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10기 24조 지니초이] 3주차 강의 후기

  • 24.03.28

[단원별 한줄 요약]

  1. 동북권 현재 모습 : 직장은 별로없는데, GTX도입 등으로 일부 업무지구 접근성 좋아지고, 뉴타운으로 환경이 개선되는 곳이있다, 동북권 전세가율이 높고 4-5급지는 매매가 회복을 못한 저평가단지많음
  2. 동북권 지역분석 : 성동구(부자동네)/광진구(광남학군)/동대문구(이문휘경)/성북구(장위길음)
  3. 비교평가 : 가격이 붙어있는 시기라 같은 값이면 더 좋은(연식, 평수) 것으로


[기억해둘 것]

  1. 2014년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4.2억이었지만 2024년 2월 중위가격은 9.6억이다
  2. 무조건 역세권이 다가아니라 어떤 노선이냐가 중요하다.
  3. 업무지구접근성이 좋은 역세권, 준신축, 입지개선이 되는 장점많은 단지면 소규모라도 저평가면 ok
  4. 단지임장할때는 앞과 뒤를 동시에 봐라
  5. 가격정리할때 (행) 가격순 (열) 생활권 우선순위순으로 한눈에 정리해보면 편하다


[느낀점]

  1. 서울아파트 볼것도 많다. "무조건"이 없는 것같다. 역세권이라고, 꼭 대단지나 연식좋다고 좋은 것도아니고. 만약 그렇다고 하면 아파트 데이터로 쭉 나래비 세워서 AI로 고를수있을텐데(?) 그렇지 않으니까, 그안에서 기회도 있는 듯하다
  2. 이번에 지역분석할때 다룬 지역들은 사실 성동구 빼고 내가 친숙하지 않은 동네였고, 특히 4급지 이하 지역은 "이미지"가 딱히 좋지 않았어서 편견을 갖고봤는데 다이내믹한 부분이 많은 것같다. 강의를 들어보니 직접 입장 가서 느껴보고싶은 마음이 커졌다
  3. 1등뽑기할때 가격이 먼저 나오면 안된다. 가치먼저 평가하고(SABC)로 그다음 가격별로 묶는다

댓글


지니초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