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2031년 100억 부자가 되어 선한 영향력을 나누며 행복하게 살고 있는 실버디어 입니다. 💗
2주차 강의 달려갑니다!!! 🚗🚗🚗
부린이에서 투자고수 되는 법
농부의 마음으로 씨앗을 심고 기다린다.
(씨앗을 심어야 (원인) 씨앗이 싹, 잎, 열매가 생긴다. (결과)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싸게 사고 비쌀 때 판다.
(사람들이 무관심한 물건을 사주고 사람들이 사고 싶어 환호 할 때 판다.)
장기간 응원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한다.
(수도권은 10년 주기, 중소도시/지방은 5년 주기 -
싸게 샀다면 그 가치를 찾아갈 때까지 믿고 기다린다.)
전설의 투자자 피터린치가 운용한 마젤란펀드 :
연복리로 30% 수익률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 이 펀드 투자자들은 이 수익을 모두 가져가지 못함.
비쌀 때 사고 쌀 때 팔았기 때문에...
(부동산은 비교적 목돈이 들어가고 한번 투자하면 길게 봐야한다.
인내심 필수. 투자 마인드가 꼭 필요한 투자)
10년뒤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를 아파트 가치 판별법
아파트 가격의 가장 중요한 요소 = 입지
1. 직장 2.교통 3. 학군 4. 환경 5. 호재와 악재
서울 특히 강남의 집값이 계속오르는 이유는 양질의 직장이 많이 위치하기 때문이고
따라서 양질의 직장인 강남의 연봉이 높다.
월급으로 강남의 집을 사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니 강남 접근성이
좋은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후순위로 비쌀 수 밖에 없다.
나는 학령기의 아이가 없더라도 학군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배정 초등학교에 따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아파트의 우위가 바뀌기도 한다.
부동산 투자에서는 비혼주의건, 딩크족이건 나의 기준이 아닌
내가 가진 자산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은 일반적인 기준으로 골라야 한다.
그래야 팔고 싶을 때 사고 싶은 사람의 수가 많다. (팔기가 쉽다.)
아파트 주변 유흥/기피 시설 등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비선호 지역이 될 수 밖에 없다.
호재와 악재 - 요즈음 GTX와 같이 미확정역의 확정, 준공, 완공 등이 호재가 될 수 있다.
다만 부동산 하락기 가치 대비 가격의 왜곡이 생기는 경우 호재는 그 가능성을 숨기고 있다가
상승기에 함께 빛을 발하며 가격 상승에 반영(부스터) 된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은 오를까? 떨어질까?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월급은 딱 쓸 수 있는 만큼 (생계가 가능한 수준만큼) 오른다.
자본주의에서 통화량은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고
그렇게 쭉쭉 발전한 것이 지금의 우리다.
코로나 시기의 통화량 증가 이후 살인적인 물가 상승률을 경험하고 있다.
아파트 분양가 역시 건설비용의 상승으로 높아졌고
인테리어 비용도 엄청나게 상승했다.
당장 장보는 물가, 식비 오르지 않은 것이 없는데
부동산이 오르는 건 너무 당연한 상식 아닐까?
너바나의 투자 기준
2주차 강의의 하일라이트!!!
1. 저평가
가치 < 가격
2. 환금성
팔기 쉬운 (=사람들이 좋아하는) 아파트에 투자 해야 함
(아파트 1층 x, 탑층x)
(환금성 x) 땅은 매수시 땅을 담보로 받은 대출과 그 이자를 감당하기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여러 개의 땅에 투자한 경우 팔아서 대출이자에 쓰고 싶어도 쉽게 팔리지 않는다.
(환금성 너무 좋음) 주식은 매수/매도가 너무 쉬워 오래 투자하기 어려울 수 있다.
3. 수익률 + 절대적인 수익 금액
서울 아파트를 투자하면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으로도 최소 2억 이상(2024년 기준)이 필요하다.
다만 저평가된 좋은 아파트에 투자했고 충분히 오래 기다린다면 상승의 폭이 클 확률이 높다.
똘똘한 한채
중소도시 아파트에 투자하면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으로 최소 5천 x 4채 투자가능(2억으로 투자)
짧은 부동산 사이클로 서울 대비 빠른 시간에 상승할 여지와 수익률(%)은 서울대비 더 높을 수 있다.
시스템 투자
지역별, 평형별 '1. 직장 2.교통 3. 학군 4. 환경 5. 호재와 악재'
시세트레킹을 매달해서 변화와 흐름 파악을 시작하고
저평가되고 환금성이 좋은 시간이 지나면 수익률과 수익을 안겨줄
투자 후보를 만난다!
첫번째 아파트를 가지고 있다. 😊
[완강챌린지 인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