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77조 단초]

24.02.09





1강 [제주바다]님

지방투자의 기준 및 로드맵 + A,B 지역분석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수강하는 건 처음이다.

오리엔테이션이나 라이브로만 보다가

강의로 듣게 돼서 기대되는 마음이 컸다.


1강에서 소개하는 A,B 지역 중 한 곳은

임장을 하기도 했고, 관심이 가던 지역이라

더 유의깊게 내용을 들었던 것 같다.




#지방 투자를 좌우하는 선호도


서울, 수도권과 달리 선호도에 따라

투자 가치가 달라지는 지방은

지역의 개별성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광역시는 그 지역에 가치가 있는 땅이 뚜렷한 편인데

중소도시는 상대적으로 그 부분이 모호하다.

그래서, 실제 중소도시를 임장할 때

'이 지역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이 어디일까? 그 이유가 뭘까?'

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면서 파악하려고 한 것 같다.


제주바다님이 말씀하신 선호도 즉, 입지+상품성

*입지 : 반드시 이 땅에 살아야 하는 이유 (직장,학군,교통,환경)

*상품성 : 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갖춰진 아파트 (신규택지)

이 두가지가 교집합으로 이뤄진 곳을 중점으로 살펴봐야겠다고 느꼈다.




#인구보다 중요한 공급


제주바다님이 지역 분석을 해주실 때

공급 관련 내용을 강조하시는 느낌이었다.


신축을 따라 이동하는 지방의 특성을 보았을 때

빈 땅이 많은 지역은 공급을 더 유심히 봐야하는 것 같다.

특히 교류가 많은 인접 지역을 간과한 부분이 있었는데,

공급이 많을 때 보여지는 거래 흐름을

그래프를 통해서 보여주시니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3년 연속 공급이 누적으로 쌓여있을 때는

반드시 전세와 집값에 영향을 미친다.

각 입주하는 단지의 위치와 세대량을 표로 만들어서

언제, 어디에, 어떤 단지가, 얼마나 많이 들어오는 지

꼼꼼하게 체크해둘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매번 임보에 빠트렸는데 이번에는 꼭 공급지도를 넣어봐야겠다.




#투자자로 거듭나는 설레이는 시간


임보에 남겨야 하는 것은 2가지다.

첫째. 데이터에 근거한 사실

둘째. 지역 투자에 대한 생각


진짜 액기스는 두 번째인 '생각' 쓰기라고 생각한다.

아직 투자로 이어지는 분석과 글쓰기가 어렵지만,

맨 처음 임장보고서를 썼을 때와 비교하면

(그땐 쓰면서도 무슨 내용인 지 몰랐다..)

지금은 각 장표를 어떤 이유로 써야 하는 지

목적성을 갖고 작성을 하는 것 같다.


임장보고서를 숙제가 아닌

숨은 보물을 찾는 지도처럼 여기고,


임장보고서를 쓰는 시간이

투자자로 거듭나는 설레이는 시간이 되도록

꾸준하게 한 발을 내딛으며 걸어가야겠다.





댓글


김안녕
24. 02. 09. 19:28

단초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 우와 꼼꼼하고 정성스런 후기 잘 읽고 가요. 꾸준하게 한 발 내딛으며 걸어가실 단초님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찬근찬근
24. 02. 13. 09:03

단초님 후기 잘 읽었습니다:) 강의와 임보를 연결하여 각각의 데이터가 필요한 이유를 깨닫고 그를 적용하겠다는 결심과 실천이 이번 한달동안 단초님과 또 저를 성장시켜줄거라 생각합니다! 오늘 하루도 화이팅하시고 좀있다 저녁에 봬요~

용렌버핏
24. 02. 13. 09:32

오 설레이는 순간! 엄청 성장하시겠는데요~ 고생하셨습니다 단초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