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이룰 경자엄마입니다.
오늘은 지방투전 실전반의 마지막 강의인
마스터 멘토님의 강의를 듣고
후기를 작성해 봅니다.
마지막 강의는
저희 지방투자 실전반 19기 동료분들의
질문에 대한 마스터 멘토님의 답변으로
꽉 채워졌는데요.
마치 마스터 멘토님께
1:1 투자 코칭을 받는 듯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24년도 시장 상황에 대한 진단부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투자를 진행해 나가야 하고
오랫동안 시장에 살아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까지
진심으로 열강해주신 마스터 멘토님,
감사합니다♡
강의를 듣고
앞으로 제게 적용할 3가지를 뽑아 보았습니다.
ㅣ시장의 큰 흐름을 읽는다 : 가격, 금리, 정책
예전에 기초 강의에서 밥잘 튜터님께서
시장을 크게 보기 위해 3가지 사항을 체크해보신다고 하셨었는데요.
당시 강의만 듣고 제대로 적용하지 않았던 과거의 저를 반성합니다.
밥잘 튜터님께서 알려주신 방법 그대로
마스터 멘토님께서도 가격, 금리, 정책을 토대로
현재 시장 상황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전략을 구상하고 계셨습니다.
최근에 매물 임장을 진행하면서 부사님으로부터
"신생아 특례대출을 이용해서 신혼부부들이 좀 더 큰 평수로 이사하고 있다"라는
말을 전해 들었습니다. 그 순간 제가 "정책"을 놓치고 있다는 생각을 했는데요.
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거라 소홀히 여겼던 정부의 정책에
실수요자들은 발빠르게 대응하며 움직이고 있었고, 이는 바로 시장에 반영되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마스터 멘토님께 시장을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며
앞으로 기사를 접할 때 "가격, 금리, 정책"을 키워드로 정리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습니다.
BM: 경제 기사 키워드(가격, 금리, 정책)별 정리하기
ㅣ예정된 공급 물량이 많은 지방에 투자를 할 때, 1등 매물 선정 기준 : 선호도와 가격
이번에 1등으로 뽑힌 물건을 돌아보았습니다.
마침 마스터 멘토님께서 언급해주신 지역의 물건이 최종 1등이었는데요.
제가 그 물건을 1등으로 뽑았던 이유는
1) 저평가 되어 가격이 저렴했고
2) 전세가 끼어 있어 투자금이 투자 범위 안에 들어 왔고
3) 전세 만기 시점이 공급폭탄 시기를 피하고 있어 감당이 가능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공급 물량이 많은 지역의 경우, 투자금보다는 단지 선호도가 높고,
가격이 싼 것을 위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런데 마스터 멘토님의 말씀을 듣고 다시 생각해보니
제가 '선호도'를 놓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예정된 공급 물량이 많기 때문에 매도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매매가/전세가 모두 하락할 수 있다
->선호도가 높은 단지일수록 더 잘 버틸 수 있다'는 생각까지는 하지 못했습니다.
그저 지금 당장 가격이 싸고, 투자금이 감당 가능한 것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멘토님의 조언 덕분에 시야를 좀 더 넓힐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BM : 예정된 공급 물량이 많은 지방이라면 단지 선호도가 높고, 가격이 싼 것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
ㅣ결과를 낼 때까지 인내한다.
그저 될 때까지 인내한다는 멘토님의 말씀이 와 닿았습니다.
반짝반짝 빛 나지는 않더라도
그저 묵묵히 빈틈을 채워가며, 결과를 낼 때까지 하면 된다는
단순한 말씀에 모든 것이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견뎌야 하는 고통(대가)은 더 커지겠지만
그 고통을 견뎌야 잘하는 단계에 이를 수 있음을 알고
소소한 행복을 만들어가며 오래오래 하겠습니다.
느리더라도 멈추지 않겠습니다.
제가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매달 +1 만큼이라도 성장해가며
결과를 낼 때까지 인내하겠습니다.
오랜 시간 따끔한 밤송이로 정신을 차릴 수 있게끔
좋은 말씀 해주신 멘토님, 감사합니다. ♡
댓글
경자엄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