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17조 트라이]

  • 24.02.27

중소도시 2곳에 대해 해부 하여 알려준 망구 튜터님의 강의였습니다.

앞마당도 아니지만, 대표단지와 직장의 특징, 일부 생활권의 선호 요인에 대해 선명하게 기억이 남을 정도로 도움이 되었습니다.

투자 전, 나의 리스크와 기대수익을 계량을 하여 이 지역을 주요 투자 후보지로 삼아야겠습니다.


저에게 도움 되고 적용해야 할 말씀 들을 정리해 봅니다.


[중소도시 분석 방법]

1. 중소도시는 생활권 내 안정적인 선호 상권이 있는 지도 중요하다.

2.입주가 많으면 4년 이상 뒤에 매도가 될 것. 따라서 구축 투자 시, 구축이 더 연식이 낡을 것이므로 투자 지양.

3.위 중소도시는 가격이 뒤죽박죽인 시장, 기회가 많은 시장이다.

4.어떤 단지를 더 선호하는 지 정확히 알고 있어야 흔들림 없이 투자 가능하다.

5.단지를 전체적으로 봐야 단지별 가치를 확신하여 알 수 있다.

6.구축임에도 전통적 선호지가 있을 수 있다. 전임, 택시, 매임 등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7.공급 캘린더에 아파트명까지 다 기록해서 파악한다.

8.입주하는 아파트 +- 2개월 동안 물량이 많을 것. 투자 피해야 한다.


[실전 투자 방법]

1.시세트래킹 너무 많지 않게, 지역 내 랜드마크, 생활권별 대표 단지, 생활권별 중상(or 중하) 선정해 트래킹한다.

-시세트래킹의 목적은 매매/전세 흐름을 파악하는 것. 투자 기회로 판단되면 전수조사 통해 투자 물건을 찾는다.

2.좋은 데부터 트래킹해야 자연스럽게 비교 평가가 된다.

3.트래킹하다가 매매가 보합, 전세 매물 감소, 전세가 상승되면 전수조사 시그널.

4.전세 개수가 줄더라도 전임 통해 실제 현장에서도 그런지 확인해야 한다.

5.매매 매물 수가 많다는 것은 경쟁 매물이 많기 때문에 매수자 입장에서 가격 협상 가능성이 높으나,

6.다른 투자자도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이 매매 매물이 투자돼 전세 경쟁 물건으로 나올 수 있음도 염두해야 한다.






댓글


트라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