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
저자 및 출판사 : 앨런 피즈, 바바라 피즈 / 반니
읽은 날짜 : 2024.2.18.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망상활성계 #긍정적이고구체적인시각화 #확언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앨런 피즈, 바바라 피즈
관계학 분야 작가
2. 내용 및 줄거리
[본]
* 망상활성계(RAS, Reticular Activating System)
-뇌간에서 뻗어나온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다발
-포유류 뇌의 한 영역, 척수를 타고 올라오는 감각정보를 취사선택해 대뇌피질로 보내는 신경망, 중뇌에 주로 집중
-상행성: 대뇌피질, 시상, 시상하부 등으로 연결 (고통, 촉각, 온도)
-하행성: 소뇌와 연결, 몸의 감각신경들로 연결
-감각기관으로 연결되는 거의 모든 정보가 RAS를 거쳐 뇌로 들어감.
-뇌가 바깥세상에서 받아들이는 감각정보를 걸러주는 그물, 관문, 뇌의 활성화 스위치, 동기부여 센터, 관제센터.
*메인 원리
-무엇을 원할지 목표 정하기
ㄴ 긍정적, 수치화하여 구체적,
=> 관련 정보가 사방에서 보이고 RAS가 어떻게(방법)를 찾음.
-효과를 높이는 방법
1) 손으로 쓰기 (억만장자의 팁)
2) 데드라인 설정하기 (현실적, 빠듯, 지금 당장 시작, 목표를 잘게 쪼개어 각각 데드라인 설정)
3) 책임감 가지기 (모든 것은 나의 선택)
4) 시각화 (긴장 풀기, 대상 그리기, 나를 넣기, 행동에 옮기기)
5) 긍정 확언 (나는 -이다/한다, 구체적, 주어 나)
6) 좋은 버릇 들이기
7) 확률 계산 (80/20법칙, 20에 집중, 미리 계산): 성과의 80%가 노력의 20%에서 나오도록
- 긍정적인 생활
1) 웃음 (만병통치약, 엔도르핀=불안해소, 진통작용,자연흥분상태 / 엔케팔린=신경안정제, 진통제 / 펩티드 = 뇌 분비 화학물질, 감정 정보에 따라 다른 펩티드가 몸에 흘러다님)
2) 두려움X (제한 시간 두기, 휴식-상식적 생각-기본)
3) 포기X, 좌절X
4) 몸에게 지령 내려라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깨]
*내가 스스로 선택한 목표와 생각이 왜 중요한지 과학적 논리로 이해되어서.
뇌의 일부에 RAS가 있고
뇌 외부 자극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고 유용하게 보낼지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에
내가 마음 먹기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픽한다.
그러므로 최대한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상상하고 확언하고 쓰고 생각을 해야 겠다고 다짐할 수 있게 되었다.
*긍정의 힘
긍정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어떻게 건강과 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배움.
웃음 치료와 굳은 의지를 통한 자가치료를 듣기는 했는데 실제로 치료 사례를 확인하니
나도 꼭 해봐야 겠다고 생각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적]
*BM1.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목표 세우기
(건강)
-주3회 스트레칭 유지하기
-1일 1끼는 건강한 식단
(부자)
-'1호기 찾은 과정, 매수 계약하는 장면, 전세 맞추고 계약하는 장면, 리스크 조절 잘 해내는 장면' 시각화
-10억/ 30억 / 50억 / 그 후 달성 장면 시각화
-앞마당 만들어 가는 과정 시각화
(관계)
-직장 관계 유지하는 관계 시각화
-직장 업무를 잘 해내며 상사/선배와의 관계 시각화
-가족과의 긍정적이고 인내하여 진정한 행복이 따라오는 장면 시각화
*BM2.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활동하고 의지 가지기
-하루에 2번 10초 명상
-시각화와 긍정확언하기 (카페에 인증해도 좋을 듯)
-발끈하지X, 두려움X => 내 마음과 내 감정 내가 선택하기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54
긍정형 언어로 규정된 목표는 마음에 동기부여 이미지를 만들지만,
부정형 언어로 규정된 목표는 그 어떤 심적 이미지도 만들지 못한다.
=>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정형 언어로 규정된 목표는 무엇인가요?
이를 긍정형 언어로 규정된 목표로 바꾸어봅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웰씽킹> _켈리최
*이유
끌어당김의 법칙이 뇌의 구조와 나의 상황을 바꾼다는 점이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함.
댓글
이루리9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