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본깨]
[이토록 아슬아슬한 세상]
-과거를 보아도 미래는 알 수 없다. 세상 모든 일은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혼합되고, 그 결과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토대로 예측해야한다. 50년후에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예측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때도 여전히 사람들이 탐욕과 두려움에 지배당하고 기회와 리스크, 불확실성, 집단 소속감, 사회적 설득에 반응할 것이다. → 깨) 이 책의 주된 내용이다. 수십년이 지나도 변하지않는 법칙을 토대로 예측해야 한다.
[보이지 않는 것, 리스크]
-당신이 모든 시나리오를 남김없이 고려했따고 생각한 후에 남는 것이 리스크다.
-리스크는 보이지 않는다. → 깨) 투자를 할때 리스크를 고려하고 한다고 해도 결국 내가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현실에 대한 우리의 관점과 지식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 자만하지 말고 겸손해야하는 이유다.
-예측이 아니라 준비성에 투자하라
-오로지 예측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언제 어디서 닥칠지 모를지라도 리스크가 언제고 반드시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편이 낫다. → 예측을 하려고하지말고 대응을 해야한다.
-상상할 수 있는 리스크만 대비하면 상상하지 못한 리스크는 준비되지 않은 채로 맞아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러니 개인재정을 관리할 때는 너무 많다 싶은 액수가 적절한 저축이라고 생각하라. →사실 남편과 정한 저축액이 너무 많다 싶은 액수는 아닌 것 같다.
[평화가 혼돈의 씨앗을 뿌린다]
-안정성이 불안정성을 낳는다. → 참 아이러니 하면서도 맞는 말이다.
-시장이 안정돼 있다는 믿음이 낳은 '똑똑하고 합리적인' 행동이 자산 가격을 높이고, 그렇게 높아진 자산 가격이 불안정성을 초래한다. 안정성이 불안정성을 낳는 것이다. 평화가 혼돈의 씨앗을 뿌린다. 늘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평화로운 시기의 아리어니는, 그 평화가 안심과 만족을 조성하고 경고를 무시한느 태도를 키운다는 점이다.
-충분함의 미학을 깨닫자. 탐나는 기회가 눈앞에서 아른거릴지 모른다. 그래도 이렇게 말해보면 어떻겠는가. "나는 지금 딱 이만큼의 리스크만 감수하는 데 만족해. 그리고 어떻게 흘러가는지 지켜봐야지" 물론 그러기가 쉽지많은 않을 것이다. → 하... 지금 1호기를 앞두고있는 나에게 정말 필요한 문구다. 지금 투자금액이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다. 여기서 몇천만 1억만 2억만 더 올리면 더 좋은 걸 살수있는데? 라는 나의 욕심이 계속 생기고 있다. 충분함의 미학을 깨달아야한다. ㅠㅠ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
-목표로 삼을 가치고 있는 것에는 고통이 따른다. 중요한 것은 고통을 개의치 않는 마인드다. → 1호기를 위해 무작정 휴가를 이틀 내고 서울 올라오는 기차에서 읽은 이 문구가 많은 힘이 되었다.
-인생에 꼭 필요한 능력 중 하나는 고통을 피해갈 쉬운 해결책이나 지름길부터 찾기보단느 필요한 때에 고통을 참아내는 능력이다. → 인생의 진리이다. 나의 미래의 자녀도 이 진리를 깨닫길.
-원하는 것을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을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다. → 난 1호기를 가질 자격을 갖췄을까? 사실 잘 모르겠다.
-효율적으로 돌아간다면 잘못하고 있는 겁니다. 힘든 길이 옳은 길입니다.
-성공에는 비용이 따른다.
-목표로 삼을 가치가 있는 것 중에 공짜는 없다.
-많은 경우 그 비용은 치를 가치가 있다. 그러나 에누리 없이 반드시 전부 치러야 하는 비용임을 기억하라. 여기에는 쿠폰도 없고 할인도 없다. → 크... 너무 단호하다못해 아프기까지 하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이게 진리인걸
-혼란스럽고 불안전한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얼마만큼의 비효율성을 견디는 것이 최선일까? 라고 물어야 한다. →결국 버티고 견뎌야 한다.
-장기적인 성공과 발전의 연료가 되는 것은 인내심이다. 힘들고 혼란스러운 시기를 묵묵히 견디는 것은 결점이 아닌, 적정한 수준의 불편함을 받아들일 줄 아는 장점이다. → 그릿이 떠오른다.
[멀리 보는 것에 관하여]
-투자 기간이 길수록 더 많은 재앙과 비극을 경험하기 마련이다. →서울아파트 10년 동안 갖고있는 동안 얼마나 많은 하락장을 경험하고 얼마나 그 시간을 견뎌내야 다음번 상승장을 맞이할까. 만만치 않을 것 같다.
-장기적 계획과 실행을 위해서는 단기적 리스크도 간과하지 않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진정한 장기적 사고를 하려면 인내심과 고집을 구분할 줄 알아야한다. → 햐 정말 어려울 것 같다.
-장기전에서는 시간 자체보다 유연성이 더 중요하다.
[적]
-수십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법칙을 알아야 한다.
-충분함의 미학을 깨달아야 한다. 나는 지금 1호기에 너무 많은 투자금을 넣으려는게 아닐까? 더 좋은 아파트 더 신축 아파트를 사려고 무리하는 건 아닐까?
-성공은 비용을 치뤄야한다. 난 1호기를 가질 자격을 갖췄을까? 부족하다. 비용을 더 치뤄야한다.
댓글
쏜자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