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1. 책의 개요
1.책 제목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저자 및 출판사 : 제임스 클리어 / 비즈니스북스
3.읽은 날짜 : 2024.2.23.
4.총점 : 6 / 10
STEP 2. 책에서 본 것 (P51,p53 )
STEP 3. 책에서 깨달은 것
습관을 바꾸기가 어려운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변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이 잘못되었다.
둘째, 변화의 방식이 잘못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얻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습관을 변화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결과 중심의 습관을 형성한다. 그러나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집중하는 데서 시작한다.
우리는 뭔가 개선하고자 할 때 정체성 변화를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하는 행동들은 대개 각자의 정체성을 반영한다. 우리는 의식했든, 의식하지 않았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스스로가 믿고 있는 대로 행동한다.
STEP 4. 책에서 적용할 점 (p320~)
행복은 단지 욕망이 없는 상태다. 신호를 관찰했지만 자신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싶은 열망이 없다면 현재 상황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행복은 즐거움(기쁨이나 만족)을 획득하는 일에 관한 것이 아니라 욕망이 없는 상태에 관한 것이다. 행복은 더 이상 자신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싶지 않은 순간으로 진입한 상태다.
하지만 행복은 일시적인 것이다. 늘 새로운 열망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고통은 상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열망과 그것을 얻는 것 사이에 존재한다.
나는 언젠가부터 특별한 욕망이 없다. 그렇다고 현재 나의 상태가 행복하다거나 썩 마음에 드는 상태도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불행하거나 매우 불만족인 상태도 아니다. 이런 아무일도 없는 평온하다고 볼 수 있는 상태가 행복한것 아닐까? 라고 타협하거나 일상을 받아드리는 그런 생활을 하고 있다.
가슴이 설레이거나 달성하고 싶은 일도 딱히 없는 나의 상태를 움직일 수 있는 동기를 찾고 그 안에서 구체적인 목표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이 역시 역동적으로 나를 움직이지는 않는다.
나의 상태를 변화시키고는 싶은데 무엇을 어떻게 하고싶은지가 없다. 나는 나의 욕망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나는 정말 욕망이 없는 사람인가. 내가 가지고 있는 작은 욕망이 무엇인가..
STEP 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습관은 내게 그 일을 처리할 능력이 있을 경우 형성된다.
-자신의 세계를 디자인하라. 그 세계의 소비자가 되지 마라.
-자제력은 단기적 전략이지 장기적 전략이 아니다.
-자제력이 극도로 높은 사람은 유혹적인 환경에서 신간을 덜 보낸다.
유혹에 저항하기 보다는 피하는 편이 쉽다.
-실행하는데 초점을 맞춰라. 움직임에 맞추지 마라.
-습관을 형성하는데 들인 시간보다 그 습관을 실행한 횟수가 더 중요하다.
댓글
릴리안가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