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돈 버는 과정에서 행복해지는 방법을 배웠고, 행복하다는 말로 시작해서 울먹이며 우리를 응원한다는 말로 끝나는 너나위님의 강의를 들었다. 너나위님의 힘차고 시원한 강의를 보며 부동산 지식과 동기부여를 받은 강의였다.
임장 때는 폰을 보는 것이 아니라, 길을 외우고 분위기를 느끼는 것이다! 시세지도는 임보를 작성하면서 보면 되는 것이다.
좋은 물건을 고르는 기준은 그 지역 사람들이 30년 짜리 주택담보대출을 받앗라도 들어가고 싶어하는 곳인가를 봐야한다. '사람들이 갖고 싶은 곳인가?', '담보대출 받아서 살 정도 인가?', '이사 갈 때 두근거릴까?', '이사 가기로 결정된 날 배우자랑 눈물을 흘릴 정도일까?' 이런 생각을 그 지역에 가서 느껴봐야 한다.
투자금을 적게 들면서 투자를 하고 싶어 하는데 가격을 봐야한다. 가격이 싼 곳을 봐야하는 것이다.
★잃지 않는 투자란?
더 벌진 못하더라도 덜 위험한 것에 투자해서 목표를 이룰 때까지 투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선택을 하는 투자.
할 수 없는 것에 시간과 에너지를 빼앗기지 말고, 그 시간에 아파트 하나 더 확인해보는 것이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다.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자.
역전세는 100번 중 13번 정도 걸린다. 그러니 너무 겁내지는 말자.
<투자 이후 시나리오>
1.매매 상승/전세 상승 -> 투자금 회수 -> 대출 청산·재투자
상승초반 : 재투자 / 상승후반 : 대출청산(1년에 한 채만 사면서 대출청산)
상승초반이냐 아니냐는 상승기간보다 가격 수준자체로 판단.
2.매매 하락/전세 상승 -> 투자금 회수 -> 재(추가)투자·대출 청산
3.매매 상승/전세 하락 -> 역전세 -> 매도/현금 대응
방어가능&저평가 : 현금 대응(버티기) / 방어가능&고평가 : 매도(수익) / 방어불가 : 매도(수익)
실제 이런 경우 거의 없다. 있다하더라도 매매는 하락할 것이기 때문에 매도해야. 찰나의 순간이다. 매매가가 올랐다는 건 고평가 됐다는 것! 팔아야할 때
4.매매 하락/전세 하락 -> 역전세 -> 현금 대응/매도
한 템포 앞서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지금 같을 때(하락, 복잡한 시장) 투자하고, 투자해서 상승하기 시작(사람들은 의심)하면 재투자하고, 사람들 부동산으로 난리칠 때는 대출부터 까야한다.
큰 착각 : 좋은 것은 오를 것이다!
-> 싼 것이 오르는 것이다.
줄줄이 아파트가 다 나와야 프로다.
아파트 단지에 들어가서 보면서 어떤 동이 몇 평, 조망이 어떻게 되나?, 들어갈 때 느낌을 봐야 한다.
다니다보면 아파트끼리 등급이 느껴진다. 어떤 아파트는 대출끼고 사고 싶은지, 어떤 아파트는 어서 옮기고 싶어하는지 느껴야한다.
너나위님과 대화할 수 있을 정도로 내가 갔던 지역엔 전문가가 되어 있어야겠다. 임장, 임보를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그 지역에 전문가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아파트를 보고 외워버리자...! 그 뒤에 지역을 비교평가하고, 강의 때 들은 지식을 토대로 내가 살 물건들을 추려 나가야겠다.
댓글
재림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