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강의후기
[ 느낀점 ]
1.직접 가봐야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음: 강의만 듣는 것으로는 지역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직접 방문하여 현장을 살펴보고 느껴야만 그 지역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와닿았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2. 지방 투자, 신중한 접근 필요: 지방 투자는 매력적인 반면, 주의해야 할 점도 많습니다. 특히, 신규 택지 개발 계획, 인구 구조, 일자리 접근성, 학군, 환경, 재개발/재건축, 투자 기준 등을 꼼꼼하게 분석해야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3. 저평가 vs 저가치: 저평가된 지역은 가격이 싸지만, 수요가 부족하여 다시 팔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저가치 지역은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곳으로, 투자 가치가 높습니다. 지방에서 저평가와 저가치를 잘 구분해야 잃지 않는 투자가 가능하며 나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 투자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 적용할 점 ]
1.앞마당의 중요성: 앞마당은 아는 지역이 많을수록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강의에서 언급했습니다. 이는 많은 지역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투자에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광역시 39개 구와 중소도시 17개 구를 모두 분석하는 데는 4년 반이 걸리지만, 꾸준히 노력하고 하나하나 앞마당으로 만들어 투자 실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입니다.
2. BM 해보기: 강의를 듣고 강사님들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임장보고서를 작성해보고 분석 능력을 향상시키겠습니다. 특히, 인구 구조, 일자리 접근성, 학군, 환경, 재개발/재건축, 투자 기준 등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투자 판단에 활용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꿈은 목적지가 아닌 항해 그 자체라는 말처럼, 꾸준히 노력하며, 투자를 통해 성장해나가는 과정 자체가 즐겁고 행복한 것이라고 생각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