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 책의 개요
1. 책 제목 :
2. 저자 및 출판사 :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지음 / 구세희 옮김
3. 읽은 날짜 : 24/02/10, 24/02/18
4. 총점 (10점 만점) : 10
STEP2. 책에서 본 것
#초점탐색 #등비수열 #도미노
이 세가지를 꼽은 것은 우리가 원씽을 하기위해서 알아야 할 의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라 생각해서 꼽았다.
#초점탐색을 통해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관련., 그것에 집중하여
그래서 매일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첫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선형 >> 기하급수적#등비수열)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그 다음에 또 한가지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들이 쌓이다 보면 성공의 잠재력이 봇물 터지듯 발산된다.
그리고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번에 하나씩이다.
가장 중요한 도미노의 배열이 완성되면 가장 앞에 있는 도미노-원씽에 집중하여, 이 #도미노만 넘기면 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정말 여러가지가 있었다.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자기관리에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하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마이클 펠프스의 사례를 꼽으며, 성공하기 위해서 모든 것을 잘하기 보다는 아주 특정부분을 선택하여 그 부분을 잘하면 된다는 것이다. 우리말 중에 '팔방미인'이라는 말이 있다. 모든 것에 빠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것도 잘하고 저것도 잘하기 위해서, 시간을 넓게 나눠서 써버린 결과 살아오면서 아주 특정부분에 있어서 전문가가 되지 못했던 것 같다.
직장에서도 좋은 사람, 가정에서도 좋은 사람.
직장에서는 이것도 잘하고, 저것도 잘하는 사람, 뭐하나 빠질 것이 없는 사람.
하지만 사실 이것은 내가 만들어낸 허상, 신기루에 불과했을 지도 모른다.
돌아보면 모든 것에 관심이 많았던 친구, 동료들 보다는 일이 생기거나 특별한 일이 있어서 누군가를 찾게 되었을 때, 나조차도 그 분야의 전문가로 소문난 사람을 찾았지 이것저것 해봤다는 사람을 찾은 기억은 없다.
나도 누군가에겐 그런 기억의 존재일지도 모르지만 (웃음)
부동산을 공부하기로 결심하면서, 내가 가고 싶은 분야를 정했고, 그 방법에 대한 길을 만들어 놓았으니 이제 그만 집중해도 좋을 듯 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을 읽고 나는 #의지력 부분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배치해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결정을 해야할 일이 있을 때, 너무 많은 일을 하고 난 후에 그런 상황이 오면 대개 내 판단은 좋지 않은 쪽으로 흘러 갔던 기억이 많다. 평소보다 더 나쁜 악수를 두게되는 일 말이다.
나는 이런 때 뇌가 쪼그라드는 느낌을 가끔 받고는 했는데, 실제로 그것이 맞을 줄 이야.
의지력도 피곤함을 느낀다.
의지력은 즉 휴대전화에 남은 배터리의 양과 같다고 한다.
수명이 정해져있는 것이다.
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 경험은 이미 수만번 해보았고 그래서 옆에 커피를 수혈해가며 살고 있다.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배웠다.
혹 의도적인 효과를 주고 싶다면 예전에 동기부여 영상등을 보고 의지를 강제주입해서 충만한다음, 중요한 일을 해서 잘 되었던 경험도 있다. 이것을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 : 부동산 중급 이론 공부를 하면서 적용해볼 생각이다.
추가로 좋은 음식을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식단에도 신경을 써보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기적은 항상 극단에서 일어난다.
모든 일에 관심을 쏟으려 하다 보면 그 모든 일에 대한 노력이 부족해지고, 제대로 완수되는 일이 하나도 없게 된다.
>> 중도적인 삶을 살아도 괜찮은 때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는 떄도 있다. 언제 중도를 택하고 언제 극단을 달려야 할 지 아는 것이 본질적으로 지혜로운 삶을 사는 방식이다.
탁월한 성과는 바로 이와 같은 시간과의 타협을 통해 이루이 진다.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여기에서 우리는 딜레마에 빠진다. 극단을 추구하다 보면 자신의 한계를 맞닥뜨리게 되기 때문이다...우리 삶에서 '균형'이 무너지지 않을까 덜컥 겁을 내고 물러난다.
#위대한 성과는 우연히 나타나지 않는다. 성과는 우리가 내리는 선택과 우리가 취하는 행동에서 나올 뿐이다.
올바른 과업을 먼저 완수하면 올바른 사고방식과 올바른 기술, 올바른 인간관계를 먼저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당신의 행동은 초점탐색 질문의 힘을 받아
이전의 완성된 일 위에 또 다른 완성된 일을 쌓는, 자련스러운 진보의 과정을 겪게 된다. 즉, 엄청난 파급력을 갖는 도미노가 세워지는 것이다.
#삶에 책임감을 불어넣는 가장 빠른 길 중 하나는 책임감 있는 파트너를 찾는 것이다. 책임의식은 친구나 동료로부터, 그중에서도 가장 높고 고귀한 형태는 코치나 멘토에게서 나온다.
경우가 어떻든 책임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인간관계를 확립하고, 파트너에게 언제나 가장 정직한 진실만을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목표를 적어놓는 사람의 성공 가능성 : 39.5퍼센트 // 자신의 목표를 적어두고 친구들과 그 상황을 공유한 사람들은 그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76.7퍼센트나 높았다.
"아마추어와 세 그룹의 전문 연주자들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미래에 전문 연주자가 된 사람들은 스승이나 코치를 찾아내고 그들의 지도하에 훈련을 한 반면, 아마추어들은 그와 비슷한 유형의 연습을 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었다."
명심하라. 우리는 평범한 결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남다르고 탁월한 성과다. 높은 생산성은 아무나 발휘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댓글
마스터건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