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후기[19기 79조 마르코89]

  • 24.05.09

안녕하세요


지기 19기 79조 마르코 입니다.


저의 첫번째 지방투자기초반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여러번 재수강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올해 꼭 지방 광역시에서 1호기를 해내겠다는 마음으로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고향은 부산이지만 월부에서 투자자로써 지방을 바라보는 시각은 많이 생소했습니다.


강의에서 배웠던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점들을 복기해가며 후기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첫째, 지방투자의 기준 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종자금의 한계로

지방투자를 고려하게 됩니다.

하지만 크게 3가지 지방 인구감소, 환금성, 기회비용 3가지 때문에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강의에서 제주바다님이 심플하게 결론내주셨습니다 ㅎㅎ

사람들이 선호하는 단지를 환금성 기준에 맞게 시세보다 싸게 깍아서 사면 됩니다!!


수도권 투자에서 핵심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를 싸게 사서 오래동안 보유하기 였던것 같습니다.

지방 투자의 핵심은 인구수, 입지, 상품성 입니다!!!

인구가 많은 순서에 따라 가격의 천장이 형성되고

입지독점성의 정도에 따라 구축의 수요가 결정됩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아파트의 상품성이 선호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


지방에서 입지를 결정하는 순서는 수도권과 조금 달랐던것 같습니다.

인구가 1순위로 올라서고 교통이 후순위로 밀리는 것

하지만 이것도 지역이 크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습니다.

인구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지하철 교통의 중요도가 올라가는 것 같았습니다.



둘째, A지역 입지분석 입니다.


이번주 강의에 나온 A지역은 서울과 가까우며

많은 기업, 행정, 군사, 교통의 요충지였습니다.

그래서 소득수준이 높고 그러한 소득이 지난장 집값으로 반영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먼저 A지역과 유사한 지역의 인구, 소득분석을 통해 도시개요를 작성했습니다.

그리고 A지역 구별 특징과 전체의 생활권 분석을 하였습니다.

세번째로 구별 직장/학군/환경/공급/교통 순서로 입지를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구별 입지 순위까지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제주바다님의 A지역 분석을 토대로 이번 저의 임장지인 울산도 분석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셋째, 실제 매물을 통해 알아보는 투자 분석 입니다.


여러 매물을 통해 알아본 투자기준은

입지가 같은 곳이라면 상품성이 좋은 것을 한다.

입지가 좋은 곳과 덜 좋은 곳의 물건을 비교한다면 입지와 상품성을 비교해 선호도를 파악한다.

사실 이부분은 너무나 어려운것 같습니다.

더구나 광역시는 상품성과 입지를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데

광역시의 입지와 상품성을 비교는 많은 공부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입지 좋은곳의 구축과 덜 좋은곳의 신축을 어떻게 비교해야할까요??

입지와 선호도를 파악하고 꾸준한 시세트레킹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1가지!!

투자 조건을 만들어서 투자할 것

지금 시장 상황에 맞춰 충분히 조건을 만들어 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넷째, 1억 버는 투자 사례 입니다.


알려주신 많은 사례에서 배울수 있는 점은

마지막에 정리해 주신것 처럼

미리 공부하고 앞마당을 만들어 놓은 사람에게 기회가 찾아온다는 것입니다.

남들이 다 같은 단지를 볼때, 나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단지를 가는 것 입니다.




지투기 1강 BM


  1. 지방은 인구가 곧 가격, 인구가 유사한 지역을 매달 하나씩 보고 비교한다
  2. 지방 임보가 미숙하더라도 하루에 3장이상 꼭 작성한다






댓글


주유밈
24. 05. 16. 12:34

하루에 3장이상이라니 저도 본받고 싶습니다 1주차 일찍이 강의듣고 해내시면서 조에서 모범을 보여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

류곤
24. 05. 16. 23:13

저도 임보 열심히 꾸준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르코님 단톡방에서 도움많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른 꼭뵙고싶습니다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