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앞으로의 투자공부 방향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강의였습니다.
지난 주 비전 보드를 작성할 때, 제가 달성하고 싶은 목표 금액, 그러기 위해서 어떤 습관과 계획을 가지고 살아야 할지 고민했었는데, 그 중 어떤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인지는 빠져있었던 것 같습니다. 월부 생활을 시작한 지 채 2달도 안되었지만, 책을 읽고 강의 듣고 이제 분임도 하면 '제 개인 시간은 투자 공부에 올인을 해야 하는구나'를 실감합니다. 이 여정에 혼자의 의지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월부안에서 같이 뛸 러닝메이트를 만나야 지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가 우선 좋은 러닝메이트가 되야겠죠? 열심히, 성실히, 긍정적으로 하루 하루 투자 공부를 하며 좋은 기운을 주는 사람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투자 시간이 필요한데, 보통 1만시간이라 합니다. 이를 10년 기준으로 한주에 필요한 시간을 환산하면 주당 20시간입니다. 적어도 하루에 4시간은 투자해야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저는 기꺼이 그 이상의 시간도 투자할 생각입니다. 우선 배우는 새싹단계이므로 투자그릇을 키우기 위해 지금처럼 매일 독서를 할 생각합니다. 한 주에 2권씩 월부 추천 도서를 읽으면서 경제 근육을 키울 생각입니다. 이번 달부터 분임을 처음 경험할텐데, 임장하는 법을 배우면, 매월 한 개의 앞마당을 넓혀 갈 생각입니다. 그리고 올해 말까지 1호기 실전투자도 해보겠습니다.
투자를 할때, 기본 원칙을 꼭 가지고 해야 잃지 않는 투자가 된다고 했는데, 그 말씀에 정말 동감합니다. 어떤 일이든 자신만의 원칙없이 하면 바람과 같은 주변 상황에 휘둘리게 되고, 그 결과 또한 좋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우선 '저환수원리'에 맞게 투자 전 꼭 점검하고 머릿속에 박히게 생각하고 또 생각하겠습니다. 그 중 기본적으로 부동산은 환금성이 좋은 물건은 아닌데, 가치 있는 아파트는 환금성이 상대적으로 좋기 때문에, 저도 아파트를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컸습니다. 우선은 투자할 때 '나의 수요'보다는 '타인의 수요'가 많은 곳을 보고, 직장/ 교통/ 학군/ 환경으로 입지의 가치가 결정되며, 이 중 저평가 된 곳이 투자 대상이 될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투자를 접근하면 원칙과 분석을 잘 하면 성공할 것 같은데, 사실 성공한 사람이 극히 일부분인 이유는 '인내'에 있는 것 같습니다. 지속적인 하락장에서 손실을 보는 것 같은 마음, 생각대로 일이 안 풀리고 변수가 생길 때, 감당하기 힘든 역전세를 맞이할 때 등 투자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시련들이 있을 것입니다. 시련은 성장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시련을 계기로 주저 앉으면 실패가 되는 것이고 이를 버텨내면 성장을 하는 것이기에, 긴 호흡과 식견을 가지고 투자생활을 하겠습니다.
댓글
써니하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