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4강 강의는 권유디 튜터님의 강의로 마무리되었습니다.
강의 구성은 지방 투자를 하기위해 꼭 알아야 할 것과, 중소도시 지역 입지, 가격, 투자 정리를 해주셨습니다.
마지막 강의에서 1~3강에서 진행된 지역들을 총 정리해주셔서, 한 달 동안의 강의가 머릿속에서 싸악~ 정리되었습니다.
지방 도시들의 이해와 더불어 권유디 튜터님의 강의에서 꼭 챙겨가야겠다 라고 밑줄 쫙쫙 그어놓은 부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지방 투자는 최대 5년의 투자 기간으로 입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구가 감소하면 어떡하지?라는 근심&걱정을 해소시키는 말씀이셨습니다. 변동치에 너무 휘둘리기 보다는 도시의 절대적 가치를 보는 것입니다. 그 가치가 5년 내로 급격히 바뀌기란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이 좋아하고 선호하는 생활권의 단지라면 변화하는 과정에서도 투자했을 때 입지를 5년 뒤에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매우 높다고 하셨습니다. 투자 지역과 대상을 고를 때 예측이 불가한 미래의 걱정거리를 들고오기 보다는, 현재의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2.가격을 보기 전에 가치를 봐라.
월부의 투자 모토는 저평가 된 매물에 투자하는 것 입니다. 저평가는 가치 대비 저렴하다는 의미이므로, 월부 투자방식은 가치와 가격을 모두 알아야합니다.
권유디 튜터님께서 강조하신 건, 임장 할 땐 가치만 보라고 하셨습니다. 다들 여긴 얼마지? 라는 궁금증에 못 이겨 부동산 앱을 켜서 바로 가격을 확인해버리죠. 그러면 가격이 주는 선입견으로 그 지역과 단지의 가치를 정확히 바라볼 수 없다고 하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장 중에는 가격에 대한 호기심은 잠시 뒤로하고, 지역, 단지의 가치에 집중해야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지방투자 기초반의 "조카인" 조장님께 전수받은 방식인데, 단지임장을 할 때 처음 임장하는 단지를 기준으로 삼고, 이후 단지들에 대해 가치 평가를 스스로 정리해보고 가격을 기준 단지와 바로 비교하는 겁니다. 순서는 1) 단지의 가치를 스스로 판단해본다(=단지가 얼마인지 예상해 본다. 이때 기준 단지와 비교를 통해서 예상), 2) 단지의 가격을 확인한다. 3) 내가 예상한 단지의 가치(가격)과 실제 가격을 비교해보고 싸다/비싸다를 판단해보고, 내가 확인하지 못한 다른 가치가 있는지를 이후에 체크한다. 입니다.
조카인 조장님 단임 방법 널리널리 알려서 월부 동료들을 이롭게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권유디 튜터님의 강의 내용을 꼭 명심하고 이후 지방투자에 정확히 반영해서 지역, 단지의 가치를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댓글
모더랙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