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강 [제주바다]님
지방투자의 기준 및 로드맵 + A,B 지역분석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수강하는 건 처음이다.
오리엔테이션이나 라이브로만 보다가
강의로 듣게 돼서 기대되는 마음이 컸다.
1강에서 소개하는 A,B 지역 중 한 곳은
임장을 하기도 했고, 관심이 가던 지역이라
더 유의깊게 내용을 들었던 것 같다.
#지방 투자를 좌우하는 선호도
서울, 수도권과 달리 선호도에 따라
투자 가치가 달라지는 지방은
지역의 개별성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광역시는 그 지역에 가치가 있는 땅이 뚜렷한 편인데
중소도시는 상대적으로 그 부분이 모호하다.
그래서, 실제 중소도시를 임장할 때
'이 지역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이 어디일까? 그 이유가 뭘까?'
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면서 파악하려고 한 것 같다.
제주바다님이 말씀하신 선호도 즉, 입지+상품성
*입지 : 반드시 이 땅에 살아야 하는 이유 (직장,학군,교통,환경)
*상품성 : 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갖춰진 아파트 (신규택지)
이 두가지가 교집합으로 이뤄진 곳을 중점으로 살펴봐야겠다고 느꼈다.
#인구보다 중요한 공급
제주바다님이 지역 분석을 해주실 때
공급 관련 내용을 강조하시는 느낌이었다.
신축을 따라 이동하는 지방의 특성을 보았을 때
빈 땅이 많은 지역은 공급을 더 유심히 봐야하는 것 같다.
특히 교류가 많은 인접 지역을 간과한 부분이 있었는데,
공급이 많을 때 보여지는 거래 흐름을
그래프를 통해서 보여주시니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3년 연속 공급이 누적으로 쌓여있을 때는
반드시 전세와 집값에 영향을 미친다.
각 입주하는 단지의 위치와 세대량을 표로 만들어서
언제, 어디에, 어떤 단지가, 얼마나 많이 들어오는 지
꼼꼼하게 체크해둘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매번 임보에 빠트렸는데 이번에는 꼭 공급지도를 넣어봐야겠다.
#투자자로 거듭나는 설레이는 시간
임보에 남겨야 하는 것은 2가지다.
첫째. 데이터에 근거한 사실
둘째. 지역 투자에 대한 생각
진짜 액기스는 두 번째인 '생각' 쓰기라고 생각한다.
아직 투자로 이어지는 분석과 글쓰기가 어렵지만,
맨 처음 임장보고서를 썼을 때와 비교하면
(그땐 쓰면서도 무슨 내용인 지 몰랐다..)
지금은 각 장표를 어떤 이유로 써야 하는 지
목적성을 갖고 작성을 하는 것 같다.
임장보고서를 숙제가 아닌
숨은 보물을 찾는 지도처럼 여기고,
임장보고서를 쓰는 시간이
투자자로 거듭나는 설레이는 시간이 되도록
꾸준하게 한 발을 내딛으며 걸어가야겠다.
댓글
단초님 후기 잘 읽었습니다:) 강의와 임보를 연결하여 각각의 데이터가 필요한 이유를 깨닫고 그를 적용하겠다는 결심과 실천이 이번 한달동안 단초님과 또 저를 성장시켜줄거라 생각합니다! 오늘 하루도 화이팅하시고 좀있다 저녁에 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