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오늘의 여정을 내딛고 있는 하이망고입니다.
2주차 강의를 해주신 분은
망구99 튜터님이셨어요.
(99의 의미는 99년생이시라는건가?
99학번은 아닌것 같고...
전 왜 이게 궁금할까요? ^^)
12월 서기반을 시작하며
'결론 페이지를 작성해 봐야겠어!'
라고 다짐했지만
비교평가를 어떻게 해야 1등을 뽑을 수 있는지
칼럼을 읽어봐도 동료들의 설명을 들어봐도
이해한 것 같은데 막상 작성하려니
임보 결론의 포맷도 잡지 못하고
헤메는 모습을 보며
이렇게 하다간 계속 결론 파트
작성은 어려울 것 같아 특강을 들으며
망구님을 처음 뵈었네요.
그런데 지기반에서 또 뵙다니
정말 반가웠어요~♡
망구님이 강의해 주신 지역은
모르는 지역이라
이 전의 강의와는 다르게
집중력이 자꾸 흐트러지더라고요.
도입 부분에 튜터님께서
생소한 지역이고, 두 지역을 번갈아가며
강의할 것이니 힘들어도 잘 따라오라고
말씀하셨는데, 몇번에 나누어서
보았는지... 온라인 강의였으니
다행이었지요 ^^
그래도 가까운 미래에 곧 다녀와야
할 곳이니 예습 빡시게 한다고 생각하고
삼천포로 빠진 집중력을
되잡아오며 끝까지 들었답니다.
이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고나서
이 강의를 또 들으면 정말
흥미진진할 것 같아요!
설명해 주셨는데요,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공급 리스크가 크기에
지레 짐작으로 '아휴.. 난 무서워서 투자 못해.'
이렇게 생각했는데,
그러고 그냥 넘어가기 보다는
내 투자금과 이 지역의 리스크, 그리고 기대수익을
계산해 보면서 기대수익이 리스크보다
큰 경우 투자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상황이 투자가능하지 않더라도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을 계산해 봄으로써
투자자로써 한단계 더 성장할 수 있다!
라고 말씀해 주신 부분이
굉장히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대략 계산해 보았을때
제 상황에서 이 지역 투자를 하게되면
투자는 가능하지만
향후 몇년간 투자금이 묶이겠는데?
라고는 대략 생각해보았는데,
이런 생각을 구체적으로 수치화해서
계산을 해보면 어느정도 리스크까지
감당 가능할 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제 1호기를 해야겠다는 시점이기에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투자보다는
지금 가진 자산으로 1호기와
1년 뒤 2호기를 할 수 있는
투자처를 찾아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해야하는데 해야하는데하면서
아직도 안하고 있네요...
이젠 진짜 해보겠습니다.
이라고 해주셨지요!
네. 지금 자료는 펴놓았습니다!
앞마당 1개만이라도 정리해놓고
오늘을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알찬 강의 준비해주신
망구99튜터님 정말 감사합니다.
가르쳐주신대로 잘 따라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자~!!!★
B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