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강의후기 [실전준비반 54기 7년 안에 자산2십억 이룰조 코카5]

  • 24.04.21

[본]


"그래서 다음 앞마당은?"

이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얻게 되었습니다.


앞마당 2개가 되지 않아서 우선 임장을 자주 갈 수 있는 "사는지역&직장지역"을 선택하면 좋겠다고 하셔서

저의 집이자 직장이 있는 '수원시 영통구'를 수지구 다음 저의 두번째 앞마당으로 만드려고 합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투자 사례를 통하여 코크드림님께서도 계속해서 투자 기준을 강조하셨습니다.

1) 저평가 되어있는가? 가치 대비 싼가? (내 앞마당 중에서 가장 좋으면서 싼것!!)

2) 수익성이 있는가? 전세가율이 적절한가? (서울60, 경기70, 지방 80),

3) 리스크 감당 가능한가? 잔금 가능여부, 2년뒤의 역전세 대응 가능한가


** 다시한번 나의 투자기준이 명확해야 매수 후에도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고 강조해주셔서 가장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에 대해서 다시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전세셋팅 _ 이 부분은 아직 와닿지 않아서 강의 듣는 내내 너무 어려웠습니다 ㅠ___ㅠ

코크드림님이 투자 9년 하시며, 꾸준히 포기만 하지 않으면 나중엔 임장보고서 보다 어렵지 않게 느껴진다는 말에 위안이 되었습니다.

[깨]


1. 앞마당 3개~7개 미만 _ 수평적 비교평가

수평적 비교평가_1) 수도권 급지와 2) 지방(인구규모)의 급지

50만 이상의 중소도시; 청주, 천안, 전주, 김해, 포항

100만 이상의 도시; 대전, 광주, 울산, 창원

200만 이상; 부산, 대구


앞마당 7개 이상_ 수직적 비교평가




[적] 수지구와 영통구의 임장보고서를 '마침표' 찍는 것. 실준에서 배운 임보/임장을 영통구에도 적용해서 투자자의 시선으로 지역을 이해해 보는 것.


여러번 반복하다보면 언젠가 귀에 눈에 익히게 될 날이 올것을 믿으며 코크드림 강사님이 알려주신 전세 셋팅에 대한 내용을 매일 매일 읽어기. 전세 세팅에 대한 선배님들의 칼럼 통해 지식 레버리지 하기.


댓글


코카05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