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40대 가장입니다.
이번에 강의를 듣다보니,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1년에 지방에 1채 투자를 목표로 하면, 연 3000이상의 종자돈을 계속 마련해야 하는데
저는 내집마련으로 평택에 분양한 아파트를 내년 2월에 입주예정에 있습니다.
내년에 입주시 중도금 대출을 주택담보대출로 전환하려 하는데 (분양가 50%, 2억 5천)
현 금리의 이자와 원리금으로 월 160~180정도 나갈거 같더라구요
종자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이자부분이 매우 아까운데,
저는 전략을 짠게 이 아파트도 투자의 대상으로 생각하고(아파트는 평택시 칠원동 동문 디이스트 5단지, 쌍용자동차 옆)
2~3년 실거주후 전세가가 올라서 (전세가율 70~75%정도) 제가 전세로 앉든지, 이사해서 월세로 간다음 종자돈을 모으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러면 2~3년은 투자가 안되고 이자와 원금 상환만 가능한거 같아서
(현재도 맞벌이를 하고 있습니다. 맞벌이 기준으로 월 이자와 원금상환 조건입니다.)
너바나님의 부돈산과 맞벌이 한다 를 보면 가계부를 적지 않으면 부자가 될 수 없다라고 단언하시는 부분이 나옵니다.
가계부는 아내의 영역이라고 생각했지만 제가 제 월급여 부분이라도 작성을 해보려 합니다.
투터님들도 가계부 작성을 하시나요?
가계의 돈 흐름을 이해하고 통제할수 있어야 한다. 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여기서 좀더 돈을 아낄 구멍을 찾을수 있어야 한다라고도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