감 - 원씽.hwp
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독서멘토, 독서리더
댓글
모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