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찐찐28이라고 합니다!
열기반에 실준반을 거쳐 세번째 강의 지기반을 신청하게되었습니다.
너무나 더운 8월이기에 지기반을 신청하는 것 자체가 큰 두려움이 앞서긴했습니다.
하지만 쉬었다가다가 스스로 나태해질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컸기에 접수 알림을 신청하고
복잡하게 생각하기보다는 그 전에 손꾸락을 더 빠르게 움직여 지기반에 들어오게되었습니다.
이번 한달도 한번 열정 가득 알차게 보내고 한 단계 성장할 제 자신을 기대하며 힘내보겠습니다!
흔하게 간단요약본으로 말하는 지방투자중 하나가 신축이면 되! 신축이 중요해! 였습니다.
또 아는 광주에 사는 지인도 신축만 생기면 다 글로 넘어가 라는 말 때문에
지방투자는 정말 신축이면 다되는걸까? 라는 생각을 하며 지기반에 임하기 시작했습니다.
제주바다님의 강의는 이런 내용을 더 깊고 세세하게 파헤치는 강의였습니다.
지방투자에 대해서 편견이 깰 수 있었고 최대한 투자와 연결지을 수 있는 생각을 가져야겠습니다.
1) 지역의 개별성을 파악하자 (지역별 개별 공식적용)
그들만의 시장이 있고 선호도가 다르다 .
어느 지역이냐에 따라 다르고 특성도 다르다. 같은 틀을 만들어 일괄 적용할 수 없다.
각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고 지역마다 파헤쳐보자.
2) 지방은 어떻게 살것이냐, 어떻게 쓸것이냐가 중요하다
획일적인 기준이 적용되지않는다. 각 지역별로 해당 요소를 면밀하게 보자.
3) 광역시별 랜드마크를 기억해두자
그 지역의 위상 등이 판가름이 난다. 천장이 얼마인지, 그 천장 정도에 대해서 가설을 세워서 확인해보자.
4) 입지가 개선되는 곳을 유의깊게보자.
전고점으로만 파악할 수 없다. 다른 지역의 변화에 대해서도 긴밀하게 예의주시하자.
5) 단지분석을 많이하자
지역사람들의 선호도를 알 수 있다.
6)투자전 공급달력을 반드시 만들고 확인하자
공급을 확인하고 추이를 알아야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7) 모두다 준비된 뒤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투자조건을 만들어서 투자하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