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기다리고 기다리던 지기반 첫번째 강의!
제주바다님께서 지방 투자 기준과 로드맵, 가격 비교 투자사례, 그리고 A지역과 B지역에 대한 상세한 입지분석까지 해주신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두 지역 다 미리 가보고 앞마당으로 만들었더라면 더 귀에 쏙쏙 박혔을텐데, 아직 가보지 못한 곳이라 아쉬운 마음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가보지 못한 사람도 강의만 봐도 임장 다녀온 것 같은 느낌이 들게끔 상세하게 설명해주신 제주바다님 강의였습니다! ㅎㅎ
1.빨리 심어야 결과가 나온다!
제가 지방에 투자하려고 마음 먹기 전에 가장 크게 했던 고민이 바로
'수도권도 지금 내려가고 있는데 좀 더 기다렸다가 수도권에 하면 되지 않을까?' 였습니다.
하지만 제주바다님이 첫 강의부터 이 고민에 대한 해답을 명쾌하게 내려주셨습니다.
일단 심어야 결과가 나온다! 소액으로 투자해서 1채씩 해나가야 지금부터 쌓여서 2년뒤, 3년뒤에 결과가 나온다.
맞습니다.
투자는 기회가 있을 때 하는 것입니다.
지금 기회가 지방에 있는데, 아직 오지도 않은 수도권 기회를 잡겠다고 마냥 기다리다가는 투자를 놓칠수도, 또 잘못된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지방에서 소액투자로 투자에 대한 경험을 쌓은 후에, 수도권/서울로 와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지방에서 여러번 투자를 해보면서 투자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앨 수 있는 투자자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2024년에 저는 반드시 지방 소액 투자로 1호기를 할 것입니다!
2.지방에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지 않아?
지방 투자를 한다고 하면 무조건 들을 수 있는 질문(지적?) 입니다.
저는 늘 이 질문에 제대로 답변할 수 없었습니다. 저 역시도 이런 불안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강의를 들은 지금은,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구가 증가하든, 감소하든 지역 내에서 선호도가 높은 단지는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거야.
그래서 조금 더 연식이 좋고 입지가 좋은 곳에 투자하는 거지.'
지방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 기준은 '사람들이 이곳을 좋아하느냐', '살고 싶어하느냐' 입니다.
이 투자기준에 맞춰서 투자한다면 인구가 줄어들어도 내가 산 투자 물건의 가치는 떨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3.지방 투자의 핵심 : 인구수, 입지, 상품성 (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지방은 인구수가 많은 곳을 우선순위로 하고
입지와 상품성은 지역마다 중요도가 달라서 잘 판단해야 합니다.
서울, 수도권과 달리 교통이 중요한 가격결정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구축이면 선호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입지는 일자리 + 교통 + 상권 정도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이 또한 비슷하다면 상품성이 더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신축을 따라 도시의 중심지역이 이동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4.나누는만큼 성장한다.
지금 제가 속해있는 조모임에서 제일 열심히 동료와 나눌 때 내가 제일 많이 성장한다는 말이 가장 가슴에 와닿았습니다.
나눌려면 제가 알고 있어야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나눔을 하면서 제가 더 많이 알게 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나눔에 부족한 부분이 많았는데 이제 제가 나눌 수 있는 건 나누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