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나미입니다.
실준반 2강 강의후기입니다.
사실 실준반 강의를 4번째 다시 듣는 바,
이번 강의는 임보를 쓰는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새롭게 들리는 것에 집중하여 정리 해 보았다.
1) 임보의 본질과 결론
숙제를 하듯이 임보를 써나가다 보면
어느샌가 기계적으로 복사 붙여넣기만 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임보의 본질과 결론이 무엇인지 강의를 통해 정리 할 수 있었다.
이를 잘 새기고 있는 것만으로도
한달간 임보를 쓰는 과정에서 등대같은 역할이 되어 줄 것같다.
2) 입지분석
입지분석 파트에서는 ‘환경’과 ‘공급’파트가 많이 와닿았다.
우선 ‘환경’에 있어서는 사실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이 큰 입지요소라
그동안 크게 어렵게 생각하지는 않았다.
근데 따지고 보면 제일 헷갈리는게 이 ‘환경’이라는 부분이 개입 할 때 인것 같다.
정량적으로 표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강의에서는 ‘동천동 신축’과 ‘상현동 구축’을 예로 들어,
비역세권의 신축과 역세권의 구축을 비교 평가 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와 비슷한 고민들을 다른 지역의 단지 분석을 하면서 많이 해 왔던 것 같다.
수도권=교통이지! 처럼,
아파트의 우선순위를 천편일률적으로 한가지의 입지 요소에 따라 줄세우려고 하는 건
좋은 투자를 하는데 도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더불어 현 시대에 ‘신축+균질성=환경’에 대한 니즈가 매우 높다는 것을 느꼈는데,
이는 강의에서 뿐만 아니라 주변 지인들의 인터뷰나 가격 흐름을 보고도 체감 해 왔었다.
훌륭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입지가 무조건 중요하다’와 같은
절대 불변의 공식을 만들려고 하기 보다는
실 수요자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인정하는 유연함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됐다.
’공급’파트에서는
내가 ‘지금’ 투자한다면 영향 줄수 있는 인근의 입주가 어떤게 있을지 생각해보고
코멘트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와닿았다.
결국 모든 입지분석은 ‘아파트 수요’와 어떻게 연관 지을 수 있을지,
의식적으로 생각하고 훈련하는 연습이라는 것이라는 걸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다.
3) 단지분석
단지분석 파트에서는,
좀 더 투자에 관한 생각을 꼼꼼하고 쫀쫀하게 적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자로서의 사고프로세스가 오롯이 담기도록!
댓글
namii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