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2.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ㅇ본깨적 책 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하는 것)
깨달은 것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것이 적(용) 이다
ㅇ1124재독법이 망각을 잡는다
1124 재독법이란? 1일,1주,2주,4주,한 달 동안에 네 번을 반복해서 읽으면 해마가
꼭 기억해야 할 중요한 정보라 판단하고 기억 속에 각인하는 작업을 한다.
책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네 번은 반복해야 뇌가 기억한다.
ㅇ빨리 읽는 것보다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ㅇ책을 몇 권이나 읽어야 삶을 바꿀 수 있을까
본깨적 책 읽기로는 300권이면 가능하다
ㅇ수편적,수직적 병렬독서의 조화가 필요하다
깊은 고민과 해답이 필요할땐 수직적 병렬독서
사고를 확대하고 유연하게 만드는 수평적 병렬독서
3.실전! 본깨적 책 읽기
ㅇ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으면 책 읽기 효과가 배가된다.
ㅇ밑줄과 박스를 치면서 읽으면 집중력 쏙쏙!
ㅇ책 여백 상하단에 본깨적 정리하기
ㅇ본깨적 노트 작성,선택이 아닌 필수
중요한 대목을 베껴 쓰는 것이 기본
책을 읽으면서 중요한 내용을 가려 뽑아 옮겨 적는 것을 초서,혹은 초록 이라고 한다.
초서와 초록을 즐긴 대표적인 인물로는 다산 정약용과 정조를 꼽을 수 있다.
ㅇ333본깨적으로 변화의 속도를 높인다.
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 가지,MRK
마음을 움직이는 모든 것을 동기 라 할수있다
삶의 변화는 작은 변화에서 시작된다.
사실 적용은 개선과 아이디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ㅇ인문학 책 읽기,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첫째,저자의 생애 업적 알아보기
둘째,시대적 상황 파악하기
셋째,소설의 플롯(구성) 파악하기
철학서는 세계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문제,즉 인간의 세계관은 가장 직접적으로 다루는 책이다.
세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 인간에게 해석되는지도 문제 삼는다.
그래서 철학서를 읽는 사람은'나는 이렇게 생각한다'는 것을 뛰어넘어
'내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하고 자문하게 된다.자신의 생각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것이 철학이다.
4.북 바인더,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ㅇ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한 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깨달음을 얻고 '원 북,원 메시지,원 액션'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ㅇ과함은 모자람만 못하다
과한 욕심은 오히려 실천을 방해하므로 한 책에서 하나씩만 꾸준히,확실하게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삶은 충분히 변한다.
ㅇ 21일의 법칙
새로운 행동이 완전히 습관으로 굳어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은 약3주다.(21일)]
책을 빨리 읽고 올바르게 읽고 싶었던 차에 만나게된 본깨적!
책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빨리 읽는 것 보단 제대로 읽는 것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1,반복해서 읽기
2,수평으로 읽기
3,중요한 부분 읽기
4,북 바인더 쓰기
ㅇ깨달음은 변화의 시작이다.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습관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ㅇ알 속에 있는 병아리가 알을 깨기 위해 부리로 껍질을 쫄때,
어미 닭은 병아리가 빨리 알을 깰수 있도록 밖에서 껍질을 쫀다.
이를 '줄탁동시'라고 한다.
ㅇ잔은 차야 넘치고,물은 100도가 넘어야 끓는다.
ㅇ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양화가 악화를 구축하는 힘이 더 크다)
ㅇ한 권의 책은 하나의 씨앗(한권의 독서가 여러권의 독서로 이어진다는 의미다)
ㅇ책은 모래사막에 있는 낙타와 같다.낙타는 뜨거운 태양을 막아주지 못한다.
하지만 내가 걸어가는 길에 함께해주고,목적지까지 갈 수 있게 도와준다
ㅇ"불영과불행" 물이 흐르다 웅덩이를 만나면 그 웅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간다.
댓글
다혀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