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준반 54기 84조 세르미

  • 24.04.07

작년 12월 열반 기초, 1월 내마반 기초를 듣고

중간에 특강을 듣기도 했지만

정규 수업을 들으면서 조원분들과 소통하며 4월 한달을 보낼 수 있을것 같아

설레기도 하면서 드디어 임장 보고서를 제대로 배워

쓸수 있을것 같은 기대감도 가져보게 된다.


1강의 내용이 다소 길었지만 강의를 들을수록 빠져 들어

6시간간이 금방 지나갈 정도였다.

자모님의 강의를 들을 수록 그전에 내가 했던 투자금에 맞춰

체계없이 임장을 하고 있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임장 보고서를 통해 아파트에 대해 나 자신 스스로 가치를 판단하며

남의 도움이 아닌 언제 매수해야 하며

언제 매도 해야 할지 스스로 정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 같았다.



처음 임장 할때 관심있는 곳에 임장루트를 보면서

분임과 단임과 시세까지 한번에 한 게 잘 못 된것지를 알게 되었다.


우선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를 보면서 가치를 먼저 보고

가격을 보라는 말씀이 나에게 적용할 점 같았다.

아직 가치 판단도 안되는 초보인데 처음부터 단임과 시세를 같이 봐서

나 스스로 가치를 판단하는 시간을 주지 못한것 같았다.



단지 임장중 단지 외부 학군과 상권을 볼때, 단순히 학원이 있네?

정도 였는데 초등인지, 중학생을 위한 건지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거 같았다.

단지 근처에 초, 중, 고 까지 있으면 자녀의 학교를 위해

이사를 하지 않아도 되니 한 아파트에 오래 살 수 있는 수요 일수 이었다.


투자랑 연결짓는 단지 분석 방법에서

단지별 개별 특징을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선호도에 절대적인 요소는 없다는 것을 알고 단지의 가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수도권 베드 타운에서는 교통과 학군이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지만 절대적으로

역이랑 가까우니까 좋은 단지야!

연식이 좋으니깐 좋은 단지야! 라는 것은 없는 것이다.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들이 많을 수록 좋은 단지이며 그만 큼 수요도 많다는 것이다.

단지 임장을 통해서 단지 외부 요소 ( 교통, 학군, 환경)

단지 내부 요소 (동간 거리, 단지 관리, 조경, 연식, 단지 자재) 모두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실전 준비반을 수강 하면서 무엇 보다도 중요한 부분이

같은 가격인데 어떤 단지가 최고인지를 스스로 찾을 수 있는 능력

갖춰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든다.


댓글


주토
24. 04. 11. 12:20

와 세르미님 정리 너무 잘하셨는데요?! 선호도에 절대 요소는 없다지만 저도 모르게 그래도 무조건 역세권이 나은게 아냐? 신축이 나은게 아냐? 하게 되더라고요 ㅎㅎ 다시 한번 단지별 중요성에 대해 깨닫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