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4기 94조 곰카레]
느낀점 : 분임, 단임, 매임에 대해 하나하나 기초를 쌓는 강의였다. 분임에서 봐야할 요소는 사람들과 상권이 중요하고, 단임에서 봐야할 요소는 단지의 밖과 안, 조경, 경사, 관리 상태 등, 매임에서 봐야할 요소는 각 매물의 상태(꼼곰하게) 라고 말씀해주셨다. 적용할 점 : 단임할 때 루트 따보기 단임 후 생활권 별 1등 뽑기 매임하기(혼자!)
[서투기 11기 96조 곰카레] 서울투자 기초반 3주차 수강후기
제주바다님의 동북권 강의는 2주차와 마찬가지로 임장보고서를 같이 써 내려가는 방식의 강의였다. 강의를 들으면서, 많이 강조하신 내용은 "지금은 절대적 저평가 되어있는 시기다. 가격을 보지말고 가치를 먼저 보고 이후에 가격을 입혀야 한다." 였다. 가격을 먼저 보게되면, 좋은 가치를 가지면서 많이 싸진 좋은 단지들을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매매가
[서울 투자 기초반 11기 96조 곰카레] 1주차 강의 후기
서울 투자를 생각할때 제일 중요한게 급지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그 생각이 완전히 잘못됐구나 라는걸 알게된 강의였다. 잘 모를땐 공식처럼 급지라는 절대적인 기준이 모든 것에 있어서 최우선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단지 대 단지로 비교하는게 중요했다. 또 지금 시기상, 안좋은 단지를 고르는게 아니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역에서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를 사는
열반스쿨 중급반 본깨적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3. 읽은 날짜: 2024.03.04 4. 총점 (10점 만점): 10점/ 7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2장 미운오리 새끼 백조가 되다.] #
열반스쿨 중급반 4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전세의 A-Z 까지 다 들을 수 있었던 강의였다. 강의 초반에 "계약" 에 관한 내용들을 듣다 보니 알아야 할 게 많아서 어지러운 부분도 있었지만, 이런 내용들을 잘 안다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면서(그리고 위기가 위기가 아닐 수가 있겠다) 의지를 불태우며 들었다. 내 물건을 1등 만들어 전세 빨리 빼는 법에선 1) 적정 전세가 설정
열반스쿨 중급반 3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3강을 들으면서 많이 들었던 생각은, 수도권에 집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왔구나 라는 생각이었다. 지금은 "하락장" 이라고 말씀해주신게 신호를 주는 느낌이었다. 서울 1시간 거리 외곽 아파트들을 많이 보라고 말씀해주신게 나에게 하는 말 같았다. 종잣돈이 1억이 된다면, 서울, 수도권을 적극적으로 바라보는 것도 좋은 기회일 것 같다. 안되면 무리하지 말고, 협
열반스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2주차 강의를 이제야 다 듣고, 강의 후기를 쓰는 내 자신.. 책 읽으랴, 부동산 강의 들으랴, 일 하라 정말 너무 정신이 없네요..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하나씩 해내고 있는 모습에 포커싱하면서 칭찬해주려 합니다. 2주차 강의에서는 실제 투자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들을 수 있었습니다. 열기에서 들었던, 저환수원리를 다시 복기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원씽은 한가지 질문으로 시작해서 한가지 질문으로 끝난다. "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이 책은 이 질문을 1) 왜 해야 하는지(why) 2) 어떻게 해야 하는지(how) 3) 무슨 질문을 해야 하는지(what) 에 대해서 쭉 설명해 놓은 책이다. 1) 왜 해야하는가? -> 최고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 -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는 말은 거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0조 곰카레]
이번 강의는 지방 투자에 대해 자세하게 듣게된 첫 강의였고, 수도권 투자 부분에선 지역마다 우선적으로 봐야 할 "핵심 입지 요소"가 따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된 강의였다. 12월에 열기를 듣고, 지방 투자를 해야겠다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지방 투자를 해야하는 기준에 대해서도 한번 더 정리해주셔서 좋았다. 나에게 적합한 투자는? Step1. 현재
열반스쿨 기초반 4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6조 곰카레]
4주차 강의에서 투자 시장에는 4계절이 있다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투자하기 좋은 시기는 늦겨울~초여름까지는 괜찮다고 하셨다. 또 잘 샀으면 '버텨야한다' 는 것을 많이 강조했다. 또 시세차익 부동산과 다른 투자들에 대해서도 알려주셨는데, 한때 '월세 받는 투자도 좋지 않을까?' 했던 생각이 잘못된 생각이었구나 라는것을 알게되었다. 투자에서 중요한건 '잃지
화성시 청계동 동탄역시범더샵센트럴시티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6조 곰카레]
▶ 아파트명 동탄역시범더샵센트럴시티 ▶ 위치(지도) ▶입지평가 1.직장 S 화성시 사업체수 66,767개 / 종사자수 492,031명 2.교통(카카오맵 18시 기준) B 강남 1시간 5분 / 여의도 1시간 34 / 시청 1시간 15분 3.학군 C 4.공급 B : 향후 3년간 25,128세대 / 연평균 8,376세대(적정공급의 1.78배) / 적정 공급 :

열반스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6조 곰카레]
3강은 선배님들의 강의였다. 수익률 보고서를 쓰는 방법과, 각 평가 요소들의 평가 기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셨다. 아는 동생과 임장을 다니면서 임장 보고서를 자체적으로 써봤었는데, 그동안 했던건 기준도 없이 느낌으로만 했던 것이구나.. 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또 양파링님이 말씀 중에 '가격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그 지역이 "비싸도" 그 가격에 맞게 가치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6조 곰카레]
이번 강의에서는 투자의 원칙들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다. '농부의 마음'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말이 참 와닿았다. 원래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 투자의 전부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것이 아니었다. "꾸준히 상승할 물건을 사라." 입지 독점성과 공급량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 2년 뒤 입주 물량이 많은지도 체크해봐야 한다는 말도 와닿았다. 역
열반스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106조 곰카레]
월급쟁이 부자가 되는 마인드 셋과 대략적인 방법에 대해서 들을 수 있는 강의였다. 이번 강의에서 제일 인상 깊었던 건, 너바나님의 1호기 투자 사례였던 것 같다. 내가 하던 고민(월세투자)을 똑같이 하셨었고, 너바나님은 실제로 실행에 옮기셨던 것, 그 결과 큰 수익은 아니지만 그래도 이익을 남기셨다는게 신기했다. 어떻게 보면 나도 같은 고민을 했었던 때가
내집마련 기초반 3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39기 39조 곰카레]
부동산 파헤치기의 정수를 알려주는 강의였습니다. 내마반을 듣기 전, 친한 동생과 함께 한 달에 한 번 임장을 다녔었는데, 갈 때마다 떨리고, 가서 뭘 물어봐야 하는지, 뭘 물어보면 안되는지, 뭘 봐야하는지 이런 기초가 없어 막막했습니다. 너나위님이 부동산에 대해 A-Z 까지 다 알려주셔서 이제 임장이 두렵지 않습니다. 부사님들이 친근하게 느껴지고, 더 친해
곰카레의 부동산 방문하기 과제 [내집마련 기초반 39기 39조 곰카레]
부동산 보러 갈 수 있는 시간이 주말밖에 없었는데, 시간 관계 상 3주차 강의 1강만 듣고 부동산을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1강에서 너나위님이 알려주신 것은 '전화 임장' 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막상 매물을 보고 전화를 하려니 심장이 두근대기 시작했고, 결국.. 편법으로 네이버 부동산 어플에 '문자 보내기' 기능으로 매물 문자를 먼저 보냈습니
내집마련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내집마련 기초반 39기 39조 곰카레]
부동산 가치 = 땅의 가치 + 건물의 가치 인 점을 토대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 새로 알게 되었고, 아파트 가격이 왜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쌓이기 시작했다. 또한 서울, 수도권 아파트들에 대한 평균 가격을 알 수 있게 정리를 해 주셔서, 서울, 수도권 아파트의 적정 가격에 대한 감도 하나씩 쌓이고 있는 것 같다. 아직 내가 가진 예산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