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집마련 중급반 5기 67조 4번타자] 2주차 수강후기

24.02.21

- 내 집 마련하기 좋은 지역과 아파트 고르는 기준

: 나의 선호가 아닌 다수의 선호를 기준으로 삼기

(서울)

1. 직장 (출퇴근은 매일)

: 직장에 가까울 수록 좋음. 직장인 수 (강남-종로-여의도 등 업무지구)

2. 환경

: 인근에 대형 마트, 공원, 종합병원 有/多

택지(아파트村, 5,000세대 이상), 신축(연식)을 좋아한다.

3. 학군

: 여유로운 사람들이 아이 교육까지 신경쓸 수 있음. 학원가 有

(수도권)

1. 직장

: 주요 업무지구 (강남, 도심, 여의도, 판교, 마곡, 구디&가디, 상암)

2. 교통 (지하철)

: 강남(가장 큰 업무지구)까지 도달 거리

3. 환경

: 상권, 대단지, 택지 → 내가 여기에 산다면 쾌적할까

4. 학군

: 학군지, 초품아, 학원가 → 내가 자녀를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곳인가

※ 상황: 물건이 쌓여있는 단지 = 경쟁 매물이 많은 단지

호가 < 실거래 = 매도자 스스로 급한 상황임을 알린 매물임.


- 내 상황에 맞춰 가장 큰 수익을 줄 아파트를 고르는 법

: 나의 예산을 정확히 알고, 그 예산 안에서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함.

[1주택 경우의 수]

1. 실거주 (주담대 등 최대 예산 계산 및 비교평가 후 선택 / 실제 거주)

2. 거주 분리 (상황상 살아야 할 곳에 전월세로 살면서 종잣돈을 가장 좋은곳에 심어놓기)

3. 갈아타기 (1주택 보유상태에서 상급지로 갈아타기)


- 1주차 강의 때 구 별 단지조사 양식 작성한 것을 바탕으로

2주차 강의에서 배운 다 수의 선호지역과 아파트 고르는 기준을 세워 구체적인 비교평가를 실시 함.

내가 가진 예산 내 가장 좋은 곳을 찾는 방법을 학습함.

이해한 바를 바탕으로 꾸준히 시세 트레킹 및 앞마당을 늘려나가야 함.

평일 퇴근 후,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별도의 시간을 내어 임장을 가면서 해당 지역에 대한 이해와 비교평가의

질을 끌어 올려야 함.


댓글


불꾸오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