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35조 3만보든 5만보든 걷는거여~ 하이망고]

24.02.23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오늘의 여정을 내딛고 있는 하이망고입니다.




2주차 강의를 해주신 분은

망구99 튜터님이셨어요.

(99의 의미는 99년생이시라는건가?

99학번은 아닌것 같고...

전 왜 이게 궁금할까요? ^^)





12월 서기반을 시작하며

'결론 페이지를 작성해 봐야겠어!'

라고 다짐했지만


비교평가를 어떻게 해야 1등을 뽑을 수 있는지

칼럼을 읽어봐도 동료들의 설명을 들어봐도

이해한 것 같은데 막상 작성하려니

임보 결론의 포맷도 잡지 못하고

헤메는 모습을 보며


이렇게 하다간 계속 결론 파트

작성은 어려울 것 같아 특강을 들으며

망구님을 처음 뵈었네요.


그런데 지기반에서 또 뵙다니

정말 반가웠어요~♡






망구님이 강의해 주신 지역은

모르는 지역이라

이 전의 강의와는 다르게

집중력이 자꾸 흐트러지더라고요.


도입 부분에 튜터님께서

생소한 지역이고, 두 지역을 번갈아가며

강의할 것이니 힘들어도 잘 따라오라고

말씀하셨는데, 몇번에 나누어서

보았는지... 온라인 강의였으니

다행이었지요 ^^


그래도 가까운 미래에 곧 다녀와야

할 곳이니 예습 빡시게 한다고 생각하고

삼천포로 빠진 집중력을

되잡아오며 끝까지 들었답니다.

이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고나서

이 강의를 또 들으면 정말

흥미진진할 것 같아요!






리스크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설명해 주셨는데요,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공급 리스크가 크기에

지레 짐작으로 '아휴.. 난 무서워서 투자 못해.'

이렇게 생각했는데,

그러고 그냥 넘어가기 보다는


내 투자금과 이 지역의 리스크, 그리고 기대수익을

계산해 보면서 기대수익이 리스크보다

큰 경우 투자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상황이 투자가능하지 않더라도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계산해 봄으로써

투자자로써 한단계 더 성장할 수 있다!

라고 말씀해 주신 부분이

굉장히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대략 계산해 보았을때

제 상황에서 이 지역 투자를 하게되면

투자는 가능하지만

향후 몇년간 투자금이 묶이겠는데?

라고는 대략 생각해보았는데,

이런 생각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해서

계산을 해보면 어느정도 리스크까지

감당 가능할 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1호기를 해야겠다는 시점이기에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투자보다는

지금 가진 자산으로 1호기와

1년 뒤 2호기를 할 수 있는

투자처를 찾아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시세트래킹....

해야하는데 해야하는데하면서

아직도 안하고 있네요...

이젠 진짜 해보겠습니다.



지.금.당.장

이라고 해주셨지요!


네. 지금 자료는 펴놓았습니다!

앞마당 1개만이라도 정리해놓고

오늘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알찬 강의 준비해주신

망구99튜터님 정말 감사합니다.

가르쳐주신대로 잘 따라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자~!!!★







BM

  1. 공급 많은 지역이어도 리스크대비 기대수익을 계산해보고 투자 가능성을 따져보자
  2. 시세트래킹 매 달 마지막주 수요일에 꼭 하자
  3. 동료와 비교하지 말자. 비교는 아파트끼리만 하는것!



댓글


부놀
24. 02. 23. 02:03

완강 고생하셨습니다 !! 남은 기간도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