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수익률 보고서 과제에 대해 2주차 강의 때부터 너바나님이 말씀해주셨고, 조원들과 대전 서구 일부를 분임하기로 정해둬서 랜드마크 아파트인 크로바 아파트로 미리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해둔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양파링님의 수익률 보고서 강의 내용이 귀에 쏙쏙 더 잘 들어왔습니다. 강의를 듣고 나서 미리 작성해둔 수익률 보고서의 부족한 점을 보완했습니다.
한편 강의에서 예시로 다룬 아파트가 서울 아파트다 보니 수도권과 지방의 입지 요소 평가 기준의 차이가 있어서 광역시, 중소도시의 입지 등급표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지방의 경우 대부분 자차로 이동해서 교통이 큰 의미가 없는 만큼 직장 등급을 따질 때 해당 구뿐만 아니라 광역시 전체 직장 종사자수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
수도권은 환경에서 1km 반경 내에 있는 백화점, 대형마트의 개수를 세는데 지방은 반경까지는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았습니다.
주우이님의 강의를 듣고
다음달 실준반에서 거주지인 대전 지역을 임장하러 갈 때 내가 가진 선입견을 배제하고 임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임장가기로 한 날에 무슨 일이 있어도 임장가는 습관을 꼭 들이겠습니다.
교통 호재에 대해 이로 인해 거주민의 편의가 실제로 개선되는지 여부 확인의 필요성과
앞으로 개선될 곳 vs 이미 개선된 곳 비교평가 관점을 배웠습니다.
나중에 투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용해보고 싶은 점은
-.저평가 여부 확인>투자기준 확인>실투자금 확인의 순서 지키기
-.매전 차이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않기
-.비교평가 시 입지 고정 가격 비교, 가격 고정 입지 비교해보기
-.KB 시계열을 이용한 지역 시세 흐름 비교하기
-.최근 실거래가 체크해서 시장이 안좋을 때는 가장 낮은 금액을, 시장이 좋을 때는 가장 높은 금액을 목표 매수가로 설정하기
-.30평대 전세셋팅 시 1~2월, 7~8월이 이사철임을 고려하기
3강도 너무나 유익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