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책을 읽다. 삶이 바뀌다
Chapter 2. 미운 오리 새끼,백조가 되다
주도성
-스스로의 삶에 책임지기
-우리의 행동은 우리가 하는 의사결정에 의한 것(조건,환경 탓 X)
독서
-자신의 강점 발견⇒자신감 회복⇒도전⇒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
-탓이 아닌 책임 지기.
-독서를 통해 나를 재창조하고 도전하자.
-내 인생을 책임지기 위해 꾸준한 독서를 하자
Chapter4. 권고사직 대상자,꼭 필요한 인재로 거듭나다
-자기계발 : 생존과 직결→하지 않으면 도태
-권수가 아닌 책을 읽고 실제로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는가가 중요
-적극적 시간 관리 : 인생 경영
-효율적 업무연구 ⇒좋은 결과.
권수가 아닌 실천이 중요하다.
시간관리는 내 인생을 경영하는 법을 배우는 것
열심히만 하는건 자기만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계속 연구하기
실천을 위한 본깨적 독서법 노션 계속 쓰기
매주 시금부 시간 보고 바꿔야 할거 체크.
Chapter5.평범한 보험설계사에서 우수인증 설계사로 도약하다.
-멘토의 도움을 받아 왜 ?를 깨닫고 방법을 터득
-나한테 맞는 독서법이 최고다.
-나로부터 내 후손의 미래가 정해진다.
-변화를 실감하면 더 집중하게 된다.
-삶의 변화 : 강의,독서
멘토님들이 해주시는 강의에서 투자의 why 와 방법을 더 집중해서 듣자
나로부터 내 후손의 미래가 정해진다. 내가 시작.
변화를 실감하면 더 집중하게 된다 천천히 해나가자 그럼 집중할 때가 온다.
무엇을 할 때 why와 방법을 먼저 알자
Chapter6.한 사람의 변화가 조직 전체를 바꾸다
-파란불 사고 : 무조건 찬성 ⇒긍정적⇒결과 좋음
-독서로 삶이 긍정적으로 변화 한다는 믿음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결과가 좋다.
‘감사의힘’ 읽기
2.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
Chapter7.삶을 바꾸는 책 읽기는 본깨적이다.
-본:저자의 관점으로 핵심 파악
-깨:나의 관점. 스스로 깨달은 것은 삶의 동력이 된다.
-적: 삶에 적용.깨달은 걸 현실화
-좋은 변화는 함께 할 수록 좋다. 타인에게 선한 영향력 주기
[깨]
스스로 깨달은 것이 삶의 동력이 된다. 깨,적의 중요성
타인에게 선한 영향력을 주자
나와 남을 위한 깨적 쓰기
Chapter8.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도 충분하다.
-책 읽기 방해요소: 고정관념(완독),강박관념(교과서식)
⇒흥미 부분만 읽기, 재미 없으면 다른 책 읽기
-하버드 독서 : 50p만 읽어도 완독처리
-독서법 3단계
1.개관 독서법:골라 읽기 →초보or가치판단,시간부족
2.분석 독서법:정독.내 것으로 만드는 독서법
3.종합 독서법: 여러권을 주제별로 종합적으로 읽음.
⇒개관:주제 선정 후 이 책이 주제에 맞는지 파악.
⇒분석:어떤 내용이 다르고 어떤 점을 강조하는지 파악
-초보는 읽는 힘 기르기 위해 골라 읽기
초보는 골라 읽히기
개관독서로 책을 판단 하고
분석독서로 내것을 만든다.
종합독서로 책들의 장점을 취한다.
아내 목차 읽히기 -2개면 완독 !or 얇은책 정독(정리법)
고민이 있을 때는 종합독서법으로 지혜 수집
Chapter9. 1124재독법이 망각을 잡는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하루만에 70%를 잊는다. 그러니 자책하지 말자
-해마는 매 달 포맷된다. 그걸 막는 4번 반복하는 1124재독법.
⇒1일 1주 2주 4주.
⇒4번 이상은 흥미가 떨어져 역효과가 난다.
-삶의 이정표 같은 책만 재독
완벽이 아닌 중요한 것만.
꾸준함(재독)이 성장을 만든다
1124 재독 캘린더에 추가
Chapter10. 빨리 읽는 것보다 제대로 읽는 것이 중요하다.
-진정한 책 읽기 3단계
1.준비 : 20%
2.읽기 : 70%
3.마무리 : 10%
-속독의 열쇠 = 배경지식
제대로 읽으면 빨리 읽어진다
비포어,애프터 리딩 생활화
Chapter11.어떤 책부터 읽느냐가 성패를 결정한다.
-독서초보(~10권) : 쉽고 재미있고 메시지가 있는 책부터 읽기(업무적용가능+피드백 빠른)
⇒그 후 새로운 분야.
-독서 편식 습관 고치기 : 주제관련 7 : 3 읽고 싶은 책
일상,업무 적용 후 피드백 바로 나오는 책 추천.
편식하지 말고 섞자.
7:3 독서 섞기
Chapter12.나를 이해하는 방법, 책 속에 있다.
-독서로 삶이 변화하려면 필요한 마인드.
1.고정관념: 내 생각이 전부가 아님을 인정
2.잘못된 습관을 고치고 싶은 의욕
3.나를 알고 인정하기
⇒내가 아는 나,주변인들이 말하는 나, 책을 통해 알게 된 나. 전부 다 나다.
고정관념,악습관을 깨야 변화 가능
시금부 및 복기로 내 고정관념과 습관 깨기
Chapter13. 책은 몇 권이나 읽어야 삶을 바꿀 수 있을까
-지속적 독서 : 새 책 읽기→새로운 자극+깨달음 → 변화 노력→시들해짐 →새 책 읽기
지속적 독서로 임계점을 깨고 새로운 자극(연료)를 넣어주자.
책을 매일 읽어야 하는 이유는 인간은 당연히 시들해지기 때문
매일 30p 읽기
Chapter14. 실행을 방해하는 원인부터 제거하라
-변화=지속성
-실행을 방해하는 것
1.행동해야겠다는 생각 ⇒ 실행한 것 같은 착각을 줌. 아는 것것과 실행은 다르다.
2.정보 과부하 : 생각,행동을 방해한다⇒적은 양이라도 중요한걸 반복해 배우기
3.부정적 사고 방식:불신으로 실행력 약화시킴
⇒긍정적이 습관될 때 까지 틀림점보다 좋은점,긍정적 부분 찾으려 노력하기
⇒긍정은 창의성과 독창성을 향상시킨다.
⇒사고 방식은 바뀐다
아는 것과 실행은 다르다. 내가 예전에 월부에서 아무것도 못한 이유.
몸으로 겪지 않은 것은 내것이 아니다.
과한 정보 보다 중요한 정보만 반복. 놀이터,월부카페 줄이기
긍정+좋은점만 보자.
긍정적 사고를 위해 좋은점,긍정적인점만 찾자고 수시로 되뇌이기.
Chapter15. 수평적,수직적 병렬독서의 조화가 필요하다
-수직적 병렬독서:심도 깊은 이해
1)같은 주제의 다른 책 여러권
2)각 책의 강점 추리기
3)깊은 고민 해결에 좋다.
-수평적 병렬독서
1)다양한 주제의 책
2)좋은 책 골라낼 때
수직적 : 종합 독서법
수평적 : 개관 독서법
각 상황에 맞게 쓰기.
3.실전! 본깨적 책 읽기
Chapter16. 책을 읽는데도 준비가 필요하다.
-Before reading
1)사전평가(연관성) 확인법
⇒목차 : 전개 순서,내비게이션
⇒프롤,에필로그 : 저자의 생각,관점
⇒표지 : 책 내용의 절반 파악가능
2)예측 (예상 키워드)
⇒본문 제목 중심으로 5~10분 훑기
⇒자기 관점으로 키워드 최소 10개 뽑기→중요 키워드 3개 뽑기(그룹핑)
⇒타인과 키워드 비교
3)기대(얻고자 하는 것)
1)목적이 있으면 포기하지 않는다. 기대하고 읽기
2)왜 선택했는가? 얻고자 하는건?
-6가지 항목 점수
6~20 무독 : 급하지 않은 책
21~24 발췌독:부분적 필요 독서
25~27 열독 : 곡 필요한 책(직업과 밀접)
28~30 심독 : 패러다임 바꿔줄 책 .
취미에서 변화독서로 넘어가야한다.
효울적으로 점수 매긴후 필요한것을 읽는다.
목적 있는 독서로 변화하는 삶.
타인과 키워드 비교는 다른 동료들의 월부 독서후기로
Chapter17.눈으로 보고 손으로 읽으면 책 읽기 효과가 배가 된다.
-욕심 버리기 :읽고 잊어버리는 건 당연하다. 한번에 모든 내용 이해 하려는 건 욕심이다.
-귀접기(브레이크) : 1번 훌훌 훑기→목차 보며 관심 page 귀접기 →본문 훑으며 페이지 접기
→독서 시작→귀접은 페이지 나오면 정독→별로면 귀접기 풀고 좋으면 1번 더 접기(개구리)
독서나 강의나 한 번에 다 이해하려는 건 욕심이다.
저자의 평생을 다 담을 순 없음.
귀접기는 정독을 위한 브레이크
훑은 후 목차보며 관심 가는 곳 귀 접기
한 번에 다 습득하려 하지 말고 1개씩 배워나가기
Chapter18.책 여백 상-하단에 본깨적 정리하기
-본것 : 밑줄,박스해둔 걸 상단에 여백에 키워드로 요약
-깨적: 하단 여백에 요약
-쓸 게 있는 것만 쓰기
부담 갖지 않고 쓸 것이 있을 때만 쓰자. 꾸준히 하면 익숙해짐
본깨적 부담x
Chapter19.마무리 5분이 책을 살린다
-인덱스 : 책에 나왔던 내용 필요시
⇒처음에는 욕심 부리지 말고 본깨적 중 가장 중요하다 생각하는 3개 정도만
-Aftrer reading : 마무리 평가
1)나에게 유용한가?
6~20:책 속 본깨적만
21~24:노트에 본깨적 별도 정리
25~27 : 실무적용
28~30 : 열번 읽기
2)얻은 것은 무엇인가
before reading의 ‘얻고 싶은 것은?’과 비교
마무리 평가를 통해 이 책의 향후 거취에 대해 생각해봐야한다.
25점 이상이면 후기 전체적으로 쓰자. 그 이하는 ?
25점 이상: 전체 후기 / 24점 이하 : 본깨적 3~5개 정도
Chapter21.본깨적 책 읽기, 함게하면 효과가 더 크다.
-독서 모임: 혼자 있을 때 떠올리지 못했던 이야기를 들으며 생각이 유연
-한 사람이 10구너의 책을 읽는 것 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 하는 것이 더 낫다’
돈독모 해야하는 이유
한 권의 책을
돈 독모.
Chapter22. 333본깨적으로 변화의 속도를 높인다.
-SKI:저자의 핵심을 본다
1)Subject 주제
2)keyword
3)Impresive 인상적 구절
-MRK 깊은 깨달음을 위한
1)motivation
2)role-model
3)knowledge 지식
⇒본질을 분석해 내 것으로 만들기
-KIA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1)kaizen 점진적 개선
2)idea 적용 안하면 휘발
3)action plain 개선+아이디어
핵심을 보고 깨달음을 얻고 적용하기
1북 1ction plan
Chapter24. 본깨적 책 읽기는 오감을 동원할 떄 극대화 된다.
-낭독 : 200년전만 해도 소리 내어 읽었다. 오감이용
-일제화하여 읽기 : 책은 책이고 나는 나다가 아닌 저자or 주인공에 일체화하여 읽기
저자or 주인공의 마음으로 읽기
적용이 늘 똑같으면 변화가 없는 것
적용의 다각도 고려
집에서는 낭독
Chapter25. 인문학 책 읽기,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본깨적 : 비인문학 도서에 최적화(경제-경영,자기계발,자녀교육서,실용서 등)
-문학책 읽기
1)저자의 생애 업적 알아보기
2)시대적 상황 알아보기
3)소설의 플롯(구성)알아보기 : 인물 구조도.
-역사책 읽기:고전 철학이 쉬워진다.
⇒인간의 본질을 알기 위해 역사를 배우고, 과거를 통해 현재를 알고 미래의 방향을 찾아감
⇒역사는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 아닌, 역사를 통해 현재를 점검하고,올바른 미래를 만들수 있기 떄문이다.
⇒역사 속 일어난 사건들을 현재와 미래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읽기
⇒시대와 상황은 달라도 역사는 되풀이 되기에.
-철학책 읽기 : 지혜를 사랑, 시대와 지역을 뛰어 넘어 삶 전체를 관통하는 근원적인 문제를 돌아보고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구하는 학문
⇒이해가 될 떄 까지 꼭꼭 씹어가며 읽으면 통달의 순간이 온다.
인문학에 익숙해지기 위해선 문학→역사→철학 순서로
역사는 단순한 나열이 아닌 계속 반복되는 인간의 사건들을 대처 가능
철학은 지혜를 사랑하는 것이다. 두고두고 보기
인문학 서적 섞어 읽자. 3의 비율에. 문학 먼저 ?
4.북 바인더,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
Chapter27. 목표를 적으면 현실이 된다.
-습관 : 의식적으로 목표의식을 반복해 떠올리면 습관이 된다.
내 목표의식(매일 휴일 같은 삶) 꾸준히 상기
핸드폰 바탕화면, 집에 붙여놓기
Chapter29. One Book,One Message,One Action
-삶의 변화는 지속성에 의해서 일어난다⇒1북 1액션
-습관은 최소 3주
책 1권당 1개의 실천 만들기
습관은 3주 최소.
1북1액션 부담되지 않게 만들기
Chapter30. 북바인더를 잘쓰면 책 읽을 시간이 저절로 생긴다
-시간 관리를 통해 내 시간 확인
-삼상지학 : 화장실, 침상, 이동시간
이동 시간에 책 읽자. 짜투리 시간 사용
출퇴근 및 따투리(10분) 독서
Chapter31.디지털미디어 사용시간을 반만줄여도 인생이달라진다+에필로그
-폰 사용 시간의 50%를 독서로 변경
-불영과불행:물이 흐르다 웅덩이를 만나면 그 웅덩이를 다 채운 다음에야 비로소 앞으로 나아간다.
⇒시련이라는 웅덩이를 스스로 채우고 넘어야 한다. 책을 넣어보자.
⇒책은 역경을 직접 해결해주지 못하지만 힘든 길에서 방향을 잃지 않게 우직한 낙타처럼 함께 함
폰 사용시간에 더 필요한 걸 하자
시련이 있을 떄는 책을 읽자.
-쉬는 시간에 독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