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 : 불변의 법칙
저자 및 출판사 : 모건 하우절 / 서삼독
읽은 날짜 : 24.04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변하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리스크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2. 보이지 않는 것, 리스크
"예측이 아니라 준비성에 투자하라"
정확한 예측이 있어야 대비를 하겠다고 생각할 때 리스크는 위험한 것이 된다.
오로지 예측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전제 어디서 닥칠지 모를지라도 리스크가 언제고 반드시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편이 낫다.
둘째, 상상할 수 있는 리스크만 대비하면 상상하지 못한 리스크는 준비되지 않은 채로 맞아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러니 개인 재정을 관리할 때는 너무 많다 싶은 액수가
적절한 저축액 이라고 생각하라.
대비 가능한 리스크는 대비하면 리스크가 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파트 투자를 하며 역전세 등등 투자에 여러 리스크가 있겠지만
대비하면 리스크는 기회가 될 수 있고, 상상하지 못한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원칙에 맞는 투자를 해야겠다는 생각하였습니다.
8. 평화가 혼돈의 씨앗을 뿌린다
경제가 안정적일 때는 사람들이 낙관적이 된다.
사람들이 낙관적이 되면 빚을 내어 투자한다.
빚을 내어 투자하면 경제가 불안정해진다.
민스키가 말하는 포인트는 '안정성이 불안정성을 낳는다'는 것이다.
첫째, 시장이 미친듯이 과열되는 것은 뭔가 고장 났다는 의미가 아니다.
미친듯이 과열되는 것은 정상이다. 더 미친듯이 가열되는 것도 정상이다.
둘째, 충분함의 미학을 깨닫자.
"나는 지금 딱 이만큼의 리스크만 감수하는 데 만족해. 그리고 어떻게 흘러가는지 지켜봐야지"
시장과 반대로 행동해야 투자자로써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욕심부리지 않고 감당 가능한 범위 내에서 투자를 이어나가야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9. 더 많이, 더 빨리
괜찮은 뭔가를 지나치게 밀어붙이고, 결과를 지나치게 빨리 얻으려 하고,
지나치게 짜내려다가 오히려 역효과가 돌아온다는 것을 역사가 보여준다.
모든 일에는 적절한 규모와 속도가 있다. 그 선을 넘으면 문제가 생긴다.
투자 기간을 압축할수록 투자자는 운에 더 의존하게 되고, 실패하기 쉽다.
역사 속의 투자 실패 사례들을 흙어보라. 그중 자그마치 90퍼센트가 이 자연스럽고
'가장 알맞은' 투자 기간을 짧게 압축하려 한 탓에 일어났다.
21. 멀리 보는 것에 관하여
장거리 달리기는 당신이 견뎌야 하는 단거리 달리기들의 집합이다.
이런 질문을 던져라. "끝없이 나타나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을 어떻게 하면 견딜 수 있을까?"
혼자서만 장기적 계획을 확신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당신의 파트너나 동료, 배우자, 친구도 함께 해야 한다.
씨앗을 뿌리고 결실을 맺을 때까지 인내하는 것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멀리 가기 위해 장기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단기 목표를 이뤄가는
것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15.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
기억하라. 대부분의 일에는 비용이 따르며 이를 인정하고 기꺼이 치르는 것이 현명하다.
그 비용이란 적당한 양의 불편함을 견디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리스크를 대비하고,
과거에 있었던 일들이 미래에도 발생 할 수 있음을 알고 대응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계속 변하는 것보다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인간에 행동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었습니다.
-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내성 기르기(독서)
p.20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앞으로 10년동안 무엇이 변할 것 같으냐는 지문을 자주 받는다고 한다.
거기에 대해 이런 말을 덧붙엿다. "'앞으로 10년 동안 변하지 않을 것은 무엇입니다?'라는
질문을 받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나는 사실 이 두번째 질문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변하지 않는 것들은 중요하다. 그것을 알면 확신을 갖고 미래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p.252 역사를 보면 한 가지 중요한 점을 깨닫는다. 장기적으로는 대개 좋은 결과에 이르고
단기적으로는 대개 나쁜 상황을 곁는다는 사실이다.
p.320 자신이 우러러보는 그 사람도 슈퍼맨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이라는 것, 그저 성공 확률을 높이는
일련의 결정과 행동을 했을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더 많은 이들이 높은 목표를 향해 도전할 텐데 말이다.
p.360 영속성 지식은 발견하기가 더 어렵다. 시끄러운 신문 헤드라인이 아니라 책속에 묻혀 있기 때문이다.
영속성 지식은 당신이 이미 가진 지식과 합쳐지고 상호작용하면서 시간이 흐를수록 일종의 복리 효과를 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