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월급받는부린이입니다.
이제 막 부동산 공부를 시작한지 한 달 정도 되어 가는데,
어렵네요.. 공부 체계 잡기도 힘들고..
그래서 이번에 열반스쿨 기초반을 시작으로
월급받는부린이가 아닌 월세받는부른이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1. 내집마련 vs 투자
내집마련
- 거주 안정성 우선
- 내집마련을 하고도 투자할 수 있는 사람
- 자산이 불어나는 속도가 조금 느려짐
투자
- 거주 안정성보단 자산
- 현금흐름이 부족한 사람
2. 똘똘한 한채 vs 시스템 투자
시스템 투자
- 소액 가능, 리스크 분산
- 전세를 월세처럼 받는 시스템(현금 흐름 발생)
- 양도시 과세표준 다름
똘똘한 한채
- 관리 용이
- 특정 지역 투자로 시간 적게 투여
- 역전세를 맞이 했을 때 리스크 부담이 큼
3. 갈아타기 좋은 시점과 방법
1주택자 or 실거주 매수 후 투자 방법
- 종잣돈 모으기
- 갈아타기
-> 자가를 매도할 수 있는 상황에서 상급지로 이동 (갈아타기 순서 중요)
- 시장이 좋을 때 매수를 먼저하고 자가 매도
- 시장이 안 좋을 때 자가를 먼저 매도한 후 급매
- 자산재배치
-> 투자실력이 쌓이고 해도 늦지 않음
-> 실력이 쌓일 때까지 종잣돈 모아서 투자
4. 서울투자 vs 지방투자
- 수도권 투자는 기본적으로 할 줄 알아야 함
- 수도권은 부동산 사이클이 길고, 지방은 상대적으로 짧음 (디커플링 형성)
-> 지역별 공급의 차이 (공급의 차이가 왜 생길까)
- 수도권: 중심지 강남의 시세가 변동 하면서 인천이나 경기도로 서서히 번짐
- 지방: 중심지 시세가 변동 하면서 주변 시세는 수도권보다 빠르게 번짐
-> 매매/전세가의 차이
- 수도권: 전세가가 올라가면 매매가는 전세가를 받치며 올라감
- 지방: 매매가가 전세가를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전세가율이 높고, 매매가 변동이 자주 일어남
-> 현재는 위기지만 기회가 있는 지역은 존재함 (디커플링)
댓글
또치또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