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목표 한 바를 이루려면 하나의 아주 작고, 면밀하며, 목적의식이 있고, 다른 일을 없앨 수 있는 목표에 집중해야한다.
[요약]
그러니 앞으로 성공을 생각할 때는 항상 달을 목표로 삼아라.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26p)
내가 아주 작은 도미노의 시작이 되어 더 큰 도미노들을 쓰려트려야 한다. 등비급수의 인생을 만들어야한다. 내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그에 맞는 목적의식과 이를 이루기 위한 작은 도미노 하나를 찾고 다음 도미노 앞에 세우자.
성공에 관한 잘못된 여섯 가지 믿음(Truthiness)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 하나의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목적의식에 따라 수행하며, 이를 위해 No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 환경, 주변사람이 중요하다.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 멀티태스킹을 하면 일의 효율과 성과가 줄어든다. 집중이 여러 군데로 분산 되면, A일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간, B일에 집중하기 위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 자기 관리 보다는 한번에 하나씩 오래 지속 될 수 있도록 시간을 충분히 들여(avg. 66 days) 강력한 습관을 키워라.
#4. 의지만 있다면 못 할 일은 없다. → 의지는 단순히 내 정신력에 기인하지 않는다. 내 몸의 상태와, 타이밍 등에 의해 다른 결과를 도출한다. 또한 의지력을 떨어뜨리는 여러가지 행동(외력)으로 인해 의지력은 쉽게 떨어진다. 따라서 일의 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일을 수행 해야 한다.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 일과 삶의 균형 = 일에도 집중 못하고 삶에도 집중 못하게 된다. 스스로 중요성의 무게를 맞춰야 한다. 다만, 업무에 익숙 해 지기 전까지는 업무에 투자해야한다.(직업적으로 성공하려면)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일을 작게 벌이면 작은 일만 하게 되고, 작은 사람, 작은 목표만 세우게 된다. 점진적인 사고를 피하고 내가 성공할 것이라는 단단한 신념을 기반으로 먼 미래(아주 큰 꿈)까지 생각해야 한다. 목표를 아주 크게 세워라. (월마트 사장)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가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큰 꿈을 생각하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n년 이내 목표, 1년 이내 목표, n 개월 이내 목표, 이달의 목표, 이주의 목표, 오늘의 목표를 세우고 오늘의 목표를 계속 반복하며 세운 목표를 부셔나가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시각화 하고 반복적으로 쓰고, 말하고, 주변에 알리는 사람들의 성공한 비율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성공한 비율이 높다.
하나의 활동에서 월등하게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다면 바로 그 하나의 행동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만 한다.
#1. 휴식 시간 확보하기 → 재충전할 시간은 누구에게나 필요하다.
#2.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 하루에 네 시간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확보해야한다. 고정된 시간을 세워야 외력(방해)을 받지 않는다.
#3. 계획할 시간 확보하기 → 매주 한 시간 연간, 월간 목표를 점검하고 어디로 가고 있는지 잘 가고 있는지 뒤돌아 봐야 내가 설정한 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 목표한 것을 수행하는 일을 끊기지 않게 수행 하는 것이 중요하다. (습관화, 체화)
단 하나를 위한 세가지 약속
#1. 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 ‘견습생’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은 길고 험난하지만, 내 일에서 전문가가 되는 것은 필수적이다. 전문성은 투자한 시간에 비례하며, 1년 365일 하루 세시간 10년 동안 해야 전문성이 생긴다.(1만시간의 법칙)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 목적의식이 없으면 목표는 흐려지기 마련이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 무엇을 진정으로 원하는지 계속 Remind하고 이를 위해 내가 수행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에 올랐다고 생각되면 즉각 배움의 스위치를 꺼버린다.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 어떤 일을 개선하고 해결하고 수행하려는 책임감을 가져한다. “니 잘못이다.”라는 말은 그냥 저냥 사는 사람들의 변명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자”라는 말이 책임감을 갖고 일하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 사람의 입에서 나와서는 안되는 말, 떠올려선 안될 생각이다.
생산성을 훔쳐가는 네 가지 도둑
#1. 아니오 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 거절하면 자유로워진다. 내가 “예”라고 말함으로써 내가 해야할 어떤 일에 자동적으로 “아니오”라는 족쇄가 채워진다. 일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적절한 “아니오”(거절)방법으로 거절 할 줄 알아야 생산성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생산력이 극대화 되면, 주위 사람들도 이해 해 줄 것이다.
#2. 혼란에 대한 두려움. → 혼란함도 두려워 말고 받아 들여라.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그 상황에 희생자(그냥 저냥 사는 사람)가 되지는 말아라.
#3. 건강에 나쁜 습관들. → 생산성은 개인의 건강에 기인한다. 건강이 받쳐주지 못하면 생산성을 떨어진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또한, 큰 일에는 큰 에너지가 따른다. 따라서 에너지 계획을 세워야 한다. 1) 명상하고 기도하며 2) 건강한 음식, 운동, 숙면 3) 정서적 건강 4) 정신적 건강 5) One Thing을 위한 시간 마련(에너지 계획)해야 한다.
#4. 목표 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주변 환경이 목표 달성에 방해 요인이라면 과감히 그 요인을 없애거나, 바꿔야 한다. 주변 사람(좋은 사람은 만나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덜 만나고), 전화, 문자, 이메일 등 One Thing 달성을 위한 방해 요인이 없을 때, 성공으로 가는 깨끗한 길을 닦을 수 있다.
“아이야, 그 싸움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두 마리 늑대 사이에서 벌어진다. 하나는 두려움이고 하나는 믿음이다.”
”그럼 둘 중에 어느 늑대가 이겨요?”
”바로 네가 먹이를 주는 늑대란다.”
두려움이라는 늑대는 불안, 걱정, 불확실성, 머뭇거림, 주저함, 대책없음을 가지고 다니고 믿음이라는 늑대는 차분함, 확신, 자신감, 열정, 단호함, 흥분, 행동을 불러온다. 긍정적인 마인드, 확실하고 거대한 목표설정, 하나에 집중, 방해요인은 삭제 또는 우회하는 능력을 믿음 이라는 늑대의 먹이로 줘서 믿음이라는 늑대를 키운다.
[느낀점]
[B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