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본깨적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31조 카틀레야]

24.02.18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02.16

4. 총점 (10점 만점): 9점/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책을 읽다 삶이 바뀌다]


p50 책은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큰 동력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선뜻 책을 읽지 못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책을 읽으면 정말 삶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믿지 못하게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책을 읽으면 변화한다는 것을 믿으면서도 그동안 워낙 책을 읽지 않아 책 읽기 자체가 힘들어서 이다.


[Chapter2.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분명 책을 읽을 때는 큰 깨달음이 있었는데 책을 덮고 조금만 지나면 강도가 약해지고 하룻밤 자고 나면 기억 속에서 사라질 때가 많다. 본깨적 책 읽기 는 책을 읽는 대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책에서 본 것이 무엇인지, 책을 보면서 무엇을 깨달 았는지를 정리하고 일상 생활이나 업무에 적용할 만한 것이 있는지 고민해 보는, 살아있는 책 읽기다.


P101 우리 주 변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메세지를 전달하는 자기계발서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책의 내용은 어디 까지나 저자의 주관 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나와는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저자의 성공담을 자랑하는 정도로 여기기 때문이다.


[Chapter3. 실전! 본깨적 책읽기]


삶을 변화시키는 책 읽기는 책 내용을 이해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책에서 본 내용을 토대로 깨닫고, 삶에 적용하기를 반복해야 삶이 바뀔 수 있다. 본깨적 책 읽기는 책을 읽고 삶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 읽기다.


[Chapter4.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원 북, 원 메세지,원 액션'을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과한 욕심은 오히려 실천을 방해하므로 책 한 권에서 하나씩만 꾸준히,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북 바인더는 기본적으로 '원 북, 원 메세지, 원 액션'을 원칙으로 한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 많아도 한 책에서 하나의 메세지를 선정해 그것만 실행하는 것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도 충분하다. 다 읽지 않아도 읽은 것으로 치라니 충격이다. 그동아 나는 죄책감 느끼고 찜찜해 했다. 마음 편하게 골라 읽어도 된다다. 오~예~ 


실제로 나는 자기계발서에 관심이 없었다. 아니 책 자체에 관심이 없었다. 특히 자기계발서는 어차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똑 같다 생각했다. “열심히 살아라. 노력 해라’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야기.. 그래서 성공담이 담긴 자기계발서를 보면 그냥 반감이 생겼다. 생각해 보면 질투심? 이였던 것 같다. 나는 못한다. 생각했기 때문에… 아마 하기싫어서 핑계를 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작년 우연한 계기로 윌라 오디오북을 집안일 하면서 듣게 됐다. 그냥 집안일 하면서 심심함을 풀고자 들었다. 고전 소설이나 베스트 셀러 소설로 시작했고.. 듣는게 너무 재밌었다. 어? 책 이거 어렵지 않네?? 한번 실물 책으로 읽어볼까? 그때 한참 관심있던 육아서부터 시작했다. 관심 분야라 그런지 나름 어렵지 않게 읽게 됐다. 하지만 뭔가 부족했다 그러던 중 육아서 독서모임에 참여하게 됐고,,, 6개월에 걸쳐 일주일에 한번 모임을 갖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권을 정말 제대로 읽었다. 읽고 대화하고 적용하고 다음에 후기를 또 이야기하고.. 그러면서 아이와 가정의 삶이 조금씩 바뀌는 것을 느꼈고 좋은 사람들과의 교류가 좋았다.

[나는 본깨적 노트를 작성만 안했지 본깨적을 하고 있었다]

나는 아직 책을 제대로 읽지 못한다. 이해가 잘 되지 않고 술술 읽히지도 않아 어렵다.

하지만 이 책의 서두에 제대로 책 읽는 방법을 알려준다니 기대된다.

이 책에서 말하는 대로 알려준 방법을 적용해 나의 삶을 독서로 경영해 보고 바뀌는 나의 삶을 기대해 보련다.


본깨적 책 읽고나서 나만의 한 줄 정리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을 연습해서 독서를 습관화 만든다면 삶이 바뀔 수 있다.

그 삶을 변화 시키는 책 읽기는 과욕을 부리지 말고 책에서 말하는 메세지를 한가지씩 매일매일 실천해서 지속하는 것 그것이 본깨적 책읽기의 핵심이다.


-책 읽을 준비 :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 뽑아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을 정리

-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기 : 최대한 빨리 효과적으로 책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

-귀접기 : 목차보고 관심가는 내용의 페이지 귀접기 (이유: 술술 책을 읽다가 귀퉁이가 접힌 페이지가 나오면 속도를 줄이고 내용을 음미하면서 제대로 읽어본다.

-밑줄과 박스를 치면서 읽기 : 책 내용을 한 번 더 보면서 기억할 수 있다.

-P148 관심이 가는 내용.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선과 박스로 표시 -> 표시한 내용을 키워드나 핵심 문장으로 요약하여 페이지 상단에 기록 -> 읽은 페이지에서 새롭게 깨닫게 된 지식이 있으면 하단에 기록 -> 본것,깨달은 것을 바탕으로 실천하고 싶은 아이디어를 하단에 기록


P168 이상하게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은 비슷비슷 했다. 어떤 책을 읽고 깨닫고 적용할 것을 쓴 것인지 구분조차 되지 않았다. 나는 아직도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어떻게 구분해서 써야 하는지 감이 안 온다.


본 것 : 저자의 관점에서 보려고 노력

깨달은 것 : 나의 관점에서 보는 것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읽기 전 핵심 키워드 뽑기 / 읽은 후 핵심 키워드 뽑기 : 책을 읽기 전/ 후 비교 해 보기

본깨적 노트 작성 : 블로그 이용

이번 월부 조모임을 최대한 활용 해 본깨적 노트와 독서모임 연습.

평생 책 읽기 플랜 작성해 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72 다양한 생각을 공유해야 생각이 깊어진다.

'한 사람이 10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 하는 것이 더 낫다'


p181 지식은 본 것이 아니라 깨달은 것

지식 :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단순히 알고 있는 수준을 넘어 자신의 입장에서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해할 때 '지식'이라 할 수 있다.


p182 본 것의 주체는 저자지만 깨달은 것의 주체는 나. 전자의 입장에서 얻은 정보를 내 입장에서 분석하고 통합하는 것이 지식이라면 지식은 당연히 깨달은 것에 포함되어야 한다.


P232 책을 많이 읽는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그런데 세상에는 책을 읽어도 변하지 않는 사람이 많아요. 우리 직원 중에도 책을 엄청 많이 읽는 친구가 있습니다. 어느 날 제게 와서 '대표님, 혹시 이 책 읽어보셨어요?라고 묻더군요. 약간 빈정거리는 느낌이였습니다. 아직 읽지 않았다는 대답에 그 직원은 냉소를 보이더군요. 그런 직원에게 제가 물었죠. 넌 그렇게 책을 많이 읽었는데 왜 삶은 변하지 않니?


P234 삶을 변화시키려면 '지속성'이 중요하다. 하루 이틀 반짝 열심히 사는 것보다 하루에 한 가지씩이라도 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할 때 삶은 변한다.


P236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지 못해 책 읽을 시간을 확보하지 못할 뿐이다.




댓글


카틀레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