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5기 14천리조 늘바람]

  • 24.04.13

임장보고서를 쓰지않으면 일어나는일


감으로 투자하거나 아는걸 들은걸 토대로 투자를 하게된다.


그지역의 특징이나 선호요소를 제대로 임보를 쓴사람만 알수있다


비교평가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투자가 아쉬움이 남는다.


실패없는 임보쓰는법 꿀팁!!


앉는다 켠다 쓴다!


처음시작은 언제나 잘하는것 보다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 지켜보겠습니다.


입지분석에서


수도권지역과 지방의 기준이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수도권은


1.직장

2.교통

3.학군,환경


5대광역시,중소도시


1.인구수

2.직장

3.학군,환경


으로 나뉠수 있는데


아무래도 지방은 자차의 이용이 많기때문에 이러한 입지분석 중요도를 나타낼수 있는것 같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점은 기준점은 항상 같아야 한다는거.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등급을 매길수 있는데


하지만 등급만 매긴다고 하면 굳이 임장을 갈 필요가 없을 것 이다.


임장을 가야하는 이유는 그도시의 분위기 사람들의 모습


실제 보고 듣고 느낄수 있는 부분을 봐야 알수 있는것들이 있기 때문에 임장의 중요성 강조할수 있다.


그래서 개인적인 나의 생각은 분임 단임 매임 중에


분임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상권과 학원가 그리고 거리에 사람들은 직접 가봐야 알수 있으니깐


그리고 입지분석의 보너스!!


하락장에서의 호재는 찬밥이지만


상승장이 올때는 기름의 역활을 한다.


개선시킬수 있는 호재는 교통,환경,일자리를 볼수 있는데


일자리보다는 환경적인 부분을 집중해서 보는게 좋은 방향으로 볼수 있다.


사람들의 수요가 있을만한 호재


그리고 호재가 확정된 것을 확인하고 그 호재가 적용되지 않아 가치가 저평가가


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눈여겨 봐야한다.


시세분석


평당가를 확인하는데


평균 평당가를 인접도시와 비교하는데


평균 평단가에 x33평을 기준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전세율을 확인하는 이유


내가 투자를 할수 있는 곳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당연히 수도권과 지방의 전세율을 다르게 봐야한다.


수도권 60% 지방 80% 이상을 기준으로 생각하는 게 가장 좋다.


랜드마크를 봐야하는 이유


가장 좋은 아파트를 봐야 시세의 흐름을 알수 있다.


시세가 가장 빨리 편하는곳이고 그리고 특징을 알고 위치를 알면 지역간 비교할수 있고 위상을 알수 있다.


시세트래킹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동별 랜드마크를 보는법 (아실)


이부분을 확인하는 이유는 동별 레벨을 알수있다.


시세조사


단지 하나 하나를 다 확인해야한다.


지금은 당연히 많고 귀찮을 수있겠지만


하다보면 나중에 잼있어진다는 밥잘님의 말씀 믿습니다!!


그리고 변하는 시세를 확인해야지 나의 투자금을 좀더 줄일수 있다.


매매가는 저층/탑층제외 최저가를 확인


전세가는 최저가의 위에 두번째 정도를 확인


다만 거래가 활발할때는 최고가를 확인


가장 국민전용면적 59,84를 먼저 시세를 확인


시세지도를 그리는 이유


시세를 따로 조사하지만 그리는 이유는 위치와 입지를 익힌다는 생각으로


공부하는 마음으로 다시 정리하는 단계 재미있겠죠?


단지임장


단지임장의 목적은 그단지를 기억하기 위해서


당연히 많은 단지를 볼수록 좋다.


다만 초보라면 목적을 생각하고 가장 효과적인 갯수를 정하고


의미에 맞는 행동을 한다.


그리고 단지를 작성하고 그단지에 대한 결론. 즉 나의 생각을 적는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내기억속에 남을 수 있다. 복붙만 한다면 의미가 없을 것


TIP.단지마다 음성 녹음을 하여 텍스트변되는 프로그램 활용


결론


완성하는것에 목표를 두고 처음부터 잘할 순 없다


그리고 중요한것은 결론을 적는것이다.


나의 결론과 생각을 적어야 기억에 남고 의미가 되는것이다.


그리고 모아서 모아서 1등뽑기!!


당장에 투자를 안하더라도 1등을 뽑는다는건 비교하고 분석하는것에 초점을 맞춘 의미인것 같다.


일단 하고 보자!!목표는 완성하는것 잘하지 못해도 된다 당연한 것을














댓글


아장인
24. 04. 16. 16:58

ㅎㅎㅎㅎㅎㅎ오오 늘바람님 뭔가 비장한 다짐이 매우 느껴집니다 ㅋ.ㅋ 앉켠쓴!!!!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