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잘한 점 : 사진으로 목표 표현, 마인드 맵, 나보다 뛰어난 멘토 자주 만나기, 30/40/50/60대 나눠서 계획, 노후 자금 계산
못한 점 : 현실성 고민 필요, 상/하위 가치 중 상위 가치 선정
*경험 상 10번 전세 거래를 하면 5번은 상승, 3번은 같은 금액, 2번은 하락
**너바나 : 전세금 상승분의 50%=재투자, 40%=Risk 관리, 10%=가족 보상
***일공일오(튜터) : 전세금 상승분의 90%=재투자, 10%=세금
뉴스(상황)보다 좋은 부동산 선정이 중요(매수가, 전세가 상승, 매도가)
시장의 평균 회귀 속성
투자자는 악재/불황=매수, 호재/호황=매도
투자는 정글 : 누군가 이익 시 상대방은 손실
투자의 본질=돈이 일하게 하는 것
사와카미 아스토의 투자 원칙
좋은 투자=같은 가격에 더 가치 높은 부동산 매수
부동산의 입지 : 직장/교통/학군/환경(커뮤니티)/호재&악재/브랜드
나의 수요 <<< 타인의 수요
직장 입지
서울 지하철 : 2호선 > 3호선 > 9호선 > 신분당선 > 7호선
교통 입지
학군 입지
환경 입지
호재/악재
브랜드
30년 뒤 일등 지역? 강남
부동산 '가격≠가치'는 기회!*이는 비교 평가를 통해 판단 가능
장기적으로 가격에 영향(흐름) : 물가, 통화량, 경기, 수요(입지=직/교/학/환/호악/브랜드), 입지 독점성
단기적으로 가격에 영향(현황) : 가격 저평가 여부(가치 > 가격), 심리, 단기 공급, 투자 기준
하락장 Risk Hedge : 원금 보전되는 무릎 이하 가격인가?
투자자는 매수 가격이 싼 것은 알 수 있지만, 언제 오르는지는 예측 불가
전세가는 매매가와 달리 변동 少
전세가를 매 번 5% 정도만 올리면 역전세 Risk는 거의 없음
*경험 상 10번 전세 거래를 하면 5번은 상승, 3번은 같은 금액, 2번은 하락
**너바나 : 전세금 상승분의 50%=재투자, 40%=Risk 관리, 10%=가족 보상
물가는 계속해서 오르는 것이 우리가 살고있는 자본주의의 본질
통화량 증가에 따라 전세가가 비슷하게 상승
전세가는 10년에 80~100% 상승
*연금 준비를 충실히 하고있는 것이 올바른 선택인가?
**대한민국 성장률 정체에 따른 물가 정체를 예상하는데, 그렇다면 전세가도 정체될 수 있는 것인가?
***대한민국의 통화량이 경상수지 흑자로 늘어났으나, 최근 15개월 연속 경상수지 적자 기록(에너지高, 반도체低)
****일본은 통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으나 성장률이 오르지 않고 물가도 오르지 않아서 월세도 변동이 없었음
*****결국 전세가 상승은 통화량 상승이 아닌 물가 상승이 Key일 수도 있음
******향후 부동산 투자 시 낮은 국가 성장률에 따른 전세가 정체도 고민 必
전세가를 최고가로 받아서 상승분으로 재투자를 하는 것은 상당한 Risk↑
Gap을 줄이기 위한 전세가 높게 받는 노력 不要
입주 수요 물량 : 인구×0.5%
*서울은 입주 물량이 너무 낮아서 결국 서울 전반적으로 토지의 용적률을 올려서 사업성을 높여줄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잘 알고, 잘 하는 것만 (투자)한다.
투자자 : 원칙 투자, 투자는 Self, 과정/결과 모두 중요, 투자의 Risk/성과 인지
너바나의 투자 원칙
기준은 원칙과 달리 계속 변경(스트라이크 존이 주심따라 변경되는 것과 같음)
소액으로 여러 채를 구매하는 것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것
임장은 6개월 후 시작하는 것 추천
독강임투인 : 책/전문가 컬럼, 강의, 실전 투자, 멘토, 러닝 메이트
투자 공부법(책) : 다독, 정리*50권/1년 절대 자신 없음
투자 공부법(인맥) : 월부 활동=투자 습관, 멘토와 러닝메이트
댓글
트윈파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