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80조 할수이쏭]

  • 24.02.12

오랜만에 다시 수강하게 된 지방투자기초반이라 설렘반+걱정반이였다.

이번 강의에서는 어떤 지역에 대해 분석해주실지에 대한 설렘!

임장지와 거주지랑 멀어서 어떻게 이동할지에 대한 걱정ㅠ_ㅠ


하지만 지난 강의를 통해 꼭!! 가봐야겠다고 생각한 지역이

마침 배정이 되어서 첫번째 목표(?)를 달성했다는 것에 기분이 좋았다.


지난 지기 강의 때, 중소도시에 대한 입지분석을 강의를 통해 들을 수 있어 너무 유익했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제주바다님께서 중소도시 A, B 지역에 대해 분석해주셨다.


수도권과 가까운 지역이라 많은 분들이 임장지로 다녀가신 듯 했다.

그래서 더욱 흥미롭기도 하고, 다음 임장지로 꼭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번에는 한번도 가보지 않는 생소한 지역이라 강의 내용이 잘 들리지 않아 고생이였는데,

이번에는 그래도 지난번에 들었던 기억이 있어 약간은 익숙한 느낌이 들었다.

이미 앞마당으로 만든 수강생분들께는 더 익숙하고, 내 생각과 일치한지 강의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어 더 유익한 강의가 되었을 것 같다.


본 것

  1. 같은 중소도시라고 해도 지역마다 선호도가 다르다. (중소도시라고 무조건 신축은 아님!)
  2. 손품을 통해 최대한 그 지역에 대해 많은 것을 조사하고, 발품을 통해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3. 최근 공급이 많았던 지역일수록 신축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다.
  4. 공급이 몰리는 중소도시 신규 택지 입주장이 기회일 수 있다. (중심지 나홀로 신축보다 선호함)
  5. A,B지역이 중소도시를 대표하는 곳. 여기를 중심으로 잡고 보는 것이 좋다.


깨달은 것

  1. 중소도시 앞마당을 늘려서 아는 지역을 많이 만들어 놓기
  2. 지역분석, 시세따기까지 마치고 분임, 단임 가기 (적어도 지역분석은 하고 임장가기)
  3. 공급에 대해 유의 또 유의하기 (공급 캘린더 활용, 만기 3개월 전 공급 맞물리는 것 고려할 것)


적용할 것

  1. 분임 전 지역분석 제대로 하고 가기
  2. 임보작성시 공급캘린더 작성하기
  3. 인구를 주고받는 지역의 공급도 파악하기

댓글


별바람햇살나무
24. 02. 13. 10:26

할수이쏭님~^^ 정리 깔끔 완벽하십니다~^^ 화이팅 ㅎㅎ

비스타
24. 02. 15. 19:27

할수이쏭님처럼 저도 재수강하면 잘 들리려나요?ㅎㅎ 강의를 통해 얻고 적용할 것을 강의후기에 잘 정리해주신 모습 짱입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