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후기 :
https://blog.naver.com/dbvlfflsk7/223386281985
✔️ 투자 : 100% 타인의 수요
✔️ 내집마련 : 내 수요와 타인의 수요 교집합
직장
✔️ 전통의 강자 - 종로 중구(광화문), 여의도, 강남
✔️ 떠오른 지역 - 구디, 가디, 마곡, 잠실, 상암 수색, 판교
✔️ 떠오를 지역 - 용산, 삼성동, 창동, 상계
서울시 도시기본 계획을 보고 앞으로 서울의 어느지역 발전에 초점이 기울지 확인해보고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실제로 2020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5부도심이었던 강남과 영등포라인이 도심으로 개발되었다.
2030 플랜을 보며 서울 내에서 관심있게 봐야하는 지역들을 임장 지역 선정 시 고려하면 좋을 듯 싶다.
교통
✔️ S등급 : 강남 30분 이내 (재건축 확률 높음)
✔️ A등급 : 강남 1시간 이내/ 종로,여의도, 구로 등 30분 이내
✔️ B등급 : 종로, 여의도, 구로, 판교 등 1시간 이내
✔️ C등급 : 그 외
학군
✔️ 학군 보는 방법은 좀 더 공부하고 알아봐야될듯
이전에 너나위님의 책(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을 읽으며 정리했던, 학군 정보 확인하는 법 복습!
환경
✔️ 환경 만족 요소
✔️ 환경 불만족 요소
나이많고 저소득층인 지역이 꺼려진다는 현실이 씁쓸했지만,
냉정하게 따지면 (거주지역에 사는 사람들 = 세입자) 이다.
계속해서 올라가는 전세금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으려면,
젊은 층에 안정적인 직장인 밀집지역을 택해야 할 것 같다.
호재/악재
✔️ 입지를 개선시키는가?
✔️ 확정된 것인가?
✔️ 3년 이내의 것인가?
✔️ 불황 > 호재 (불황이 호재를 이긴다)
ex) 불황일때는 호재가 반영되지 않음
📌 즉, 하락장일 수록 호재를 봐야한다! (호재가 시장에 반영이 하나도 안되어있기 때문!)
진짜 호재와 진짜 악재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함
입지를 판단하는 많은 것들 중, 호재/악재까지 알아보고 고려할 짬바는 아닌 것 같기에
후순위로 미루기로 함!
괜히 호재에 팔랑거리지 말기
댓글
하룻갱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