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후기 [지기17기 진정한 7ㅏ치를 볼 줄 0ㅏ는 투자자들 일단열어]

  • 24.02.13



지방투자 기초반 첫수강 첫번째 제주바다님 강의 후기


이번에 A/B지역 강의로 최근 여러 동료들이 갔었던 지역에 대한 강의를 해주셨다.




지방은 수도권과 다른게 있다.

첫번째 강의를 들으며 느낀점은 교통은 없고 연식을 더 중요시 봐야한다는 점이다.

수도권은 강남 혹은 주요 업무지구와의 접근성이 어떤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역과의 접근성 또한 단지를 볼때 중요하게 보는 요소였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교통에 대한 부분은 그냥 KTX가 지난다, 역이 어디어디 있다 정도지 그에 대한 중요성은 한번도 언급이 없었던것 같다.

반대로 연식에 대한 중요도가 많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B지역은 입지를 보지말고 연식이 더 우선이다' 라고 말씀하실 정도로 연식과 그에 따른 환경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A지역의 1등 생활권의 경우 대체가 불가능한 지역으로 그곳은 구축도 투자가 가능함을 말씀해주셨다.

입지 독점성이 확실히 있는 지방의 경우 구축도 가능하다!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 -> 초등학교 학생수, 고/저학년 학생수

매번 임보를 쓰면서 갸우뚱 했던 부분이다. 초등학교 학급당 학생수를 적는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은 생각이 들였다.

학급 수가 적어서 학급당 학생수가 높을 수가 있을것이고, 학생수가 많아도 학급수가 그보다 많아서 이 숫자가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인지 전체 학생수를 표현하시면서 강의를 해주셨다.

그리고 고학년 학생수가 많을 수록 그곳이 학군지로서 수요를 이끈다는 점을 말씀해주셨다. 내가 갔었던 평촌 귀인마을이 그랬다.

그래서 나는 이번부터 임보에 아래 두가지를 적용해봐야 겠다.

1) 초등학교 전체 학생수 적기

2) 고학년/저학년 학생수 적기


공급은 정말 중요하다 세부적으로 들여다 봐야한다.

공급은 아실에서 연도별 공급 그래프만 보고 대략 적정수준인지만 판단을 했었는데

입지가 좋은 곳, 브랜드, 대단지, 인구수요를 주고받는 곳에 입주가 되면 내가 투자를 했을때 내 투자의 리스크로 볼 수 있다. 반드시 월별 입주물량을 파악해 보고 내가 선택한 지역과 관련이 있는 곳의 공급은 디테일하게 점검을 해봐야 겠다.


댓글


이켄
24. 02. 13. 21:55

열어님! 한 주 동안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강의 들으시고 후기까지!!! 1주차 강의를 통해 지방 지역을 바라보는 시야가 더 넓어지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남은 3주도 화이팅해요!! 고민이나 어려운 것들 있으면 언제든 저나 우리 70조 조원분들을 찾아주세요. 같이 해결해봐요ㅎ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