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 막연하게 갖던 지방에 대한 걱정과 불안요소를 없애주셨다.
혹여나 매도가 안될까봐, 내가 들인 노력과 시간에 비해 돌아오는 것이 없을까봐. 등등과 같은 걱정과 고민은 집어넣기로 했다. 사실 후자가 제일 걱정이긴 했다.
지방하면 멀리 가야한다는 두려움이 압도되어 생각지도 않았고. 지난번 지기 대신 열중을 선택해서 강의를 들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번에 지기를 신청하길 너무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지방투자에 대한 나의 막연한 두려움을
제주바다님께서 확신의 마음으로 바꿔주셨고.
수도권 투자 전에 지금 지방투자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
물론 리스크도 있을 것이고 체력적으로도 힘들것이다. 하지만 한 살이라도 젊을 때 딱 몇년만 고생해서
종잣돈을 불려서 수도권으로 가야겠다. 유리공도 잘 설득해 봐야겠다.
2. 광역시와 중소도시의 가격차이 비교하면서 특징을 알려주심.
나는 이번에 광역시를 신청하였다. 아직까지 광역시 임장지는 해보지 못했고 지방에서 1등이라고 불리우는 곳을 해보고 싶었기 때문. 아직 지방에 대해 아는게 하나도 없지만, 너무 기대된다.
지방과 수도권은 입지분석시 우선순위의 차이는 있지만, 크게 볼때는 비슷하게 가는 거 같다.
특히 광역시와 수도권은 많이 비슷하다고 느꼈다.
이번 임장지는 광역시 이므로 내가 그동안 다녔던, 강남구, 평촌과 비교해보는 재미가 있을 거 같다.
그리고 첫 임보를 작성한 원주와 광역시는 또 어떻게 다른 느낌일지 매우 기대가 된다.
더불어,
제주바다님이 분석해준 A와 B지역을 다음 임장지 리스트에 넣고 꼭 가보면서 강의와 비교를 해봐야겠다.
+)
질문: 부산광역시에 여러 구가 있는데, 구단위로 임보를 쓴다면 부산광역시에 있는 모든 구를 다 돌아봐야한다는 것인가? 그렇다면 부산만 계속 보는것인가 다른 지역도 봤다가 왔다갔다 하나씩 채우는 건가.
질문: 임장지를 고를때 같은 급지를 기준으로 해야할까. 아니면 수도권 -> 광역시 -> 중소도시 왔다갔다 해야할까. 앞마당 3개이상은 되야 투자를 할 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지금 투자를 준비하려면 다음 임장지를 고를때 무슨 기준으로 골라야할까? 현재, 중소도시1개, 광역시1개진행, 서울 1개, 수도권 1개 이렇게 있으면,, 어디로 다음 임장지를 정해야할까?
댓글
새댁티라노님 지기를 듣기전에는 정말 지방투자가 참 막연한 것 같아요. 투자자로 한 발을 뗄 수 있는 밑거름을 만드는 한달이 되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