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인증

열반스쿨 기초반 오프닝 강의 정리(QnA)

  • 24.03.01

안녕하세요.

월급받는부린이입니다.


이제 막 부동산 공부를 시작한지 한 달 정도 되어 가는데,

어렵네요.. 공부 체계 잡기도 힘들고..


그래서 이번에 열반스쿨 기초반을 시작으로

월급받는부린이가 아닌 월세받는부른이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1. 내집마련 vs 투자

내집마련

- 거주 안정성 우선

- 내집마련을 하고도 투자할 수 있는 사람

- 자산이 불어나는 속도가 조금 느려짐

투자

- 거주 안정성보단 자산

- 현금흐름이 부족한 사람


2. 똘똘한 한채 vs 시스템 투자

시스템 투자

- 소액 가능, 리스크 분산

- 전세를 월세처럼 받는 시스템(현금 흐름 발생)

- 양도시 과세표준 다름


똘똘한 한채

- 관리 용이

- 특정 지역 투자로 시간 적게 투여

- 역전세를 맞이 했을 때 리스크 부담이 큼


3. 갈아타기 좋은 시점과 방법

1주택자 or 실거주 매수 후 투자 방법

- 종잣돈 모으기

- 갈아타기

-> 자가를 매도할 수 있는 상황에서 상급지로 이동 (갈아타기 순서 중요)

- 시장이 좋을 때 매수를 먼저하고 자가 매도

- 시장이 안 좋을 때 자가를 먼저 매도한 후 급매

- 자산재배치

-> 투자실력이 쌓이고 해도 늦지 않음

-> 실력이 쌓일 때까지 종잣돈 모아서 투자


4. 서울투자 vs 지방투자

- 수도권 투자는 기본적으로 할 줄 알아야 함

- 수도권은 부동산 사이클이 길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짧음 (디커플링 형성)

-> 지역별 공급의 차이 (공급의 차이가 왜 생길까)

- 수도권: 중심지 강남의 시세가 변동 하면서 인천이나 경기도로 서서히 번짐

- 지방: 중심지 시세가 변동 하면서 주변 시세는 수도권보다 빠르게 번짐

-> 매매/전세가의 차이

- 수도권: 전세가가 올라가면 매매가는 전세가를 받치며 올라감

- 지방: 매매가가 전세가를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전세가율이 높고, 매매가 변동이 자주 일어남

-> 현재는 위기지만 기회가 있는 지역은 존재함 (디커플링)


댓글


또치또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