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중급반 35기 129조[델리아예시카]

  • 24.02.21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지음 / 위즈덤하우스

3. 읽은 날짜: 2024.02.20

4. 총점 (10점 만점): 10점/ 8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2장.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책은 삶을 변화시킬수 있는 큰 원동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책 읽기 방법으로는 아무리 책을 읽어도 그때뿐이다. 금방 잊고, 다시 찾아보려고 하면 어느 책 어디에서 읽은 것인지 기억이 나지않고 잠시 마음속에 희망을 품다가도 변하지 않은 현실에 시달리다 보면 또 다시 의기소침해지기를 반복한다. 이런 악순환의 고리는 보고(본 것), 깨닫고(깨달은 것), 내삶에 적용하는 (적용할 것)하는 ‘본깨적’ 책 읽기를 알고 난후 깨달았다.

# 삶을 바꾸는 책 읽기는 본깨적이다.    p67

살아있는 책 읽기는 ‘본깨적 책읽기’로 통한다.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본것, 깨달은것을 정리해두는것 -> ‘본깨적 노트’

1)저자의 관점에서 보라

2)깨닫고 적용해야 삶이 변한다. -> ‘나’의 관점

# 1124재독법    p81

에빙하우스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은 지식을 습득한 후 10분이 지나면 바로 잊기 시작한다고한다. 시간에 따라 위에 그래프와 같이 잊어버리도록 되어있다. 우리가 어제 읽은 책을 오늘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 망각의 법칙 앞에서는 누구나 평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복’이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질 무렵 다시 읽기를 네번 반복하면 책 내용을 오래 기억할 수 있다. 하루가 지나면서부터 망각 속도가 다소 둔화되므로 1124(1일,1주,2주,4주) 반복해서 읽는다. 이를 1124재독법이라 한다. 이렇게 하면 보다 선명하게 기억할 수 있다. 책을 읽고 삶을 변화시키고, 책을 읽은 효과를 확실하게 얻고 싶다면 1124재독법을 꼭 적용해보기를 권한다.

# 빨리 읽는 것보다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P87

책을 읽을 때 준비와 마무리를 했느냐 안 했느냐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진다.

ð 준비20, 읽기70, 마무리10

속독의 열쇠는 빨리 읽는 기술이 아니라 배경지식에 있다. 배경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책 읽는 속도는 빨라진다.

# 나를 이해하는 방법, 책속에 있다.P99

삶을 바꾼다는 것은 오랫동안 나를 지배해온 생각과 습관을 바꾸는 것과도 같다.

변화하고 싶다면 나를 둘러싼 단단한 껍질부터 깨야한다. 그 과정은 당연히 고통스럽다. 하지만 고통이 무서워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는다면 변화는 불가능하다. 고통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변화는 시작된다. 책을 통한 간접경험도 고정관념이나 습관을 깨는데 도움이 된다. 가장 쉽고 넓게 간접경험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책만 한 것이 없다.

# 실행을 방해하는 원인부터 제거하라.    P111

책을 읽고 삶을 바꾸려면 적용, 즉 실행을 해야한다. 

1)아는 것과 실행은 다르다.

실행을 방해하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가 ‘아는 것’과 ‘실행’을 동일시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이런 우를 범한다. 안다는 것만으로 이미 변화했다고 착각한다. 아는 것과 실행을 동일시해야한다. 인식과 생각의 변화는 행동을 부르기 마련이다. 반사 기능처럼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 아니라면 대부분 인식 이후에 행동이 뒤따른다.

2)정보 과부하가 실행을 방해한다.

‘정보 과부하’ 또는 정보가 부족하면 오히려 실행을 하기가 더더욱 어렵다. 특히 정보 과부하로 인하여 실행을 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얻기보다는 적은 양이라도 중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여러 번 반복해서 읽고 배우는 것이 좋다. 생각이 확실하면 그만큼 실행하기도 쉽다.

3)행동을 제한하는 부정적 사고방식

사람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경향이 있다. 이런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변화할수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긍정적 마음가짐과 사고방식으로 실행을 돕고 창의력과 독창성을 향상시킬수도 있다. 그 만큼 행동의 범위도 넓어져 삶이 더 큰폭으로 발전하고 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 수평적, 수직적 병력독서의 조화가 필요하다.    P117

수직적 병렬독서 : 완전히 다른 주제를 다룬 책들을 읽는 것 -> 같은 주제의 동일한 고민을 풀기 위해 답을 찾아내는 책 읽기

수평적 병렬독서 :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 책들을 동시에 이것저것 골라가면 읽는 독서법 -> 다양한 주제를 동시에 섭렵하면서 사고가 유연해지고 인식의 범위도 확대된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된다.


[Chapter2. 3장. 실전! 본깨적 책 읽기.]

# 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으면 책읽기 효과가 배가된다.    P138

최대한 빨리, 효과적으로 책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손으로 책을 읽으면 재독을 할 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1)책과 나의 연관성 점검하기 => Before Rdading

2)귀접기 : 책을 읽다가 관심이 가는 페이지가 나오면 책상단 끝 귀퉁이를 접어보자 이를 ‘귀접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3)밑줄과 박스를 치면서 읽으면 집중력이 쑥쑥!

4)책을 읽으면서 본 것은 책 상단에, 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 적는다.

5)단 5분이라도 책을 읽은 다음 내용을 되짚어보고 책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면, 책이 온전한 내 것이 되고 삶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6)중요한 내용이 담겨 있는 페이지에 인덱스를 붙이고 키워드를 적어놓으면, 나중에 인덱스만 보고도 쉽게 원하는 페이지를 찾을수 있다.

7)나만의 평가 작업하기 => After Redaing

# 본깨적 책 읽기, 함께하면 효과가 더 크다.    P171

책을 읽은 후에는 여러 사람이 모여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공유하는 것이 좋다. 삶이 변화하는 속도도 빠르고 변화의 폭도 커진다. -> ‘함께’라야 오래가는 본께적

# 333본깨적으로 변화의 속도를 높인다.    P177

1)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가지, SKI (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

2)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Motivation, Role-model, Knowledge)

3)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가지, KIA (Kaizen, Idea, Action plan)

[Chapter3. 4장.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바인더는 단순히 일정을 기록해두는 다이어리가 아니다.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라 어떻게 시간을 쓸 것인가를 계획하고 실행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극적인 시간관리 시스템이다.꿈을 이루거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북 바인더는 원래의 바인더를 본깨적 책 읽기에 맞게 특화한 것이다.

=> 독서습관 + 지식 자서전 (분류와 정리 기능이 뛰어나다.)

# 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P212

목표를 종이에 기록해 둠으로서 아무래도 잘 보게 되고, 그때마다 목표를 생각하고 목표를 이루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그렇게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노력이 습관이 되고, 그 습관이 쌓여 목표를 이루게 만든다. 생각만으로는 습관이 형성되지 않는다. 실천이 뒤 따라야 한다. 실천 가능성을 높이려면 계획이 필요하다.

1)평생독서 계획표 작성하기

2)월간독서 계획 세우기

3)주간계획 세우기

4)일간계획 세우기 (체크리스트로 점검)

#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p231

아무리 좋은 내용이 많아도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선정해 그것만 실행하는 것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나도 저자의 말처럼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여러권의 책을 읽었지만, 지금 기억나는 책이 제대로된 것이 하나도 없다. 책에서 말하는 망각의 곡선때문인 것 이겠지만, 본깨적에서는 책을 읽기전에 준비하고 읽고 마무리하는 등의 과정으로 책을 제대로 읽은후에 그것을 바인더화 시켜서 정리해 놓으면 나중에 다시 보고 싶은 중요한 정보가 있을 때, 또 보고 싶은 글이 있을 때, 제대로 찾을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내용을 정리하면서 다시한번 보게 되기 때문에 기억에 더 오래 남을수 있을거 같다.

책을 그동안 손에서 놓고 지내온지 몇십년이 되었다. 책을 이렇게 다시 보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월부에 들어오면서 투자공부를 시작하게 되고 무엇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들었기 때문에 다시 책을 접하게 되었지만, 다시 읽는대 다행이도 책을 그다지 어렵지 않게 예전에 속도를 금방 잡을 수는 있었던거 같다. 책은 내가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 투자공부라는 것을 하기 위하여 나의 멘탈을 잡아줄 것이며, 내가 알고자 하는 많은 정보를 주리라는 것을 알고 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이제부터 책을 읽으면서, 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으며 본 것은 상단에 내가 생각하고 느낀것들은 하단에 간략하게나마 적어놓아야겠다. 그리고 투자와 관련하여 마인드셋을 위한 책위주로 수직적 병력독서를 통하여 읽어야겠다는 생각을했다. 책을 읽기전에 나와 맞는지, 나의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책에 목차를 통해 점검해보고 책을 선별하여 읽어봐야겠다. 

2. 일단 책에 목표량을 장,중,단기적으로 정해놓고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본것, 깨달은것을 정리해두는 본깨적 책읽기를 적용하여 책을 읽어야겠다.

3. 책을 하나하나 완독할때마다, 분야별로 바인더를 만들어서 정리해놓으면 기억하기도 수월하고 정리도 되고 나중에 찾아보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 수월할거 같아 만들어볼 생각이다.

4. 망각의 속도로 인하여 책을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 1124 재독법을 활용하여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같은책을 재독해봐야겠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99) 삶을 바꾼다는 것은 오랫동안 나를 지배해온 생각과 습관을 바꾸는 것과도 같다.

변화하고 싶다면 나를 둘러싼 단단한 껍질부터 깨야한다. 그 과정은 당연히 고통스럽다. 하지만 고통이 무서워 아무런 시도도 하지 않는다면 변화는 불가능하다. 고통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변화는 시작된다. 책을 통한 간접경험도 고정관념이나 습관을 깨는데 도움이 된다. 가장 쉽고 넓게 간접경험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책만 한 것이 없다.

(P. 171) 본깨적 책 읽기, 함께하면 효과가 더 크다.

 아파트 투자를 공부를 하면서도 강조된 것 중에 하나가 동료였는대 책읽기도 역시 함께 내용을 공유하고 이야기해야 기억에 오래남는다고 한다는 내용을 보면서 혼자보다는 둘이해야 더 시너효과를 발휘할수 있구나… 목표를 향해서는 ‘함께’ 으샤으샤 해야한다는걸 다시한번 깨닫게 해주는 문구였다.

(P. 177) 333본깨적으로 변화의 속도를 높인다.

1)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가지, SKI (Subject, Keyword, Impressive phrase)

2)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Motivation, Role-model, Knowledge)

3)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가지, KIA (Kaizen, Idea, Action plan)

(P. 234)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아무리 좋은 내용이 많아도 한 책에서 하나의 메시지를 선정해 그것만 실행하는 것이다.


댓글


델리아예시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