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듣기 전까지는 고민이 정말 많았다.
수도권을 투자하기에 종잣돈이 적어도 그렇지.. 미래에 소멸할지도 모르는 지방을 가야할까?
모든 물자와 인재는 서울로 몰리는데 지방을 가는게 맞는걸까?
하지만 강의를 들으면서 그동안 막연히 지레짐작으로만 걱정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래서 지방광역시는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 생각을 안했고,
들어도 이게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없었다.
A지역의 인구는 140만대인데, 이 수치는 내가 관심있던 120만 지역보다 많은 인구이다.
그만큼 더 많은 수요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인데,
이렇게 연결할 생각조차 못해보고 지방이라서 선택지를 제외했었다.
지방 인구가 점차 줄어든다고 해도, 그 인구가 모두 수도권으로 이동할 수도 없고,
오히려 광역시 쯤 되면 주변 중소도시와 수요를 주고받으며 더 끌어올 수도 있다.
그래서 공급이 중요하고, 공급 지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배웠다.
특히 많은 공급이 쏟아지기 전/ 공급이 많을 때/ 공급이 지나갔을 때를 단지 가격으로 비교해보며
실제로 공급과 관련해서 어떻게 투자하고, 대응하는 지가 정말 와닿았다.
예를 들어 큰 입주를 앞두고 있으면 신축으로 이동하려는 기축의 매도가 생긴다.
가격이 내리면서 투자 가능 범위에 들어올 수 있지만, 다음 해 입주장에 가격이 빠질 수도 있지만
이걸 알고 있다면 버틸 수 있고, 전세 맞추는 시기를 조정해야 함을 알 수도 있다.
지금까지 나의 막연한 두려움이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두려움이라면,
강의를 통해 레버리지 한 것은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적용하고 싶은 점
강의에서 알려주신 구별, 생활권별 입지평가/공급 비교분석을 참고로 하여
목표를 세우고 임보를 작성하겠습니다.
임보 1장 작성에 10~15분으로 끊을 수 있도록 타이머 ON, 하루에 3장 작성하기!
우리 조 이름처럼 투자를 일상처럼 숨쉬듯이 즐겁게, 열심히 한달 채워보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제주바다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함께할 저희 조원분들께도 감사드리며, 저도 나눌 수 있는 조원이 되겠습니다!
댓글