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 STEP1. 책의 개요
• 책 제목: 본깨적 (보다, 깨닫다, 적용하다)
•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 위즈덤하우스
• 읽은 날짜: 2023. 02. 19 ~ 02. 21
• 총점 (10점 만점): 9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읽기다
• 본깨적이란, ①독서를 할 때 저자의 입장에서 저자의 의도와 핵심을 제대로 보고, ②나의 입장에서 내가 무엇을 깨달았는지 생각해보고 ③내 삶에 적용하는 방법을 정의하고 실천하는 독서법이다.
- 보다 : 책을 읽으면 보통 나의 입장과 생각에서 해석하게 된다. 그러나 본깨적에서의 ‘보다’는 나의 생각/입장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저자가 이 책을 쓴 저자의 의도와 생각을 먼저 제대로 파악하라는 것이다.
- 깨닫다 : 깨닫는 것은 오히려 나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내가 느끼고 깨달아야 그것을 삶에 적용시키는 동기가 되는 것이다
- 적용하다 : 깨달은 것을 실제 삶에 적용하여 ‘현실’로 만드는 것이 마지막
• 본격적인 독서에 앞서 먼저, 책을 꼭 다 읽어야 한다는 부담감을 버려야 한다. 필요한 부분만 골라서 독서하는 것도 ‘독서’다.
- 모티머 애들러의 독서법 : 개관독서법, 분석독서법, 종합독서법
• 사람의 기억은 제한적이므로 책을 읽고 잊어버리는 것은 사람이면 당연한 것이다. 그러므로 읽은 책의 내용을 잊지 않으려면 재독을 해야 한다.
- 1124 재독법 (4번 반복해서 읽기) : 1일, 1주, 2주, 4주째 다시 책 읽기
재독은 책의 상하단 여백에 기록한 본깨적 내용, 인덱싱한 내용 중심으로 하기
- 333 재독법 : 3일 동안 3명에서 3분 동안 책 내용 설명하기
• 삶에 제대로 적용하려면 속독보다는 정독(준비 → 읽기 → 마무리)을 한다. 속독은 책에 대한 배경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이해가 쉬워져 자연스럽게 된다
• 책읽는 습관을 쌓기 위해서는 먼저 메시지가 있는 쉬운 책부터 10권 정도 읽거나 실용적인 책 중심으로 시작하면 된다. 단, 독서에 대한 편력이 생기지 않도록 적정 기간동안 주제를 바꿔서 읽거나 좋아하는 책과 그렇지 않은 책을 7:3 정도의 비율로 적정하게 혼합하여 읽는다
• 진정한 나를 이해하고 찾는 방법 중에 하나가 독서이며 내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300권 정도의 책을 읽으면 좋다.
• 책을 읽고 적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생각, 너무 많은 정보로 인한 혼란을 없애야 한다.
• 깊이를 넓히기 위한 수직적 독서와 다양한 분야로 그 넒이를 확대하기 위한 수평적 도서를 통해 전문성과 창의성, 다양성을 강화한다.
실전! 본깨적 책 읽기
• (준비)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이 책이 나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키워드가 무엇인지, 나는 무엇을 얻기 위해 이 책을 선택했는지에 대한 답을 간단히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다
- 나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표지, 목차, 프롤로그, 에필로그로 확인
- 핵심 키워드는 목차와 본문을 가볍게 훓어보면서 처음에는 10개를 뽑고, 그룹핑하여 최종 3개의 핵심 키워드로 정리 (저자의 입장에서 정의하기)
- 내가 이 책을 읽으려면 목적 명확히 하기
• (읽기) 적극적인 책읽기를 한다.
- 사전준비 단계에서 관심이 가는 내용이 있는 페이지는 미리 ‘귀접기’를 해두고 실제 책을 읽을 때 그 부분은 좀더 시간을 두고 정독
- 밑줄과 박스를 치면서 눈으로 읽고 손으로 읽고 낭독을 통해 목소리로 읽는 등오감을 활용하여 책 읽기
- 책여백에 본깨적 내용을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기록하기 → 1124 재독시 활용
저자는 책상단에는 본 것, 책하단에는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 Idea 를 정리하며
책하단에는 내용을 구분할 수 있게 Key Word로 표시
• (마무리) 책의 내용을 기억하고 찾기 위해 정리해 놓은 본깨적 내용을 읽고 Indexing(본,깨,적)을 하고 전반적으로 책이 나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다시 몇번을 읽을 만큼 필요한 책인지 평가한다.
• (마무리) 책을 읽은 것으로 끝내지 않고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나만의 글로 정리(글쓰기)하는 것이 필요하며 글을 쓰면서 다시 한번 중요한 내용을 확인하고 적용할 것도 정리하여 향후 활용도를 더 높인다.
• (기타) 그 외 책 내용을 좀더 잘 기억하기 위해 키워드 중심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정리할 수도 있으며 본,깨,적을 위해 좀더 깊이 있는 사유를 위해 333 법칙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주제(Subject), 키워드(KeyWord), 인상적인 구절(Impression Phrase)
깨닫다: 동기(Motivation), 롤모델(Rold-Model), 지식(Knowledge)
적용하다: 개선(Kaizen), 아이디어(Idea), 적용(Action Plan)
문학책(저자의 생애/업적, 시대적 상황, 소설의 플롯) vs 역사책(사실을 제대로 이해하고 질문을 통해 의미를 재해석하는 것) vs 철학책(생각을 많이 하고 반복읽기)
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 독서습관을 쌓기 위해 먼저 평생 읽을 독서 목표(권수, 목적)와 책을 통해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 지 독서의 방향과 행동계획 등을 정리한다. 그리고 1년에 읽을 목표 권수(현재 나는 2024년 60권이 목표)와 월, 주단위의 목표와 매일 몇 페이지를 언제(시간) 읽을 것인지에 대해서 계획을 세운다
• 북 바인더로 주제별, 활용도와 중요도에 따른 나의 지식 자산을 만든다.
• 독서후에는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을 정하고 21동안 실천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기)
• 독서모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오래되지도 않았다. 작년부터 재테크에 관심을 갖고 관련하여 추천받은 많은 책 중에 하나가 ONE THING이어서 읽었었다. 그때 One Book, One Message라면 책제목처럼 ‘ONE THING’ 그 단어 하나 남았고 그나마 그것을 한번 적용해보겠다고 회사 노트북에 글자를 써서 붙여놨다.
• 책내용이 좋았다는 생각에 남편에게도 추천을 해주었는데 이번에 다시 읽게 되면서 나에게 스스로 자문했다. “나 이거 작년에 읽었던 책 맞나?”
‘ONE THING’ 이라는 단어와 ‘좋았다’라는 느낌외에 아무것도 기억이 안 났다는 것.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에 따라 나는 읽은 내용의 거의 대부분을 망각했고 감정과 기분만 남아있었다.
• 책을 읽는 것을 싫어하지는 않는 것 같고, 책을 통해서 배우고 성장한다는 확신도 있어서 책을 열심히 읽으려고 노력하면 살았다. TV 프로그램의 스케쥴에 맞춰 추천하는 책을 읽고 관련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한달에 1권 또는 한주에 1권 목표를 세워 Diary이 Habit Tracker를 만들어 습관추적을 하기도 하고 독서관련 App.으로나라면 구매하지 않을 도서도 구매하여 온라인 독서모임도 참석하는 등 그래도 채과 거리를 두고 살지는 않았던 것 같고 어쩌면 그 시간과 노력때문에 지금의 내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좀더 적극적인 독서를 했다면 지금보다는 조금은 더 변화된 삶을 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단순하고 명확한 문장이다. 그리고 이것을 실천하기 위해 본깨적이라는 방법론이 있는지 모르겠다. 역시나 사유의 힘을 중요하게 이야기하는 본깨적 방법론을 통해 책을 읽으면서 나에게 질문하고 답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 구체적으로 작성)
• (2/24) 독서 목표세우기 (P214 참고)
• (2/25) 본깨적 방법론 적용을 위한 나만의 Template 만들기
- (Before Reading P130, After Reading P154, Checklist P221)
• 2024년 독서에 본깨적 방법론 실제 적용하기
* 갤럭시탭에 이력관리하기
□STEP5. 책속에서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 기록)
• P23, 책을 읽고 변화하는 주체는 자기 자신이다. 결국 자신이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따라 삶이 바뀔 수도, 바뀌지 않을 수도 있기에….
• P71, 저자의 관점에서 책을 읽지 않으면 의도하지 않았어도 책 내용을 왜곡하기 쉽다. 왜곡은 애써 책을 쓴 저자를 모독하는 것은 물론 책읽기의 효과를 반감시킨다.
• P72,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습관이 바뀌고, 습관이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 P102, 마음을 열고 읽으면 삶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책은 없다.
• P106, 임계점은 변화를 위해 기다려야 하는 인내의 시간이기도 하다.
• P115, 사고방식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다. 부정적으로 사고하느냐, 긍정적으로 사고하느냐는 노력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P159, 책 속 본깨적만으로도 최소한의 기초적인 쓰기는 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책 내용을 좀 더 온전한 내 것으로 만들고, 활용도를 높이려면 제대로 써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STEP6. 이 책을 통해 정리한 추천 독서목록
•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 피터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 TIME POWER 잠들어 있는 시간을 꺠워라
• 이기는 습관
•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 보라빛 소가 온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