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본깨적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08조 점핑]

  • 24.02.23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3. 읽은 날짜: 2024.2.21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책을 읽다, 삶이 바뀌다]


#미운 오리 새끼, 백조가 되다 #주도성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이란 책에는 ‘주도성과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주도성이란 스스로의 삶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의 행동은 주변환경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의사결정에 따른 것이다.

결국 (책 속의 주인공 원석은) 자기 삶은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책을 통해 깨닫고, 삶을 변화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Chapter2.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삶을 바꾸는 책 읽기 #1124 재독법 #병렬독서


삶을 바꾸는 책 읽기는 본깨적이다 - 본깨적 책 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본 것),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깨달은 것), 내 삶에 적용하는(적용할 것) 책 읽기를 의미한다.


망각을 잡는다 – 뇌는 중요한 정보라고 판단되지 않으면 기억을 저장하지 않는다. 이때 기억을 오래 유지시키는 방법이 반복이다. 같은책을 4번 반복하면 내용을 오래 기억 할 수 있다.



병렬독서 – 병렬독서에는 수직적 병렬독서와 수평적 병렬독서가 있다. 수직적 병렬독서는 같은 주제의 동일한 고민을 풀기 위해 답을 찾아내는 책 읽기이고, 수평적 병렬독서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 책들을 동시에 이것저것 골라가며 읽는 독서법이다.


[Chapter3. 실전! 본깨적 책읽기]


#책을 읽을 준비 #밑줄 #본깨적 정리 #마무리 5분


책을 읽는 데도 준비가 필요하다. -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보자.

첫째, 이 책과 나의 연관성은?

둘째,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는?

셋째, 이 책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이 세가지 질문을 던지고 생각을 정리해보기만 해도 책읽기의 결과는 달라진다. ‘Before Reading’ 양식을 활용하자.

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으면 책 읽기 효과가 배가 된다 – 귀접기, 중요문장 밑줄과 박스치기, 책 상,하단에 본깨정 정리하는 글쓰기, 마무리 평가작업에는 ‘After Reading’이로, 본깨적 노트 작성하기.


[Chapter4. 북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독서 습관


독서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울수록 습관을 들이기 쉽다 – 평생 독서 계획표를 작성해보자. 평생, 10년, 5년, 1년, 한달, 1주일, 하루의 목표를 정하자.

책을 읽을 후에는 꼭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책에서 깨달은 내용중 하나를 꼭 실천하자.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책을 그냥 읽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삶에 적용하고 변화 할 수 있는 글읽기 방법을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2.책을 읽기 전에 준비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생각해 보면 내가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를 알고 책을 고르는 것이 너무나 중요하다. 관심분야의 책을 읽어야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이 들고 책을 가까이 하게 될 것 같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One Action – 책 한 권을 읽고 하나를 꼭 실행하기를 지키기.

2.본깨적의 One Action : 나에게 꼭 필요하다고 느끼는 책은 재독하기,

하루50p 독서습관 들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84) 네 번은 반복해야 뇌가 기억한다. ….1124재독법이라 한다. 한 달 동안에 네 번을 반복해서 읽으면 해마가 꼭 기억해야 할 중요한 정보라 판단하고 기억 속에 각인하는 작업을 한다.


(p.106) 잔은 차야 넘치고, 물은 100도가 넘어야 끓는다. - 어떤 상황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데는 모두 임계점이 있다. …. 임계점은 변화를 위해 기다려야 하는 인내의 시간이기도 하다. 아무리 성질이 급해도 100도가 될 때까지 기다리지 못하면 물이 끓는 것을 볼 수 없다.


(p.172) 한 사람이 10권의 책을 읽는 것 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더 낫다.


(p.232) One Book, One Message, One Action – 한가지라도 확실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삶은일기
24. 03. 03. 15:20

사진까지 첨부된 독서후기라.. 🤔.. 너무 좋은데요? 전 본깨적 책 정리가 너무 힘들었는데 점핑님은 대단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