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분석

곰팅곰팅의 내집마련 예산 계산 및 후보 단지 정리하기[내집마련 기초반 45기 21조 곰팅곰팅]

  • 24.04.16

안녕하세요.

한 걸음씩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입니다.

내집마련 기초반 1주차 과제를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예산 계산하기


저는 2020년 월부에 들어오기 전 0호기를 마련하게 되었고, 바로 전세를 맞추었습니다.

2년 뒤 임대차 보호법으로 5%의 전세 상승분을 취할 수 있었고, 올해 0호기를 매도할지, 아니면 상생 임대인 제도를 활용하기 위해 다시 5% 전세 상승분을 올릴지 고민하고 있어요.

한 달에 한 번씩 정리해 보는 가계부에서

노후/연금, 자녀에 묶어놓은 돈을 제외하고 순수 현재 투자금으로 활용 가능한 돈만 계산해 보았어요.

A 안 : 실거주(현재 전세 거주, 전세 내주는 중. 0호기인 집을 2년 거주 후 매도, 갈아타기)

B 안 : 전세 거주하면서 0호기 갈아타기

C 안 : 0호기 전세 연장, 종잣돈+전세 상승분으로 투자하기

3가지 상황에 따라 예산이 어떻게 되는지 '컵을 준비하는 시간'으로 보낼 수 있었답니다.



A 안은 2년 뒤의 일이고, 세 개의 상황에 견주어 보았을 때 가장 효율성이 떨어지는 일이라고 생각했어요.

B 안은 당장 양도세를 내야 하지만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예산 범위 내 지역은 어디가 가능할지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 C 안은 현재 제가 접근해 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예산 범위 내 지역 알아보기



서울을 기준으로 갈아타기 및 투자를 했을 때 20, 30평대를 나눠서 가능한 범위를 선정했고, 그 지역 중 후보 지역을 선정하게 되었어요. 이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시장 상황의 변화를 지켜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종 후보 단지



실제 선정한 투자금 범위에서 지역, 단지를 선정하니 좀 더 내 집 마련에 가까워진 느낌이었습니다. 지역의 입지분

석까지 함께 진행하니 더욱 의미 있는 데이터가 나올 수 있었고 그 안에서 비교평가를 할 수 있어 좋았어요. 부족한 실력이었지만 예산 범위 내에서 선정을 했다는 것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추후 데이터는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꼭 매수로 연결 지을 수 있도록 이어가겠습니다.


그럼 2주 차 과제로 돌아오겠습니다! 빠잇!


댓글


곰팅곰팅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