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돈의속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승호,스노우폭스
3. 읽은 날짜: 2024/03/10
4. 총점 (10점 만점): 9.5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
#리스크가 무서워 아무도 매입하지 않는 순간이 리스크가 가장 적은 순간이다.
보통 변동성이 큰 시장이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지만 변동성에 따라 기대수익이 달라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사실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진 것 자체가 리스크를 줄여 놓은 상태라는 걸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다. 워런 버핏의 유명한 말이 있다. “남들이 욕심을 낼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욕심을 내야 한다” 결국 나쁜 상황은 나쁜 상태가 아니다. 오히려 할인된 가격에 자산 구매 기회를 주니, 리스크가 줄어든 시점이 된다. 리스크가 무서워 아무도 매입하지 않는 순간이 리스크가 가장 적은 순간이 되는 것이다.
[Chapter1. 빨리 부자가 되려면, 빨리 부자가 되려 하면 안 된다.]
#부자가 되는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려 하지 않는 것이다.
부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부자가 되기에 가장 좋은 나이는 50세 이후다. 젊은 시절에 부자가 되면 부를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고, 투자로 얻는 이익이나 사업으로 얻는 이익이 더 눈에 보여서 모으고 유지하는 능력이 가진 재산에 비해 약해진다. 결국 다시 가난해질 확률이 높다. 돈을 버는 기술과 돈을 모으는 능력, 돈을 유지하는 능력, 돈을 쓰는 능력은 잘 차려진 밥상의 네 다리에 해당한다. 이 중에 하나라도 길이가 짧거나 없으면 와장창 무너지기 마련일 테니 말이다.
[Chapter3. 이런곳에 나는 투자 안 한다]
#누군가에 피해를 주어야 수입이 늘어나는 곳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누군가에게 불행한 일이 생겨야 수입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나쁜 마음이 생길 수밖에 없다. 어차피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고 필요한 일이긴 하지만, 내 자산 안에 슬픈 돈이나 불행에 기초한 돈을 함께 넣어놓고 싶지는 않다. 돈 역시 우울하고 어두운 것은 멀리하기를 권한다.
[Chapter4. 부의속성]
#누군가에 피해를 주어야 수입이 늘어나는 곳에는 투자하지 않는다.
열심히 산다고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다. 돈을 많이 번다고 부자가 되지도 못한다. 부자가 된다고 행복해지는 것도 아니다. 부는 삶의 목적이 아니라 도구다. .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진정한 경제적 자유는 노동소득을 통해 투자한 자본 소득이 나의 노동소득을 뛰어넘는 순간이며, 이때가 진정한 독립 기념일이다.
2.부자가 되려면 조급하면 안된다. 돈도 중력이 있고, 속성이 있다.
3.무엇인가를 이루고 싶을 때는 정말 이루고 싶은 마음이 들어야 하고, 스스로 그 목표를 말해야 한다. 언어를 통제하면 생각이 닫히고 행동이 통제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자본 소득을 위해 첫걸음은 종잣돈. 수익보다 지출을 통제하여 종잣돈부터 마련하자.
2.리스크가 없어 보일 때 가장 리스크가 큰 법이다. 상승장 불장에서 나도 되겠지라는 마음을 가지지 말고, 냉철하게 상황을 분석하고 투자 원칙을 지켜야 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 54) 죽어라고 절약해 종잣돈 1,000만원 혹은 1억원이라도 만들어 자산을 점점 키워서, 그 자본 이익이 노동에서 버는 돈보다 많아지는 날이 바로 당신이 부자가 된 날이고 경제적 독립기념일이다. 이렇게 부자가 되는 사람은 절대로 다시 가난해지지 않으며 부가 대를 이어 발전해 나갈 수 있다.
(P.281) 부자는 수입 규모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지출 관리에서 나온다.
(P.283) 돈이 목적이 되는 순간, 모든 가치 기준이 돈으로 바뀌고 집안의 주인이 된 돈은 결국 사람을 부리기 시작한다. 결국 사람이 돈을 대신해서 일을 하게 되며 돈의 노예가 된다.
(P.356) 부자들은 재산을 모을 때는 농부처럼 행동한다. 깊게 땅을 파고 비를 기다리고 가뭄을 이겨내며 오래 견딘다. 그러나 돈을 벌어 자산이 생기면 어부처럼 돌아다닌다. 이곳저곳에 출몰하는 물고기 떼를 따라 배를 돌리고 바람과 수온을 따라 어디든 그물망을 내린다.
댓글
제니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