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
기다리고 기다렸던 강의,
종잣돈이 많이 부족했던 제게 지방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 사항이었습니다.
그래서 '23년 4월 월부에 입성하면서부터 지방투자기초반을 포함한 지방에 대한 투자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날만을 기다렸습니다.
사실 수도권에 거주 중인 과거의 저를 포함한 분들은 지방에 대한 편견으로 지방투자를 포기하시는 분이 많으신데요,
이번 강의는 그러한 저희의 지방투자에 대한 편견을 부숴줄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지방에 왜 투자해야 하는지, 왜 지방을 공부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까지,
대전을 기준으로 많은 사례를 들어가며 상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 광역시로 가자!
지방은 광역시, 중소도시, 소도시로 나눌 수 있는데,
광역시의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인구가 많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요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또한, 광역시는 중소도시와 수도권과의 중간 성격으로 광역시를 거점으로 주변 중소도시를 앞마당으로 만드는 방식이 비교평가를 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사실, 저는 광역시 여부와 관계없이 부산과 울산에 가족이 있어 이번 임장지로 선택한 울산과 인근 광역시인 부산을 가장 먼저 앞마당으로 만들 수 있을 것 같아 운이 정말 좋은 것 같네요 :)
울산/부산을 시작으로 경남권을 모두 앞마당으로 만드는 목표가 생겼습니다.
> 그들이 원하는 것을 알자!(개별성)
지방 투자에서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직장/교통)보다는 그들이 원하는 것(학군/환경)이 더욱 중요한 것이
수도권과 지방과의 큰 차이점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지방 각각 개별적으로 그들이 선호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 그것이 지방투자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실 지방 임장을 가본적이 없어 아직은 두렵고 막막하지만 제주바다님께서 설명해주신 대로,
그 지방이 가장 원하는 것!
체계적인 지역 분석을 통해서 단순 공식에 대입하는 것이 그 지역이 선호하는 거주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듯 합니다.
> 앞마당을 늘리자!
사실 이번 강의는 대전을 한 번도 가본적인 없는 저에게는 강의 내용을 100% 흡수하지 못한 것 같아 아쉬움이 큰 강의였습니다. (저만 아쉬움이 큰 강의,, )
강의 도중에 말씀하신 정보들을 검색해보기도 하고했으나, 생소한 지역에 대한 상세한 예시가 많아 얼른 대전을 뛰어가고 싶다는 심정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강의를 통해 내린 결론은 앞마당을 얼른 늘리자 였습니다!
아는 만큼 들리고 아는 만큼 보이는 것이기에,
앞마당 만들기를 게을리 하지 않고,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겠습니다!
BM
1) 앞마당 늘리기
2) 임장 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사항을 숙지하고 임장가기
댓글
의왕만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